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적용한 당뇨병 이상소견자의 분포 및 특성 - 당뇨병 기진단자를 제외한 성인을 대상으로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bnormal Findings Regarding Fasting Plasma Glucose and HbA1c - Based on Adults Except for Known Diabet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9 no.3, 2017년, pp.239 - 247  

권세영 (대구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나영악 (대구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당뇨 진단 기준에는 표준검사법인 경구당부하검사, 공복혈당, 당화혈색소가 있다. 그러나, 검사별로 판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선별검사에서 행해지는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당뇨병 판정의 일치도를 구해보고, 유형별로 그 특성을 살펴 보았다.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2015) 중 측정치 누락자, 당뇨병 기진단자, 공복 8시간 미만인 자를 제외한 20세 이상 대상자 4,502명(남성 1,956명, 여성 2,546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농도를 당뇨병 진단기준의 세 범주(정상, 당뇨병 전단계, 당뇨병)로 나누어 살펴본 남성 대상자의 분포에서 공복혈당 100 mg/dL~125 mg/dL이면서 HbA1c ${\geq}6.5%$인 대상자는 664명 중 23명, 새롭게 진단된 당뇨군 86명 중 39명은 공복혈당 ${\geq}126mg/dL$ 이면서 HbA1c < 6.5%로 나타났다. 판정의 일치율은 비당뇨군 80.3% 당뇨군 54.7%, 당뇨병 전단계에서 44.9%로 가장 낮았다. 코헨의 kappa 값은 남성의 경우 0.322, 여성의 경우 0.362로 일치도가 낮게 나타났고, 두 범주(비당뇨병, 당뇨병)로 나누었을 때 남성의 경우 0.582, 여성의 경우 0.637로 나타나 더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공복혈당 <126 mg/dL이며 HbA1c < 6.5%인 군에서 연령도 낮고 대부분의 혈액 측정치도 낮게 나타났으며, 공복혈당 ${\geq}126mg/dL$ 이면서 HbA1c ${\geq}6.5%$인 군에서 남성의 경우 허리둘레, 혈압,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수치가 높고 여성의 경우 ALT, hsCRP가 높게 나타났다. 남녀 모두 공복혈당 ${\geq}126mg/dL$인 군에서 인슐린저항성 지표인 HOMA IR값이 유의하게 높았고, <126 mg/dL인 군에서 인슐린감수성 지표인 QUICKI 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당뇨병 판정의 낮은 일치도 및 진단검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련검사의 병행 해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the commonly known tools to diagnose diabetes are fasting plasma glucose (FPG), HbA1c., and OGTT known as gold standard. However, there can be many disagreements on the ways to diagnose diabet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fferences of the types of diabetes according to the applicabi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당뇨병은 선별검사를 통해 당뇨병 뿐만 아니라 당뇨병 위험군을 판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당뇨 검사법인 경구당부하검사,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세 가지 검사법 중에 집단 선별검사에서 시행하기 힘든 경구당부하검사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선별검사에서 시행되는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당뇨병 관련 기준에 적용시켜 그 분포와 판정의 일치도를 살펴보았다. 당뇨병 진단의 표준 검사는 경구당부하 검사이지만 집단 선별검사에는 어려움이 있어 공복혈당검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공복혈당검사만으로는 당뇨병을 과소 추정될 수 있어 이와 함께 당화혈색소검사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3,6,12].
  • 그러나, 검사별로 판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선별검사에서 행해지는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당뇨병 판정의 일치도를 구해보고, 유형별로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2015) 중 측정치 누락자, 당뇨병 기진단자, 공복 8시간 미만인 자를 제외한 20세 이상 대상자 4,502명(남성 1,956명, 여성 2,546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 그러나, 여러 인구학적인 특성의 차이로 경구당부하검사 기준과 공복혈당 기준에 따른 당뇨병 판정에 불일치가 나타남이 보고되고 있고[8,9], 실제로 임상에서는 공복혈당 기준에 의한 판정과 당화혈색소 기준에 의한 판정이 일치하지 않는 사례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단위 선별검사에서 행해지는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당뇨병 관련 기준에 적용시켜 그 분포를 파악한 후 판정의 일치도를 구해보고,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지표에 따른 집단별로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임상에서 적용되는 당뇨 진단 기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당뇨 진단 기준에는 표준검사법인 경구당부하검사, 공복혈당, 당화혈색소가 있다. 그러나, 검사별로 판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당뇨병 진단의 표준검사법은 무엇인가 전통적으로 적용되어온 당뇨병 진단 방법에는 공복혈당과 식후혈당 검사가 있으며, 특히 당뇨병 진단에서 경구당부하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가 표준검사법으로 알려져있다[1-3]. 진단검사방법의 발전으로 당뇨 진단에서 당화혈색소 측정의 의의가 꾸준히 강조되면서[4] 2010년에는 미국 당뇨병 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에서 당화혈색소(Hemoglobin A1c, HbA1c)를 당뇨병 진단 기준에 새롭게 추가하고 이를 권고하였다[5].
당화혈색소검사의 중요성을 강조한 외국의 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당뇨병 진단의 표준 검사는 경구당부하 검사이지만 집단 선별검사에는 어려움이 있어 공복혈당검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공복혈당검사만으로는 당뇨병을 과소 추정될 수 있어 이와 함께 당화혈색소검사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3,6,12]. 일본인 대상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 당뇨병 예측을 위한 ROC분석 결과, 공복혈장혈당 단독으로 진단한 경우 AUC 0.818, 당화혈색소 단독으로 진단한 경우 AUC 0.771, 두 검사를 병행하여 진단한 경우 AUC 0.853으로 나타나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의 병행 검사가 진단에 더 유용함을 입증하였고[13], 미국인 대상 연구에서도 경구당부하검사 2시간 후의 혈당과 공복혈장혈당 간의 불일치를 보고하며 공복혈장혈당과 당화혈색소 검사의 조합을 강조하였다[14]. 이는 국내에서 행해진 2,045명 대상 4년간 추적 검사에서도 이 두 검사를 조합하여 진단한 경우 더 높은 당뇨병 예측율을 보임이 증명되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almasi AM, Dancy M. The glucose tolerance test, but not HbA(1c), remains the gold standard in identifying unrecognized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hypertensive subjects. Angiology. 2005;56(5):571-579. 

  2. Phillips PJ. Oral glucose tolerance testing. Australian Family Physician. 2012;41(6):391-393. 

  3. Sacks DB. A1C versus glucose testing: a comparison. Diabetes Care. 2011;34(2):518-523. 

  4.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report on the role of the A1c assay in the diagnosis of diabetes. Diabetes Care. 2009;32(7):1327-1334. 

  5.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010;33(Suppl 1):62-69. 

  6. Carson AP, Reynolds K, Fonseca VA, Muntner P. Comparison of A1C and fasting glucose criteria to diagnose diabetes among U.S. adults. Diabetes Care 2010;33(1):95-97.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7 June 26].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8. The DECODE Study Group: Is fasting glucose sufficient to define diabetes? Epidemiological data from 20 European studies. Diabetologia. 1999;42(6):647-654. 

  9. The DECODA Study Group: The fasting plasma glucose cut-point predicting a diabetic 2-h OGTT glucose level depends on the phenotype. Diab Res Clin Pract. 2002;55(1):35-43. 

  10. Matthews DR, Hosker JP, Rudenski AS, Naylor BA, Treacher DF, Turner RC.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 in man. Diabetologia. 1985;28(7):412-419. 

  11. Katz A, Nambi SS, Mather K, Baron AD, Follmann DA, Sullivan G, et al.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a simple, accurate method for assessing insulin sensitivity in humans. J Clin Endocrinol Metab. 2000;85(7):2402-2410. 

  12. Barr RG, Nathan DM, Meigs JB, Singer DE. Tests of glycemia for the diagnosi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n Intern Med. 2002;137(4):263-272. 

  13. Sato KK, Hayashi T, Harita N, Yoneda T, Nakamura Y, Endo G, et al. Combined measurement of fasting plasma glucose and A1c is effective for the prediction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9;32(4):644-646. 

  14. Wang W, Lee ET, Fabsitz R, Welty TK, Howard BV. Using HbA1c to improve efficacy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fasting plasma glucose criterion in screening for new type 2 diabetes in American Indians. Diabetes Care. 2002;25(8):1365-1370. 

  15. Lee CH, Chang WJ, Chung HH, Kim HJ, Park SH, Moon JS, et al. The combination of fasting plasma glucose and glycosylated hemoglobin as a predictor for type 2 diabetes in Korean adults. Korean Diabetes J. 2009;33(4):306-314. 

  16. Kim JH, Han MA, Park CJ, Park IG, Shin JH, Kim SY, et al. Evaluation of fasting plasma glucose as a screening for diabetes mellitus in middle-aged adults of Naju country. Korean Diabetes J. 2008;32(4):328-337. 

  17. Baik SH, Choi KM, Cho YJ, Kim KO, Kim DR, Kim NH, et al.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in elderly Korean in southwest Seoul (SWS study)-comparison of 1997 ADA & 1985 WHO criteria in elderly Korean. Korean Diabetes J. 2001;25(2):125-132. 

  18. Kwon PS, Rheem IS. The assessment of blood glucos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fasting state and glycemic control indicators for diabetes screening. Korean J Clin Lab Sci. 2016; 48(4):312-320. 

  19. Kwon SY, Na YA. The cutoff value of HbA1c in predicting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Korean J Clin Lab Sci. 2017;49(2):114-120. 

  20. Choi YH, Ahn YB, Yoon KH, Kang MI, Cha BY, Lee KW, et al. New ADA criteria in the Korean population : Fasting blood glucose is not enough for diagnosis of mild diabetes especially in the elderly. Korean J Int Med. 2000;15(3):211-217. 

  21. Angulo 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2002;346(16):1221-1231. 

  22. Esteghamati A, Noshad S, Khalilzadeh O, Khalili M, Zandieh A, Nakhjavani M. Insulin resistance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liver aminotransferases in diabetic patients without ultrasound sign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etab Syndr Relat Disord. 2011;9(2):111-117. 

  23. Gao F, Pan JM, Hou XH, Fang QC, Lu HJ, Tang JL, et al. Liver enzymes concentrations are closely related to prediabetes: findings of the Shanghai Diabetes Study II (SHDS II). Biomed Environ Sci. 2012;25(1):30-37. 

  24. Danesh J, Whincup P, Walker M, Lennon L, Thomson A, Appleby P, et al. Low grade inflamma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prospective study and updated meta-analyses. BMJ. 2000;321(7255):199-204. 

  25. Ridker PM. C-reactive protein and the predic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among those at intermediate risk: moving an inflammatory hypothesis toward consensus. J Am Coll Cardiol. 2007;49(21):2129-2138. 

  26. Choi ES, Rhee EJ, Kim JH, Won JC, Park CY, Lee WY, et al.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determined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and future risk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n men. Korean Diabetes J. 2008;32(6):498-5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