$\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임스 코너의 재현 이론과 실천 - 조경 드로잉의 특성과 역할 -
James Corner's Theory and Practice of Representation -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4, 2017년, pp.118 - 130  

이명준 (서울대학교 통합설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경 설계 과정에는 설계안을 시각화하는 다양한 종류의 드로잉이 제작된다. 이 연구는 조경 드로잉의 특성과 역할을 부단히 탐구해 온 제임스 코너의 재현 이론과 실천의 전개 과정을 면밀히 검토한 논문이다. 코너는 1990년대 초반부터 발표된 이론적 저술에서 드로잉이라는 시각 이미지는 경관의 다감각적 특성을 온전하게 담아내기 힘들고, 따라서 조경 드로잉은 경관의 외양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방식, 즉 도구적 기능보다는 경관의 다감각적 특성을 대안적으로 보여주고, 설계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상상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하면서 새로운 시각화 테크닉의 실험을 주장했다. 코너의 재현 이론은 1990년대 중후반 설계 실천에 적용되면서 실천적 이론으로 진화했다. 코너는 생태학을 수용하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라는 실무 작업을 전개해가면서 드로잉의 도구적 역할에 다시 주목했다. 이전에 코너가 콜라주와 몽타주를 이용하여 상상적 역할을 수행하는 퍼스펙티브 뷰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다면, 1990년대 후반의 이론과 실무 작업에서는 도구적 기능을 수행하는 맵을 기반으로 하되, 이를 상상적으로 변형하는 맵핑 테크닉을 강조했다. 이와 같이 코너의 저작은 조경 분야의 본질을 파악하여 드로잉의 특성과 역할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했고, 나아가 이론과 실천의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 조경 설계에도 여전히 귀감이 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landscape design process, landscape architects produce various forms of drawings to visualize the future designed landscape. This work thoroughl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utilization of James Corner's theory and practice of representation. Since the early 1990s, Corner has explore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제임스 코너의 이론과 실천을 검토하면서 조경 설계에서 드로잉의 역할과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조경 드로잉과 관련하여 ‘재현’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논의한다.
  • 먼저, 코너가 1990년대 초중반 출판한 이론적 저술을 살펴보면서, 조경 드로잉의 특성, 기능과 역할, 시각화 테크놀로지의 이용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이론화하는지 분석한다. 이어서 그의 이론이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코너가 90년대 중후반 생태학을 수용하여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라는 이론과 실천을 어떻게 전개해 나가는지를 살펴보면서 코너가 그의 재현 이론을 실무에 보다 적합한 실천적 이론으로 정교하게 진화시켜 나가는 과정을 관찰한다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현의 의미는 무엇인가?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재현(再現)’은 “다시 나타남 또는 다시 나타냄”과 “재생(再生)”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이 말의 보다 자세한 의미와 쓰임새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재현’이라는 말이 영어 단어 ‘representation’의 우리말 번역어로 쓰인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경 드로잉을 논의할 때 제임스 코너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렇다면, 조경 드로잉을 논의할 때 제임스 코너(James Corner; 1961~)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코너는 실무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1990년대 초반부터 많은 이론적 저술을 발표한 이론가이기도 한데, 그의 이론의 주요 주제의 하나가 바로 드로잉의 특성, 기능과 역할에 대한 탐구이기 때문이다. 둘째, 코너의 이론과 실천의 전개 과정은 조경 이론과 실천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잘 보여주고 있다. 코너는 조경 설계에 적합한 드로잉의 기능과 역할을 이론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이론은 실무 작업을 거치면서 점차 실천적 이론으로 진화해 나가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코너의 이론과 실천은 조경 설계와 드로잉의 본질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발표된 지 이십여 년이 지난 현재에도 조경학계와 실무에서 빈번히 회자되면서 현대 조경에도 귀감이 되고 있는 현재형의 논의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코너의 이론적 저술의 과거와 현재를 집대성한 선집이 출판되었다(Corner and Hirsch, 2014).
제임스 코너가 강조한 조경 드로잉의 두가지 기능은 무엇인가? 코너는 그의 저술에서 조경 드로잉의 두 가지 기능을 강조해 왔다. 첫째, 조경 드로잉은 설계 경관을 설명하는 기능인 도구성(instrumentality)을 지니고, 둘째로 경관의 다채로운 국면을 시각화하여 설계 아이디어를 생성해내는 상상성(imagination) 을 수행할 수 있다(Corner, 1990; 1999b; 1999c). 전자가 회화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지는 사실주의적 시각 이미지, 즉, 랜드 스킵의 특성을 시각화하는 기능이라면, 후자는 경관의 다감각 적 국면, 즉, 랜드샤프트로서의 경관의 특성을 재현해내는 기능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moroso, N.(2015) Representations of the landscapes via the digital: Drawing types. In Representing Landscapes: Digital.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 3-25. 

  2. Belanger, B. and E. Urton(2014) Situating eidetic photomontage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Journal 33(2): 109-126. 

  3. Chae, U.(2009) Representation. Seoul: Greenbee. 

  4. Chin, J.(2005) Play and Art, and Imagination. Seoul: Humanist. 

  5. Corner, J. and A. B. Hirsch(2014) The Landscape Imagination: Collected Essays of James Corner 1990-2010.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6. Corner, J. and A. S. MacLean(1996) Taking Measures Across the American Landscape.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7. Corner, J. and S. Allen(2001) Emergent ecologies. In J. Czerniak, ed., Downsview Park Toronto. Munich, London, and New York, Prestel Verlag. pp. 58-65. 

  8. Corner, J.(1990) A discourse on theory I: Sounding the depths -origins, theory, and representation. Landscape Journal 9(2): 60-78. 

  9. Corner, J.(1992) Representation and landscape: Drawing and making in the landscape medium. Word & Image: A Journal of Verbal/Visual Enquiry 8(3): 243-275. 

  10. Corner, J.(1996) Aerial representation and the making of landscape. In J. Corner, and A. S. Maclean, eds., Taking Measures Across the American Landscape.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p. 15-19. 

  11. Corner, J.(1997) Ecology and landscape as agents of creativity. In G. Thompson, and F. Steiner, eds.,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81-105. 

  12. Corner, J.(1999a) Introduction: Recovering landscape as a critical cultural practice. In J. Corner, ed., Recovering Landscape: Essays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26. 

  13. Corner, J.(1999b) Eidetic operations and new landscapes. In J. Corner, ed., Recovering Landscape: Essays in Contemporary Land- scape Architectur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53-169. 

  14. Corner, J.(1999c) The agency of mapping: Speculation, critique and invention. In D. Cosgrove, ed., Mappings. London: Reaktion Books. pp. 213-252. 

  15. Corner, J.(2003) Landscape urbanism. In M. Mostafavi, and C. Najle, eds., 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rchitectural Association. pp. 58-63. 

  16. Corner, J.(2006) Terra fluxus. In C. Waldheim, ed.,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21-33. 

  17. Corner, J.(2014) Preface. In J. Corner, and A. B. Hirsch, eds., The Landscape Imagination: Collected Essays of James Corner 1990-2010.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8. Crandell, G.(1993) Nature Pictorialized: "The View" in Landscape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 De Jong, E.(2008) Landscapes of the imagination. In E. de Jong, M. Lafaille, and C. Bertram, eds., Landscapes of the Imagination: Designing the European Tradition of Garden and Landscape Architecture 1600-2000. Rotterdam: NAi Publishers. pp. 8-25. 

  20. Debray, R.(1992) Vie et Mort de L'image: Une Histoire du Regard en Occident (Paris: Gallimard, 1992.), Jeong, J. trans., 이미지의 삶과 죽음: 서구적 시선의 역사. Paju: Geulhangari, 2011. 

  21. Hirsch, A. B.(2014) Introduction: The Landscape imagination in theory, method, and action. In J. Corner, and A. B. Hirsch, eds., The Landscape Imagination: Collected Essays of James Corner 1990-2010.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2. Hunt, J. D.(2000) Greater Perfections: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3. Jeong, W. and J. Corner(2005) Fresh Kills Park design, Staten Island, New Yo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1): 93-108. 

  24. Kim, A.(2009) Representation and expression: Drawing and imagination, and space.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257: 184-189. 

  25. Kim, Y. and W. Jeong(2014) Development of landscape urbanism in practi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 (1): 1-17. 

  26. Kingery-Page, K. and H. Hahn(2012) The aesthetics of digital representation: Realism, abstraction and kitsch.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7(2): 68-75. 

  27. Kullmann, K.(2014) Hyper-realism and loose-reality: The limitations of digital realism and alternative principles in landscape design visualization.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9(3): 20-31. 

  28. Lee, M. and J. Pae(2013) Representation of Wilderness in western films: An aesthetic interpret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2): 1-10. 

  29. Lee, M. and J. Pae(2014) Condition of photo-fake: Rethinking photomontage i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In Peer Reviewed Proceedings of European Council of Landscape Architecture Schools Conference 2014; Landscape: A Place of Cultivation. Porto: University of Porto. pp. 409-412. 

  30. Lee, M.(2017) A Historical Critique on 'Photo-fake' Digital Representation in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1. Lister, N.(2007) Sustainable large parks: Ecological design or designer ecology?.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35-57. 

  32. M'Closkey, K.(2013) Techniques. In Unearthed: The Landscapes of Hargreaves Associate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p. 91-140. 

  33. M'Closkey, K.(2014) Structuring relations: From Montage to model in composite imaging. In C. Waldheim, and A. Hansen, eds., Composite Landscapes: Photomontage and Landscape Architecture. Ostfildern: Hatje Cantz Verlag. pp. 116-131. 

  34. Marcinkoski, C.(2015) Chunking landscapes. In N. Amoroso, ed., Representing Landscapes: Digital.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 109-116. 

  35. Mitchell, W. J. T.(1986) Iconology: Image, Text, Ideolog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Pae, J.(2004) Theoretical terrains and design strategies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1): 69-79. 

  37. Pae, J.(2006) A study on the diagram as strategic media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2): 99-112. 

  38. Pollak, L.(2007) Matrix landscape: Construction of identity in the large park.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87-119. 

  39. Waldheim, C. ed.(2006)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40. Weller, R.(2001) Between hermeneutics and datascapes: A critical appreciation of emergent landscape design theory and praxis through the writings of James Corner 1990-2000(part one). Landscape Review 7(1): 3-24. 

  41. Weller, R.(2014) Afterword: Wordscape: The writings of James Corner in theory and practice. In J. Corner, and A. B. Hirsch, eds., The Landscape Imagination: Collected Essays of James Corner 1990-2010.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351-361. 

  42. Zoh, K.(2006) A study on the mapping as a environmental design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ublic Design 1(2): 72-84. 

  43. English Oxford Living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representation) (https://en.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drawing) 

  44. Korean Standard Dictionar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45. Oxford Advanced Learner's English-Korean Dictionary.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sLnkr&entryIdd4cd5586-49f94a29b727910ce178040b)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