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8 no.2, 2020년, pp.42 - 54  

신지은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김경미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  장문영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  홍은경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Children; SPS-C)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로써, 도구의 결과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를 제시하고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경남 지역 소재의 일반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일반 아동 만 3~5세 337명을 대상으로 표준점수와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을 사용하였다.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표준점수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균-1 표준편차, 평균-2 표준편차를 확인하였고,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간의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과 : 아동감각처리척도의 총점에 대한 표준점수를 확인한 결과, 총점이 115~150점일 때 '정상', 105~114점일 때 '문제 가능성', 50~104점일 때 '확실한 문제'로 선별할 수 있다.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간의 피어슨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총점 간의 상관계수는 .755로 강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임상적 사용을 위해 결과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를 제시하였고, 다른 평가도구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여 만3~5세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에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 standard score of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and its concurrent validity by correlation with the Short Sensory Profile (SSP). Methods : The subjects were children enrolled in nurseries and kindergartens in Busan and Gyeongna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 개발된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검사 결과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가 없어 국내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감각 처리능력을 평가하는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검사 결과 및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를 제공하고, 아동감각처리 척도(SPS-C)가 임상적으로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Short Sensory Profile(SSP)와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공인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체크리스트로써, 감각프로파일에서 드러난 문제들을 보완하여 감각처리의 어려움을 갖는 아동을 선별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이 검증된(Kim, 2004; Kim, 2008; Ji, 2003; Ahn, Miller, Milberger, & McIntosh, 2004; Dunn, 1999; Dunn & Westman, 1997; McIntosh, Miller, Shyu, & Dunn, 1999; Rogers, Hepburn, & Wehner, 2003) 단축감각 프로파일을 아동감각처리척도의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 선정하여 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만3∼5세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감각 처리척도의 표준점수를 확인하고, SSP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 연구 대상자는 기관을 편의 추출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11개의 일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직접 전화를 한후, 기관장에게 연구목적과 대상에 대해 설명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기관장에게 검사지에 응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후, 직접 방문하여 검사지를 전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처리란 어떤 과정인가? 감각처리는 몸과 환경으로부터 들어오는 감각 정보를 해석하고 조직화하는 과정이다(Dunn, 2001). 이러한 과정은 학습, 지각, 행동의 기초가 되며(Ahn, Miller, Milberger, & McIntosh, 2004; Kandel, Schwartz, & Jessell, 2000; Shepherd, 1994), 일상 작업에 의미있게 참여하고 환경적인 요구에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Humphry, 2002; Hochhauser & Engel-Yeger, 2010; Miller & Lane, 2000).
한국 문화에 적합한 아동감각처리척도를 개발한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는 서양 문화권에서 개발 및 표준화된 것이 대부분이다(Hong & Kim, 2012). 그러나, 다른 문화권에서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경우, 표본집단을 통한 국내 또래 아동과의 수행을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고(Hong & Kim, 2013), 임상에서 치료사가 외국에서 개발, 표준화된 평가도구로 대상자의 정확한 감각처리능력을 진단하고, 치료를 계획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ng & Kim, 2013). 이에 Kim, Shin과 Kim(2015)은 만 3~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적합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를 개발하였다.
감각 처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평가도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작업치료사들은 감각처리가 일상 활동의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한다(DeGangi & Laurie, 1991; Dunn, 1997; Murray & Anzalone, 1991; Walting, Deitz, & White, 2001; Williamson & Anzalone, 1997). 감각 처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평가도구로는 Sensory Profile(SP) (Dunn, 1999), Sensory Processing Measure(SPM)과 같은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부모 또는 교사의 보고로 평가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Cervera, Cerezuela, Andres, & Minguez, 2015; Glennon, Miller, Henry, Parham, & Ecker, 2007). 특히, 한국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 사용 동향에 관한 연구에서 Sensory Profile(SP)은 국내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평가도구이다(Kim, Shin, & Kim, 2015; Yoo, Jung, Park, & Choi,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R. R., Miller, L. J., Milberger, S., & McIntosh, D. N. (2004). Prevalence of parent's perceptions of sensory processing disorders among kindergarten children. American Journals of Occupational Therapy, 58(3), 287-293. https://dx.doi/10.5014/ajot.58.3.287 

  2. Brown, C., Tollefson, N., Dunn, W., Cromwell, R., & Filion, D. (2001). The adult sensory profile: Measuring patterns of sensory processing.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 75-82. 

  3. Bundy, A. C., Lane, S. J.,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PA: F. A. Davis. 

  4. Case-Smith, J., & O'Brien, J. C. (2014).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Case Review) (7th ed.). Philadelphia: Mosby. 

  5. Cervera, P. S., Cerezuela, G. P., Andres, M. I. F., & Minguez, R, T. (2015).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lationship with non-verbal IQ, autism severity an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ymptomatolog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45-46, 188-201. http://dx.doi.org/10.1016./j.ridd.2015.07.031 

  6. Daniels, D. B., & Dunn, W. W. (2000). Development of 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20(1), 86-90. https://dx.doi/10.1177/15394492000200S107 

  7. DeGangi, G. A., & Laurie, R. S. (1991). Assessment of sensory, emotional, and attentional problems in regulatory disordered infants: Part 1. Infants and Young Children, 3(3), 1-8. 

  8. Dunn, W. (1994). Performance of typical children on the sensory profile: An item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8(11), 967-974. 

  9. Dunn, W. (1997). The sensory profile: A discriminating measure of sensory processing in daily life. Sensory Integration Special Interest Section Newsletter, 20, 1-3. 

  10. Dunn, W. (1999). The sensory profile: Examiner's manual.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11. Dunn, W., & Brown, C. (1997). Factor analysis on the sensory profile from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7), 490-495. 

  12. Dunn, W., & Westman, K. (1997). The sensory profile: The performance of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1), 25-34. 

  13. Dunn. W. (2001). The sensations of everyday life: Empirical, theoretical, and pragmatic consideration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 608-620. http://dx.doi.org/10.5014/ajot.55.6.608 

  14. Family Medicine Department of Hallym Medical University. (1999). Practice and theory of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15. Gannotti, M. E., & Handwerker, W. P. (2002). Puerto rican understanding of child disability: Methods for the cultural validation of standardized measures of child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55(12), 2093-2105. http://lps.doi.org.libproxy.inje.ac.kr/10.1016/S0277-9536(01)00354-9 

  16. Glennon, T., Miller-Kuhaneck, H., Henry, D. A., Parham, L. D., & Ecker, C. (2007). Sensory processing measure manual.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7. Gouze, K. R., Hopkins, J., LeBailly, S. A., & Lavigne, J. V. (2009). Re-examining the epidemiology of sensory regulation dysfunction and comorbid psychopathlog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7(8), 1077-1087. http://dx.doi.org/10.1007/sl10802-009-9333-1 

  18. Hochhauser, M., & Engel-Yeger, B. (2010).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their relation to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mong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FASD).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4(4), 746-754. http://dx.doi.org/10.1016/j.rasd.2010.01.015 

  19. Hong, E. K., & Kim, K. M. (2012). Systematic review on translation and culture adaptation study method of developmental assessment too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6(3), 319-338. 

  20. Hong, E. K., & Kim, K. M. (2013). The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tool to measure sensory processing ability: Provide the mean of performance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2(2), 189-207. 

  21. Gunn, T. E., Tavegia, B. D., Houskamp, B. M., McDonald, L. B., Bustrum, J. M., & Welsh, R. K. (2009).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deficits and externalizing behaviors in an urban, Latino preschool populatio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6), 653-661. http://dx.doi.org/10.1007/s10826-009-9266-x 

  22. Humphry, R. (2002). Young children's occupations: Explicating the dynamics of developmental process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2), 171-179. 

  23. Ji, S. Y. (2003). Comparison of japanese sensory inventory-2 score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 1-8. 

  24. Kandel, E. R., Schwartz, J. H., & Jessell, T. M. (2000).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4th ed.). New York, USA: McGraw-Hill. 

  25. Ketelaar, M., Vermeer, A., & Helders, P. (1998). Functional motor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assessment measures. Clinical Rehabilitation, 12(5), 369-380. https://doi.org/10.1191/026921598673571117 

  26. Kim, K. M. (2004). A study on the validity of short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2(1), 1-10. 

  27. Kim, K. M., Shin, H. H., & Kim, M. H. (2015).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 measure sensory processing of children,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2), 31-41. http://dx.doi.org/10.18064/JKASI.2015.13.2.031 

  28. Kim, M. S. (2001). A comparison of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9(1), 1-10. 

  29. Kim, Y. M. (2008). Development of early screening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for infant with sensory integration deficiency.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30. Kim. K. M., & Shin, H. H. (2016). A study for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SPS-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4(2), 11-21. http://dx.doi.org/10.18064/JKASI.2016.14.2.011 

  31. Maxwell, D. L., & Satake, E. (2006). Research and statistical methods i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Canada: Thomson Delmar Learning. 

  32. McIntosh, D. N., Miller, L. J., Shyu, W., & Dunn, W. (199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sensory profile. In W. Dunn (Ed.), The sensory profile: Examiners manual.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operation. 

  33. Miller, L. J., & Lane, S. (2000). Toward a concensus in terminology in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art 1. Taxonomy of neurophysiological processes. Sensory Integration Special Interest Section Quarterly, 23, 1-4. 

  34. Murray, E. A., & Anzalone, M. (1991). Integrating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with other intervention approaches. In A. G. Fisher, E. A. Murray, & A. C. Bundy (Eds.),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p. 354-384). Philadelphia, PA: F. A. Davis. 

  35. Park, H. S., Kim, K. M., & Chang, M. Y. (2015).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on the parent's understanding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1), 33-44. http://dx.doi.org/10.18064/JKASI.2015.13.1.033 

  36. Rogers, S., Hepburn, S., & Wehner, E. (2003). Parent report of sensory symptoms in toddlers with autism and those with other developmental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3(6), 631-642. 

  37. Ronald, V. C., Micheal, H., & Erick, M. (2001).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3(1), 275-280. 

  38. Shepherd, G. M. (1994). Discrimination of molecular signals by the olfactory receptor neuron. Neuron, 13(4), 771-790. https://doi.org/10.1016/0896-6273(94)90245-3 

  39. Teresi, J. A., Cross, P. S., & Golden, R. R. (1989). Some applications of latent trait analysis to the measurement of ADL. Journal of Gerontology, 44(5), 196-204. http://dx.doi.org/10.1093/geronj/44.5.S196 

  40. Tomcheck, S. D. (2001). Assessment of individuals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utilizing a sensorimotor approach. In R. A. Huebner (Ed.), Autism: A sensorimotor approach to management (pp. 101-138). Maryland, USA: Aspen. 

  41. Varenne, F., Botton, J., Merlet, C., Vachon, J. J., Geiger, S., Infante, I. C., et al. (2015). Standardization and validation of a protocol of zeta potential measurements by 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for nanomaterial characterization.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486, 218-231. http://dx.doi.org/10.1010/j.colsurfa.2015.08.044. 

  42. Watling, R. L., Deitz, J., & White, O. (2001). Comparison of sensory profile score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American Journals of Occupational Therapy, 55(4), 416-423. http://dx.doi.org/10.5014/ajot.55.4.416 

  43. Williamson, G. G., & Anzalone, M. (1997). Sensory integration: A key component of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young children with severe difficulties in relating and communicating. Zero to Three, 17, 29-36. 

  44. Yoo, E. Y., Jung, M. Y., Park, S, Y., & Choi, E. H. (2006).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4(3), 27-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