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내 안전체험교실의 시설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cility Model for Safety Training Class in School 원문보기

교육녹색환경연구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v.16 no.2, 2017년, pp.19 - 33  

박성철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안유정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송병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조진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육부, 학교현장, 건축가, 기업 등 관련 기관의 정책수립, 운영계획수립, 시설건립 등 다양한 사업추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안전체험교실에 적용하기 위한 필수 교육프로그램을 도출하고 단위공간 조성과 이에 대한 구성요소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5단계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첫째, 안전교육 수행 및 시설계획 기본방향과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공간규모, 시설구성 등 공간조성 실태와 운영실태분석을 바탕으로 안전교육 체험교실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존 안전체험교실의 장 단점을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참여디자인을 통하여 5가지의 시설모형(안)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안)은 1) 교통안전(보행안전, 차량안전, 지하철안전) 2) 응급처치(응급구조, 신고요령) 3) 재난안전(화재 대피안전, 지진 생활안전) 4) 승강기안전(승강기안전, 에스컬레이터안전) 5) 약물 및 폭력안전(흡연 음주안전, 성폭력안전, 식품안전)에 대한 체험존과 각 영역의 세부 안전체험공간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안)은 학교현장의 수용 가능한 공간적 규모에 따라 각 모형을 조합 또는 분리하여 안전체험교실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ducation programs for safety training class, create unit spaces and present components and methods of utilizing the spaces for the development of facilities models closely related to various policy, operation plan and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s promoted by...

주제어

참고문헌 (20)

  1. 경기도교육청, 행복을 지키는 안전교육 길라잡이, 2013 

  2. 경기도교육청, 재난안전 체험형 안전교육, 2015 

  3. 경상남도 교육청, 2015 안전한 유치원 생활을 위한 공.사립 유치원 원감 안전교육 연수, 2015 

  4. 권영국,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안전의식과 안전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38권, 제1호, pp. 30-43, 2015 

  5. 교육부, 유지원 교육과정 운영지원을 위한 유아 재난대비.생활안전교육 프로그램, 2012 

  6. 국회입법조사처, 학교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성문화사, 2014 

  7. 김경희 외, 체험경제 이론을 이용한 축제체험이 즐거움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제14권, 제1호, pp. 103-120, 2015. 

  8. 김용기, 체험형 전시공간의 실내환경연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박효정 외, 안전교육 표준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10. 보건교육포럼과 한국과학창의재단, 청소년 창의 체험활동을 위한 안전교육 가이드북, 2014 

  11. 중앙공무원교육원, 국민안전 교육과정 개발연구, 2014 

  12. 서울특별시 소방방재본부, 안전교육 교수학습 매뉴얼, 2007 

  13. 이미나 외,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어린이 체험전시공간의 디자인 기획에 관한 연구-국립과천 과학관 어린이탐구체험관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3권, 제1호 pp.185-190, 2011 

  14. 이영화 외, 안전체험관 공간구성과 전시매체의 현황조사 및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1권, 제3호, pp. 144-153, 2012 

  15. 한호 외, 안전체험 공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체험 내용 및 운영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48호, pp. 32-43, 2014 

  16. Downing, G. E.,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e Phi Delta Kappan, Vol.21, No.5, pp. 198-200, 1939 

  17. McWhirter, J., A Review of Safety Education: Principles for effective practice, Birmingham, 2008 

  18.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Evaluating and Creating Fire and Life Safety Materials, 2010 

  19. New South Wales Fire Brigades, Primary School Fire Safety Education(Fire ED) Level 1 Program, 2006 

  20. Ramsay, J., & Sorrell, E., Problem-based learning: A novel approach to teaching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al courses, In ASSE Professional Development Conference and Exposition, American Society of Safety Engineers,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