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실행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감각통합기반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Praxis Function With Children: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5 no.1, 2017년, pp.46 - 59  

신예나 (브레인 감각통합 발달연구소) ,  박지혁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안시내 (여주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의 실행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현황과 실행기능에 사용되는 도구의 대상 및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PubMed, Proquest, Google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1985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용어는 "praxis AND (validity OR reliability) AND (assessment OR test) AND (preschooler OR child)"를 사용하였다. 그 외 실행기능 평가도구의 선행 고찰연구에서 선정된 평가도구의 명을 추가적으로 검색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14편으로 이에 사용된 평가도구 8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최종 선정된 논문 14편의 질적수준은 III단계(단일집단 비무작위연구) 연구가 10개(71.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II단계(두집단 비무작위연구) 연구가 4개(28.6%)이었다. I단계의 근거수준인 무작위 비교연구는 없었다. 최종 선정된 8개 평가도구의 대상 연령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실행기능 평가도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된 평가도구는 6개이었고, 2개의 평가도구는 타당도는 검증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실행기능 평가도구의 연구 현황을 제시하고, 평가도구의 선택과 활용에 있어 임상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the subject and method of assessments used in praxis function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 Through the PubMed, Proquest, and Google database, research articles from January of 1985 through April of 2016 were search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앞으로 국내용 도구가 개발되는 과정에서의 기초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실행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국외의 평가도구를 알아보고 심리계량적 속성을 조사 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 이에 해당되는 논문들은 본 연구의 고찰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마지막으로 실제 감각통합 임상에서 실행이라는 용어를 praxis와 executive function의 개념을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감각운동의 개념과 더 관련이 있는 praxis로 한정하여 연구를 제한 검색하여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포괄적인 실행기능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서 executive function을 포함한 추가적인 고찰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의 분석대상 평가도구 대부분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내었으나, 다만 TIP와 MPMA의 경우 타당도 연구가 누락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실행기능 평가도구의 연구 현황을 제시하고, 평가도구의 선택과 활용에 있어 임상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국외의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종류를 알아보고 측정속성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 논문은 총 14개였고, 평가도구로는 SIPT, COMPS,BOT-2, TIP, MPMA, MABC-2, School AMPS, PIPS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선행연구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각 도구의 특성 및 세부적인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연구 대상 논문은 14개였고 논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는 8개로 나타났다.
  • 본연구를 토대로 국외의 실행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국내 표준화 작업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검사시간과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국내 실정에 맞는 도구의 개발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외에서 개발된 실행기능 평가도구의 연구 현황을 제시하고, 임상에서 도구를 선택하는데 있어 근거기반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행이란 무엇인가? 실행(praxis)은 인간이 물리적 환경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독특한 기술이며, 뇌와 행동사이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과정이다(Ayres, 1985). 또한 실행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조직화된 전략을 실행하는 일련의 목표지향적인 행동과정으로(Kwon et al., 2008), 아동이 자신의 행동을 적절히 조절하고 통제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지능과 학업성취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Lee, 2011). Barkley(1991)의 연구에서는 전두엽의 손상이 실행기능의 결함으로 이어져 심각한 문제행동을 야기하고, 이로 인해 학습능력에도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발달성 실행장애의 증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진단군은 누구인가? 실행장애의 증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진단군은 아동기 행동장애인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언어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이다(Dewey, Cantell, & Crawford,2007; Toussaint-Thorin et al., 2013).
발달성 실행장애의 특징은 어떻게 되는가? 발달상에서 실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발달성 실행장애(dyspraxia)라고 정의하였다(Bundy, 2002). 발달성 실행장애는 익숙한 도구를 사용하여 흉내 내기와 같은 타동적(transitive gestures) 동작과 인사의 의미로 손을 흔드는 것과 같은 수동적(intransitive actions) 동작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또한 운동 계획 및 사물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관념화가 어렵다(Stefanie,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TO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t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2. Asher, A. V., Parham, L. D., & Knox, S. (2008). Interrater reliability of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SIPT) score interpret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3), 308. 

  3.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4. Ayres, A. J. (1985). Developmental dyspraxia and adult-onset apraxia. Torrance, CA: Sensory Integration International. 

  5. Bang, Y. S., Kim, J. M., Kim, M. J., Baek, H. H., Oh, M. H., & Jung, H. A. (2008).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2nd ed.). Seoul, Korea: E Public. 

  6. Baranek, G. T. (2002). Efficacy of sensory and motor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2(5), 397-422. http://dx.doi.org/10.1023/A:10 20541906063 

  7. Barkley, R. (1991).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clinical workbook. New York: Guilford. 

  8. Brown, T., & Bourke-Taylor, H. (2014). Children and youth instrument development and testing articles published i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09-2013: A content, methodology, and instrument design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68(5), e154-e216. http://dx.doi.org/10.5014/ajot.2014.012237 

  9. Bruininks, R. H., & Bruininks, B. D. (2005).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nd ed.). Minneapolis, MN: Pearson Assessment. 

  10. Bundy, A. C. (2002). Assessing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 In A. C. Bundy, S. J. Lane., & E. A. Murray (Eds.),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2nd ed., pp. 211-225). Philadelphia, PA: F. A. Davis. 

  11. Cameron, C. E., Brock, L. L., Murrah, W. M., Bell, L. H., Worzalla, S. L., Grissmer, D., et al. (2012). Fine motor skills and executive function both contribute to kindergarten achievement. Child development, 83(4), 1229-1244. http://dx.doi.org/10.1111/j.1467-8624.2012.01768.x 

  12. Dewey, D., Cantell, M., & Crawford, S. G. (2007). Motor and gestural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nd/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3(2), 246-256. http://dx.doi.org/10.1017/S1355617707070270 

  13. Fingerhut, P., Madill, H., Darrah, J., Hodge, M., & Warren, S. (2002). Classroom-based assessment: Validation for the school AMP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2), 210-213. http://dx.doi.org/10.5014/ajot.56.2.210 

  14. Fisher, A. G., Bryze, K., Hume, V., & Griswold, L. A. (2007). School AMPS: School version of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2nd ed.). Fort Collins, CO: Three Star Press. 

  15. Henderson, S. E., Sugden, D. A., & Barnett, A. L. (2007) Motor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2nd ed.). London, UK: Pearson. 

  16. Hong, E. K., & Kim, K. M. (2013).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tools for praxis ability of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Provide range of assessment tools in foreign and domestic normal children. The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2), 41-56. 

  17. Ivey, C. K., Lane, S. J., & May-Benson, T. A. (2014). Interrater reliability and developmental norms in preschoolers for the Motor Planning Maze Assessment (MPMA).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5), 539-545. http://dx.doi.org/10. 5014/ajot.2014.012468 

  18. Jung, H. R., Choi, Y. W., & Kim, K. M. (2013). A systemic review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Korea: Focusing on Ayres sensory integr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2), 27- 40. 

  19. Kim, K. M. (2003). The literature review for assessment of sensory integr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1(1), 93-98. 

  20. Kim, K. M., Kim, Y. G., Kim, T. H., Park, S. H., Yu, E. Y., Lee, J. H., et al. (2007). Frame of reference for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2 nd.). Seoul: Jungmungack. 

  21. Kim, M. H., & Kim, M, S., (2004).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amp in children with dyspraxia: Case Study. The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2(1), 1-12. 

  22. Kirk, S. A., Gallagher, J. J., & Anastasiow, N. J. (2003).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10th ed.).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23. Kwon, J. S., Kim, Y. G., Kim, J. Y., Yuk, J. S., Jo, H. J., & Hong, S. P. (2008).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Seoul, Korea: Pacific Books. 

  24. Lai, J. S., Fisher, A. G., Magalhaes, L. C., & Bundy, A. C. (1996).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16(2), 75-97. 

  25. Lane, S. J., Ivey, C. K., & May-Benson, T. A. (2014). Test of Ideational Praxis (TIP): Preliminary findings and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with preschoole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5), 555-561. http://dx.doi.org/10.5014/ajot.2014.012542 

  26. Lee, I. J. (2011). Development in nonverbal intelligence and executive function in 3-7 years old: Comparison between normal and attention problem cchildren.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27. Muller, U., Zelazo, P. D., & Imrisek, S. (2005). Executive function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lse belief: How specific is the relation? Cognitive Development, 20(2), 173-189. http://dx.doi.org/10.1016/j.cogdev.2004.12.004 

  28. Munkholm, M., Berg, B., Lofgren, B., & Fisher, A. G. (2010). Cross-regional validation of the School version of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5), 768-775. http://dx.doi.org/10.5014/ajot.2010.09041 

  29. Munkholm, M., Lofgren, B., & Fisher, A. G. (2012). Reliability of the School AMPS measure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1), 2-8. http://dx.doi.org/10.3109/11038128.2010.525721 

  30. Ozonoff, S. (1998). Assessment and remediation of executive dysfunction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In E. Schopler, G. B. Mesibov, & L. J. Kunce (Eds.), Asperger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pp. 263-292). New york, NY: Plenum press. 

  31. Perner, J., & Lang, B. (2000). Theory of mind and executive function: Is there a developmental relationship? Understanding other minds: Perspectives from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2nd ed., pp. 150-181).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32. Piek, J. P., Dyck, M. J., Nieman, A., Anderson, M., Hay, D., Smith, L. M., et al.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coordination, executive functioning and attention in school aged children.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9(8), 1063-1076. http://dx.doi.org/10.1016/j.acn.2003.12.007 

  33. Riccio, C. A., Hall, J., Morgan, A., Hynd, G. W., & Gonzalez, J. J. (1994). Executive function and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Relationship with behavioral rating and cognitive ability.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10(1), 215-229. http://dx.doi.org/10.1080/87565649409540580 

  34. Son, M. S., Kim, H. K., Maeng, H. K., Park, M. J., Son, C. R., Jo, S. J., et al. (2013) The Preliminary Study on Praxis in Preschoo- l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4), 37-46. http://dx.doi.org/10.14519/jksot.2013.21.4.04 

  35. Stefanie C. B. (2015). Developmental dyspraxia and the play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5), 1-6. http://dx.doi.org/10.5014/ajot.2015.017954 

  36. Toussaint-Thorin, M., Marchal, F., Benkhaled, O., Pradat-Diehl, P., Boyer, F., & Chevignard, M. (2013).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praxia: Assessment combining neuropsychological and ecological tests. Annals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6(4), 268-287. http://dx.doi.org/10.1016/j.rehab. 2013.02.006 

  37. Valentini, N. C., Ramalho, M. H., & Oliveira, M. A. (2014).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 Transla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Brazilian children.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5(3), 733-740. http://dx.doi.org/10.1016/ j.ridd.2013.10.028 

  38. Vanvuchelen, M. (2009). Imitation problem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tudy of their nature, clinical significance and utility in diagno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Belgium. 

  39. Wilson, B., Pollock, N., Kaplan, B. J., Law, M., & Faris, P. (1992).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Clinical Observations of Motor and Postural Skill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6(9), 775-783. http://dx.doi.org/10.5014/ajot.46.9.775 

  40. Wilson, B., Pollock, N., Kaplan, B. J., Law, M., & Faris, P. (1992).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Clinical Observations of Motor and Postural Skill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6(9), 775-783. http://dx.doi.org/10.5014/ajot.46.9.775 

  41. Windle, G., Bennett, K. M., & Noyes, J. (2011). A methodological review of resilience measurement scale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9(1), 8. 

  42. Wuang, Y. P., & Su, C. Y. (2009).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0(5), 847-855. http://dx.doi.org/10. 1016/j.ridd.2008.12.002 

  43. Wuang, Y. P., Su, C. Y., & Huang, M. H. (2012). Psychometric comparisons of three measures for assessing motor functions in preschool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6(6), 567-578. http://dx.doi.org/10.1111/j.1365-2788.2011.01491.x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