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묵적 자존감 및 우울감과 패션능숙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mplicit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Fashion Competenc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4, 2017년, pp.575 - 584  

이새은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손형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유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하지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explicit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se studies did not examine the implicit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t exist in the internal unconscious of humans that are not influenced by prejudice and social desirability. This study identifies that f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패션의 영향력을 인간의 무의식인 암묵적인 측면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뤄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암묵적 연합검사를 통해 나타나는 암묵적 자존감 및 암묵적 우울감을 이용하여 패션의 영향력을 관찰하고자 한다.
  • 이처럼 패션의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에 가려, 이에 관한 연구진행이 활발하지 못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본연구에서는 기분 전환 등과 같은 패션이 가진 긍정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를 대상으로 패션이 암묵적 자존감과 우울감을 긍정적으로 고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연구를 통해 패션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주장과 함께 본연의 무의식적 자아까지 패션의 긍정적인 측면이 존재함을 주장함으로써 향후 패션연구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며, 또한 패션분야에 인지심리학의 연구방법인 암묵적 연합검사(implicit association test)을 도입함으로써 학제 간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패션에 민감하면서도, 연이은 취업좌절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진 세대인 20대를 대상으로 하여 패션의 긍정적인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Hwang, 2017). 이를 통해 20대의 낮아진 자존감 상승에 패션이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가 됨을 보여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패션의 긍정적인 효과를 내재적인 측면에서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반응속도를 이용한 암묵적 연합검사를 하였다. 우선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패션능숙도 수준에 따른 집단을 구분하였으며 집단별 반응속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 , 2009). 본 연구에서는 패션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암묵적 연합검사를 사용하고자 하는데 자기 설문지에는 사회적 바람직성의 오류 편향과 응답자의 임의적인 의도가 숨어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를 대상으로 패션이 암묵적 자존감과 우울감을 긍정적으로 고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연구를 통해 패션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주장과 함께 본연의 무의식적 자아까지 패션의 긍정적인 측면이 존재함을 주장함으로써 향후 패션연구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며, 또한 패션분야에 인지심리학의 연구방법인 암묵적 연합검사(implicit association test)을 도입함으로써 학제 간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 본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세 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형성된 패션활용에 관한 능력에 대한 신념을 ‘패션능숙도’라는 요인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Choi, 2006).
  • 본 연구는 패션에 민감하면서도, 연이은 취업좌절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진 세대인 20대를 대상으로 하여 패션의 긍정적인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Hwang, 2017). 이를 통해 20대의 낮아진 자존감 상승에 패션이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가 됨을 보여주고자 한다.
  • 또한, 기존에 사용되는 측정방법인 자기 보고식 측정 방법은 시공간적 맥락에 따른 도덕적 판단에 편향이 연구결과에 영향을미쳐 그 결과에 대한 의구심이 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암묵적 연구방법이 제안된다(Ashcraft, 1989).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무의식중에 나타나는 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암묵적 측정방법을 활용하여 패션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고자 한다.
  • (1998)이 인종이나 성별에 대한 개인의 무의식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검사이다. 인종이나 성별에 대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유로 혹은 의도적으로 숨기고 있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내적 편견, 태도를 자극 간의 연합강도로 측정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이후 de Jong(2002)은 암묵적 자존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변화시켰다.

가설 설정

  • 이와 더불어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능숙도를 암묵적 연합검사로 측정하지 못한 것이다. 아직 암묵적 연합검사로 패션능숙도에 대한 검증이 없었기에 설문지로 측정하여서 암묵적 자존감 및 우울감과 비교를 하였지만, 암묵적 연합검사를 개발하여 살펴보았다면 더욱더 내재적인 자아에 초점을 맞춰서 접근할 수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변화를 통해서 방송 참여자의 자존감을 향상하고 기존의 콤플렉스를 자신감으로 바꿔주는 TV프로그램으로 무엇이 있는가? 하지만 패션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감 회복 혹은 기분 전환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면이 있다. 실제로 ‘익스트림 메이크오버(Extreme Makeover)’, ‘왓 낫 투 웨어(What Not to Wear)’, ‘렛 미인(Let 美人)’과 같은 TV 프로그램에서는 패션변화를 통해 방송 참여자의 자존감을 향상하고 기존의 콤플렉스를 자신감으로 바꿔 주어 삶이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암묵적 연합검사를 통해 나타나는 암묵적 자존감 및 우울감을 이용하여 패션의 영향력을 관찰하고자 한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연구를 통해 패션이 자존감 향상 및 우울감 개선 등 여러 가지 긍정적 측면에 영향을 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패션의 영향력을 인간의 무의식인 암묵적인 측면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뤄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암묵적 연합검사를 통해 나타나는 암묵적 자존감 및 암묵적 우울감을 이용하여 패션의 영향력을 관찰하고자 한다.
암묵적 연합검사는 무엇인가? 암묵적 연합검사는 특정 자극의 제시와 그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의 측정치를 살펴보는 것이다(Yang, 2003).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내적으로 진행되는 정신과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는 방법이다(Ashcraft, 1989). 반응시간 방법은 인지심리학에서 인지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주의편향 효과, 암묵적 연합검사 등 반응시간을 이용한 여러 방법이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hern, A. L., Bennett, K. M., & Hetherington, M. M. (2008). Internalization of the ultra-thin ideal: Positive implicit associations with underweight fashion models are associated with drive for thinness in young women. Eating Disorders, 16(4), 294-307. doi:10.1080/10640260802115852 

  2. Ashcraft, M. H. (1989). Human memory and cognition. Glen view, IL: Scott, Foresman. 

  3. Barbalet, J. M. (1996). Social emotions: Confidence, trust and loyalt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Policy, 16(9/10), 75-96. doi:10.1108/eb013270 

  4. Buhlmann, U., Teachman, B. A., Naumann, E., Fehlinger, T., & Rief, W. (2009). The meaning of beauty: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and attractiveness beliefs in body dysmorphic disorder.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3(5), 694-702. doi:10.1016/j.janxdis.2009.02.008 

  5. Choi, E. Y. (2006).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and fashion information search of men-Focused on men in their twenties living in Busa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4), 596-608. 

  6. de Jong, P. J. (2002). Implicit self-esteem and social anxiety: Differential self-favouring effects in high and low anxious individual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0(5), 501-508. doi:10.1016/S0005-7967(01)00022-5 

  7. Friese, M., Hofmann, W., & Wanke, M. (2009). The impulsive consumer: Predicting consumer behavior with implicit reaction time measures. In M. Wanke (Ed.), Social psychology of consumer behavior (pp. 335-364).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8. Friese, M., Wanke, M., & Plessner, H. (2006). Implicit consumer preferences and their influence on product choice. Psychology & Marketing, 23(9), 727-740. doi:10.1002/mar.20126 

  9. Frith, H., & Gleeson, K. (2008). Dressing the body: The role of clothing in sustaining body pride and managing body distress.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5(4), 249-264. doi:10.1080/14780880701752950 

  10. Gapinski, K. D., Brownell, K. D., & LaFrance, M. (2003). Body objectification and “Fat Talk”: Effects on emotion, motiva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Sex Roles, 48(9-10), 377-388. doi:10.1023/A:1023516209973 

  11. Ghalachyan, A., & MacGillivray, M. S. (2016). Designing headwear for women with chemotherapy-induced hair loss. International Journal of Fashion Design, Technology and Education, 9(3) 222-232. doi:10.1080/17543266.2016.1160443 

  12. Goldsmith, R. E., Moore, M. A., & Beaudoin, P. (1999). Fashion innovativeness and self-concept: A replication.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8(1), 7-18. doi:10.1108/10610429910257904 

  13. Gong, Y. G. (2009). The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f as mediat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4. Greenwald, A. G., McGhee, D. E., & Schwartz, J. L. K. (1998).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licit cognition: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6), 1464-1480. doi:10.1037/0022-3514.74.6.1464 

  15. Greenwald, A. G., Nosek, B. A., & Banaji, M. R. (2003). Understanding and using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 An improved scoring algorith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197-216. doi:10.1037/0022-3514.85.2.197 

  16. Hanton, S., Mellalieu, S. D., & Hall, R. (2004). Self-confidence and anxiety interpretation: A qualitative investigation.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5(4), 477-495. doi: 10.1016/S1469-0292(03)00040-2 

  17.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3rd ed.). Boston, MA: Houghton Mifflin. 

  18. Hwang, I. C. (2017, April 3). 연이은 취업 좌절..."자존감 낮다" 20대 41% [Continuous employment frustration..."Self-esteem is low" 20s 41%]. dongA.com. Retrieved April 3, 2017, from http://news.donga.com/3/all/20170403/83654830/1 

  19. Hwang, J., & Kim, Y. (2006).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on body im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3), 143-155. 

  20. Irving, L. M. (1990). Mirror images: Effects of the standard of beauty on the self-and body-esteem of women exhibiting varying levels of bulimic symptom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9(2), 230-242. doi:10.1521/jscp.1990.9.2.230 

  21. Joung, H. M., & Miller, N. J. (2006). Factors of dress affecting self-esteem in older female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0(4), 466-478. doi:10.1108/13612020610701983 

  22. Jun, D., Choo, H., & Kim, H. (2010). A study on the clothing involvement, fashion innovativeness, impulsive buying, and brand loyalty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iles, 34(3), 424-436. doi:10.5850/JKSCT.2010.34.3.424 

  23. Kang, J. Y. M., Johnson, K. K. P., & Kim, J. (2013). Clothing functions and use of clothing to alter mood. International Journal of Fashion Design, Technology and Education, 6(1), 43-52. doi:10.1080/17543266.2012.762428 

  24. Karpinski, A., & Steinman, R. B. (2006). The single category implicit association test as a measure of implicit social cogn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1), 16-32. doi:10.1037/0022-3514.91.1.16 

  25. Kostanski, M., & Gullone, E. (1998). Adolescent body image dissatisfaction: Relationships with self-esteem, anxiety, and depression controlling for body mass.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39(2), 255-262. doi:10.1111/1469-7610.00319 

  26. Kwon, Y. H., & Shim, S. (1999). A structural model for weight satisfaction, self-consciousness and women's use of clothing in mood enhancemen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4), 203-212. doi:10.1177/0887302X9901700404 

  27. Lee, J. M., & Jang, H. S. (2013). A study on the body image and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related to the outward appearanc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6), 1174-1185. 

  28. Lee, S. B. (1991).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he consumer involvement.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4(1), 110-135. 

  29. Maison, D., Greenwald, A. G., & Bruin, R. (2001).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as a measure of implicit consumer attitudes. Polish Psychological Bulletin, 32(1), 1-9. doi:10.1066/S10012010002 

  30. Maison, D., Greenwald, A. G., & Bruin, R. H. (2004). Predictive validity of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n studies of brands,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4(4), 405-415. doi:10.1207/s15327663jcp1404_9 

  31. Masuch, C. S., & Hefferon, K. (2014). Understanding the links between positive psychology and fashion: A grounded theory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Fashion Studies, 1(2), 227-246. doi:10.1386/infs.1.2.227_1 

  32. Park, H. H., & Choo, T. G. (2012). Influence of consumer selfconfidence and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on attitude toward secondhand fashion goods and purchase intention of secondhand fashion go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4(4), 544-553. doi:10.5805/KSCI.2012.14.4.544 

  33. Park, H. J., & Jeon, K. S. (2013). Fashion savvy II: The influence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others, self esteem, and consumer confidence in fashion decisions on fashion savv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4), 562-575. doi:10.7741/rjcc.2013.21.4.562 

  34. Rierdan, J., & Koff, E. (1997). Weight, weight-related aspects of body image,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 girls. Adolescence, 32(127), 615-624. 

  35. Ruppert-Stroescu, M., LeHew, M. L. A., Connell, K. Y. H., & Armstrong, C. M. (2015). Creativity and sustainable fashion apparel consumption the fashion detox.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33(3), 167-182. doi:10.1177/0887302X15579990 

  36. Shim, W. Y. (2012).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5(4), 31-51. 

  37. Shin, H. Y., & Lee, I. J. (2000). Effect of the fashion therapy for the psychiatric patients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7), 1088-1099. 

  38. Solomon, M. R. (2014). Consumer behavior: Buying, having, and being (11th ed.). New York, NY: Prentice Hall Engelwood Cliffs. 

  39. Sontag, M. S., & Schlater, J. D. (1982).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Evolution of a concep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1), 1-8. doi:10.1177/0887302X8200100101 

  40. Trautmann-Attmann, J., & Johnson, T. W. (2009).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urs: Investigating relationships among binge eating, compulsive clothing buying and fashion ori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3(3), 267-273. doi:10.1111/j.1470-6431.2009.00741.x 

  41. Venkatesh, V., &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doi:10.1287/mnsc.46.2.186.11926 

  42. Wanke, M., Plessner, H., Gartner, T., & Friese, W. M. (2002). Measuring implicit consumer attitudes and predicting brand choice. In S. M. Broniarczyk & K. Nakamoto (Ed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29 (p. 222). Valdosta, GA: Author. 

  43. Yang, Y. (2003). The effects of need for cognition and selfmonitoring on consumer's reaction time about product attribute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4(1), 25-40. 

  44. Yoh, E. (2015). Application of the fashion therapy to reduce negative emotions of female patien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1), 85-101. doi:10.7741/rjcc.2015.23.1.085 

  45. Yoon, H. Y., & Kwon, J. H. (2013). The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Changes in the attentional bias and the implicit self-esteem.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3(2), 211-2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