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작형에 따른 포도 '진옥'과 '캠벨얼리'의 수체생육 및 과실 특성 분석
Vin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Jinok' and 'Campbell Early' Grape as Influenced by Cropping System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6 no.3, 2017년, pp.175 - 180  

천미건 (경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김영봉 (경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이선영 (경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홍광표 (경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정성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김진국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신품종 '진옥' 포도와 대조품종인 '캠벨얼리'를 대상으로 재배작형을 노지, 비가림, 무가온 하우스로 나누어 수체생육 및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수체생육을 보면 '진옥'이 '캠벨얼리' 보다 주요 생육기가 빠른 경향이었고, 수확기는 무가온 하우스 재배의 '진옥' 품종이 8월 13일로 가장 빨랐으며, '캠벨얼리' 품종은 8월 17일이었다. 노지 재배유형에서는 '진옥' 품종이 8월 25일, '캠벨얼리' 품종이 8월 29일로 가장 늦었다. 신초경, 신초장 등 신초생육은 처리간 비슷한 경향이었다. 과실특성을 조사한 결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무가온 하우스 재배 시 '진옥'과 '캠벨얼리' 품종에서 각각 $15.4^{\circ}Brix$, $15.9^{\circ}Brix$로 비슷한 경향이었고, 노지 재배에서는 각각 $15.9^{\circ}Brix$, $15.8^{\circ}Brix$였으며, 과실의 산함량과 과피의 색도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병해충 발생은 6월 중순부터 갈색무늬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생육후기인 8월 상순에 조사한 갈색무늬병 피해엽률은 무가온하우스 재배의 '진옥' 품종이 14%로 가장 낮았으며, 노지재배의 경우 '진옥' 품종이 46%, '캠벨얼리' 품종이 49%로 노지재배 유형에서 갈색무늬병의 발생이 많아 생육후기 집중적인 방제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omestic new cultivar to expand cultivation area and sustainable production. The new domestic cultivar, 'Jinok' and control cultivar, 'Campbell Early', had been investigated on vine growth and fruit quality by different cultivating conditions as open field, rain sh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시험은 국내 신육성 품종인 ‘진옥’ 품종의 재배확대와 재배기술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캠벨얼리’와 비교하여 재배작형별 수체생육 특성을 파악하고, 과실특성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의 포도 재배작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국내에서의 포도 재배작형은 노지재배, 비가림재배, 무가온하우스 재배 및 가온재배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6년도 통계에 의하면 포도 작형별 재배면적은 노지 재배가 12,346ha로 86%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설재배가 2,030ha로 14%를 차지하고 있다(KSIS, 2016).
진옥이 가져다 올 이점은 무엇인가? ‘진옥’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캠벨얼리’와 ‘델라웨어’를 교배하여 최종 선발된 품종이다. 숙기가 ‘캠벨얼리’ 보다 5일 빠르며 성숙 시 착색이 고른 장점이 있어, 작형 조절에 의해 숙기를 조절하면 수확시기가 분산되어 홍수출하에 따른 가격하락을 방지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가 전체 재배품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국내에서 재배되는 포도 품종은 ‘캠벨얼리’가 전체 재배품종의 약 70%를 차지하여 편중화가 심하고, 홍수출하에 따른 가격하락 예방을 위해 다양한 품종의 재배를 통한 수확시기 분산이 요구된다. 하우스 가온재배로 출하시기 분산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후 불안정으로 인해 몇몇 품종들은 출하시기가 겹치면서, 시장 선점을 위해 조기에 수확하는 비율이 높아 품질이 낮은 포도가 시중에 출하되어 소비자들의 인식이 나빠지는 경향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S.Y., S.H. Park, S.J. Choi, and H.K. Yun. 2012. Characteristics of cold hardiness and growth of grapevines grown under rain shelter type cultivation system in the vineyard. Kor. J. Hort. Sci. Technol. 30:624-634 (in Korean). 

  2. Jung, S.M., J.H, Park, S.J, Park, and C.L. Han. 2009. Region at difference of leaf spot disease on grapevine cv. 'Campbell Early'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in plastic green house. Res. Plant Dis. 15:193-197 (in Korean). 

  3. Kim, S.H., S.H. Park, H. Yun, and M.S. Ryou. 2009. Analysis of factors on leaf chlorosis at veraison in heated greenhouse cultivation system of 'Campbell Early' grapevines. Kor. J. Hort. Sci. Technol. 27:578-583 (in Korean). 

  4. Kim, S.H., S.U. Choi, Y.S. Lim, J.T. Yoon, and B.S. Choi. 2001. Et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ntrol of ripe rot in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Res. Plant Dis. 7:140-144 (in Korean). 

  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http://kosis.kr/ 

  6. Lee, C.H., J.H. Hong, J.S. Lim, and K.S. Lee. Residue patterns of Azoxystrobin and Cyenopyrafen in grape between rainshield and plastic house conditions. Kor. J. Pesticide Sci. 15:97-103 (in Korean). 

  7. Lee, Y.S., S.K. Kim, S.D. Kim, and J.C. Park. 1998. Changes in free sugar content of Campbell Early grape as influenced by cropping system. J. Kor. Soc. Hort. Sci. 39:417-422 (in Korean). 

  8. Lee, Y.H. and S.K. Ha. 2011. Impacts of chemical properties on microbial population from uplan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242-247 (in Korean). 

  9. Lim S.C., Kim S.K, Youn C. K, Kim Y.H, D.H. Kim and T. Youn. 2003. Effect of forcing culture system on leaf starch and mineral content of peaches. Kor. J. Hort. Sci. Technol. 44:76-81 (in Korean). 

  10. Oh, Y.J. 2011.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grape cultivars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SR marker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11. Park, J.H., Han, K.S., Lee, J.S., Seo, S.T., Jang, H.I. and Kim, H.T. 2004. Occurrence tendency and decrease of fruits brix according to increasing grapevine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Research in Plant Disease, 10:341-344 (in Korean). 

  12. Park, S.J., S.M. Cheoong, S.H. Kim, M.S. Ryou, H.C. Lee, and S.T. Jeong. 2009. Establishment of minimum harvesting time for the girdled 'Campbell Early' grape. J. Bio-Environ. Cont 18:502-507 (in Korean). 

  13. Park, S.J., J.G. Kim, S.M. Jung, J.H. Noh, Y.Y. Hur, M.S. Ryou, and H.C.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berry set density and fruit quality in 'Kyoho' grape. Kor. J. Hort. Sci. Technol. 28:954-958 (in Korean). 

  14. Shiraishi, S. and Y. Watana. 1994. Relationship between fruit color and anthocyanin in grape skins. Bull. Kyushu Univ. Farm. 7:19-20 (in Japanese). 

  15. Takahashi, K. 1986. Studies on the optimum fruit load in grapevines. Bull. Shimane Agrc. Exp. Sta. 21:55-76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