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처리에 따른 곶감의 미생물학적 변화 및 품질특성
Microbiological chang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persimmon by chlorine dioxide gas fumigation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5, 2017년, pp.608 - 614  

문혜경 (경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  이수원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이화진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이슬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종국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저장 및 유통과정 중 곶감의 품질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유황 훈증 대체 물질로 이산화염소 훈증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곶감을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농도(0, 15, 30, 45 ppm) 및 시간(0, 15, 30, 45 min)에 따라 처리한 후 상온에서 보관하면서 미생물학적 변화, 물성 및 색도를 관찰하였다.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처리 후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미생물 수가 감소하였으며, 총 호기성 세균의 저해 효과는 저장기간 동안 지속되었고, 효모 및 곰팡이 수의 경우에도 총 호기성 세균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곶감의 물성 및 색도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농도 및 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처리는 곶감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처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lorine dioxide fumigation as a substitute for sulfur fumigation which has been used as a method to prevent the quality change of persimmon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process. Dried persimmons were treated with chlorine dioxide gas concent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저장 및 유통과정 중 곶감의 품질 변화를 저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유황 훈증 대체 물질로 이산화염소의 훈증 처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처리에 따라 곶감의 물성 변화 양상은 어땠는가? Adhesiveness를비롯한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및 chewiness 의 경우에도 대조군은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resilience만 감소하였다. Hardness와 마찬가지로 이산 화염소 가스 훈증 처리 시 곶감의 물성은 큰 변화를 보이지않았으며, 훈증 농도 및 시간 역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곶감은 무엇인가? 곶감은 떫은 감을 박피한 후 건조한 것으로 고려시대부터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과실 건조가공품이다(1). 곶감은 감 수확 시기에 다량 생산되는 감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건조 시 단맛이 생감에 비해 약 4배 증가하는데 주요 생산지는 경북 상주, 충북 영동, 경남 함안 및 전북 완주 등이 있으며, 그 중 상주 지역이 전국 생산량의 60%를 차지한다(2,3).
아황산가스는 미생물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 이러한 곶감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저장성을 향상시 키기 위해 농가에서는 유황훈증 처리를 사용하여 왔다(4). 아황산가스는 미생물의 세포막 기능을 저해시키고 단백질과 mRNA를 불활성화하여 미생물에 직접적인 위해 작용을 한다(5). 그러나 아황산가스는 미생물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적절한 사용량이 요구되며, 잔류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소비자의 기피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위생적인 처리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JK, Kang WW, Oh SL, Kim JH, Han JH, Moon HK, Choi JU (2004)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from various reg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40-145 

  2. Im JS, Lee MH (2007)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raw and dried Wolha persimmons. Korean J Food Preserv, 14, 611-616 

  3. Lee YR, Chung HS, Moon KD (2011) Change in the polyphenol content of Cheongdobansi persimmon fruit during development. Korean J Food Preserv, 18, 13-17 

  4. Hong EY, Kim YC, Rhee CH, Kang WW, Choi JU, Chung SK (2001) Changes of microflora in processing and preservation of dried persimm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74-378 

  5. Lim BS, Lee SH, Hwang YS (2011) Influence of SO2 generating pad treatment on storage of grape berries. CNU J Agric Sci, 38, 607-612 

  6. Oh SI , Kim CW, Lee U (2016) Effect of SO2 generating pad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dried persimmons during storage. J Korean For Soc, 105, 202-207 

  7. Lee SW, Moon HY, Lee WY, Kim JK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ld-air dried persimmons and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Korean J Food Preserv, 18, 481-487 

  8. Gomez-Lopez VM, Ragaert P, Jeyachchandran V, Debevere J, Devlieghere F (2008) Shelf-life of minimally processed lettuce and cabbage treated with gaseous chlorine dioxide and cysteine. Int J Food Microbiol, 121, 74-83 

  9. Kim JM (2001) Use of chlorine dioxide as a biocide in the food industry. Food Industty and Nutrition, 6, 33-39 

  10. Kim YJ, Kim MH, Song KB (2009)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fumaric acid for inactivating pre-existing microorganism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broccoli sprouts. Food Control, 20, 1002-1005 

  11. Han Y, Linton RH, Nielsen SS, Nelson PE (2001) Redu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green peppers (Capsicum annuum L.) by gaseous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water washing and its growth at $7^{\circ}C$ . J Food Prot, 64, 1730-1738 

  12. Youm HG, Ko JK, Kim MR, Cho YS, Chun HK, Song KB (2005)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treatment on microbial safety and quality control of minimally processed and refrigerated (MPR) sal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29-133 

  13. Lee HS, Shim WB, An HM, Ha JH, Lee ES, Kim WI, Kim HY, Kim SR (2016) Antimicrobial effects of chlorine dioxide gas o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spp. colonizing on strawberries for export. J Food Hyg Saf, 31, 451-457 

  14. Yoon YT, Bong SJ, Kang HS, Yoon YJ, Kim HG, Min KH, Lee KH (2016) Quality changes of Lentinula edodes GNA01 mushroom by choline dioxide gas treatm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Nutr, 29, 499-505 

  15. Ku KJ, Ma YH, Shin HY, Lee SW, Park JH, Kim LH, Song KB (2006) Effects of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quality and microbial change of Agaricus bisporus Si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55-959 

  16. Han Y, Guentert AM, Smith RS, Linton RH, Nelson PE (1999) Efficacy of chlorine dioxide gas as a sanitizer for tanks used for aseptic juice storage. Food Microbiol, 16, 53-61 

  17. Mahmoud BSM, Bhagat AR, Linton RH (2007) Inactivation kinetics of inoculated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enterica on strawberries by chlorine dioxide gas. Food Microbiol, 24, 736-744 

  18. Bhagat A, Mahmoud BSM, Linton RH (2010) Inactivation Salmonella enterica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oculated on hydroponic tomatoes using chlorine dioxide gas. Foodborne Pathog Dis, 7, 677-685 

  19. Sy KV, McWatters KH, Beuchat LR (2005) Efficacy of gaseous chlorine dioxide as a sanitizer for killing Salmonella, yeasts, and molds on blueberries, strawberries, and raspberries. J Food Prot, 6, 1165-1175 

  20. Kang JH, Park SM, Kim HG, Son HJ, Song KJ, Cho M, Kim JR, Lee JY, Song KB (2016) Effects of combined chlorine dioxide gas treatment using low-concentration generating sticks on the microbiological safety and quality of paprika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619-6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