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사고의 일차 대응을 위한 피해영향범위 산정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Damage Range Calculation for First Response to Chemical Accident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2 no.2, 2017년, pp.59 - 65  

이덕재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안재현 (서경대학교 토목건축공학과) ,  송창근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lculation of the damage impact of chemical accidents is an important element in site, and the initial isolation distance and the protective action distances are significant factors in coping the chemical accident. In this study, three major cities that represent each Province were selected,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피해 영향범위 개선을 위한 연구를 위해 국내에서 화학사고 빈도가 높은 지역과 화학물질을 선정하고, EPA(미국 환경보호청)의 ALOHA(Areal Locations of Hazardous Atmospheres) 모델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핸드북과 가이드에서 제공되는 초기거리와 방호거리를 국내의 기상 등 다양한 현장요소의 반영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 EPA에서 프로그램 소스가 정확히 제공되지 않는 점으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 풍속, 기온 등 현장 기상요소를 제외하고는 특정 조건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거리와 방호거리에 한국의 기상요소 등 다양한 요소에 대한 반영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목적을 두었음을 다시금 상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핸드북과 가이드에 수록되어 있는 피해영향범위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개선방향은 국내 기상 조건을 고려하여 초기거리와 방호거리를 산정하고 기존 핸드북과 가이드에서 제시된 피해영향범위와 비교를 통해서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액체 형태의 소규모 유출, 낮과 밤의 대기조건과 지역별 풍속을 반영하여 초기거리와 방호거리를 산정하였으며 핸드북에 제시되어 있는 소규모 유출 시 초기거리 및 방호거리와 비교하였다. 상호 비교를 통해서 가이드와 핸드북에서 제시된 초기거리와 방호거리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핸드북 등의 한계점과 제공되는 초기거리와 방호거리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핸드북 등에서 제공되는 초기거리와 방호거리에 대한 모델링 방법, 기상조건 등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아 재현성과 화학사고 현장에서 적용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설 설정

  • 가이드와 핸드북에서 제시되고 있는 피해영향범위에 대한 한계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피해영향 범위 산정에 대한 기초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다. 가이드와 핸드북에는 피해영향범위가 제시되어 있으며 그 중 핸드북에 제시되고 있는 피해영향범위는 화학물 질별로 소규모 유출과 대규모 유출로 구분하여 각각 초기거리와 방호거리를 나타내었다.
  • 입력 자료를 구축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정하였다; 1) 연구 대상 지역은 인천, 청주, 울산에 대한 위·경도를 활용하였다; 2) 가스 확산 시나리오에 대한 누출물 질의 풍향방향에 있는 건물 내 가스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환기율을 선정하였다; Single storied building은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0.45회/hr로 결정된다; 3) 화학 물질은 100% 순수한 물질로 가정하였다; 4) 대기조건은 풍속, 구름량, 온도, 습도는 기상청에서 제공된 평균 월간 측정값을 적용하였다; 풍향은 북향, 대기안정도는 낮(B, 불안정) / 밤(E, 약간 안정)으로 각각 가정하였다. 풍속을 측정하는 높이 10 m, 지표면 거칠기 도시(산림)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5) Source Modeling을 입력하기 위하여 누출량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시간에 따라 누출률이 변하지 않는 Direct 조건을 가정하였다.
  • 입력 자료를 구축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정하였다; 1) 연구 대상 지역은 인천, 청주, 울산에 대한 위·경도를 활용하였다; 2) 가스 확산 시나리오에 대한 누출물 질의 풍향방향에 있는 건물 내 가스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환기율을 선정하였다; Single storied building은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0.45회/hr로 결정된다; 3) 화학 물질은 100% 순수한 물질로 가정하였다; 4) 대기조건은 풍속, 구름량, 온도, 습도는 기상청에서 제공된 평균 월간 측정값을 적용하였다; 풍향은 북향, 대기안정도는 낮(B, 불안정) / 밤(E, 약간 안정)으로 각각 가정하였다. 풍속을 측정하는 높이 10 m, 지표면 거칠기 도시(산림)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5) Source Modeling을 입력하기 위하여 누출량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시간에 따라 누출률이 변하지 않는 Direct 조건을 가정하였다.
  • 45회/hr로 결정된다; 3) 화학 물질은 100% 순수한 물질로 가정하였다; 4) 대기조건은 풍속, 구름량, 온도, 습도는 기상청에서 제공된 평균 월간 측정값을 적용하였다; 풍향은 북향, 대기안정도는 낮(B, 불안정) / 밤(E, 약간 안정)으로 각각 가정하였다. 풍속을 측정하는 높이 10 m, 지표면 거칠기 도시(산림)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5) Source Modeling을 입력하기 위하여 누출량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시간에 따라 누출률이 변하지 않는 Direct 조건을 가정하였다. 누출 량은 소규모 누출의 최대 용량인 200 L, 저장용기에서의 가스 누출은 최대 저장 용량이 60분간 전량 방출될 때를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 풍속을 측정하는 높이 10 m, 지표면 거칠기 도시(산림)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5) Source Modeling을 입력하기 위하여 누출량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시간에 따라 누출률이 변하지 않는 Direct 조건을 가정하였다. 누출 량은 소규모 누출의 최대 용량인 200 L, 저장용기에서의 가스 누출은 최대 저장 용량이 60분간 전량 방출될 때를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 누출위치는 0 m, 저장상태는 액체, 저장온도는 각각의 화학물질의 끓는점을 고려하여 암모니아 -40℃, 불산 0℃, 염화수소 -90℃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사고 발생현황 추이는? 화학사고 발생현황은 2013년 86건, 2014년 104건, 2015년 111건 등 매년 증가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도 상승하고 있다1) . 대표적인 화학 사고로 2012년 ○○시 ○○ 공장 내에서 불산 20톤 중약 8톤이 유출되어 사망 5명, 진료의뢰 12,000여명, 농작물 피해 약 212 ha 등 막대한 인적 및 재산상의 피해를 끼친 사례를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화학 사고로 입은 피해는? 화학사고 발생현황은 2013년 86건, 2014년 104건, 2015년 111건 등 매년 증가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도 상승하고 있다1) . 대표적인 화학 사고로 2012년 ○○시 ○○ 공장 내에서 불산 20톤 중약 8톤이 유출되어 사망 5명, 진료의뢰 12,000여명, 농작물 피해 약 212 ha 등 막대한 인적 및 재산상의 피해를 끼친 사례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인·물적 피해와 더불어 환경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여러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내 화학사고 대응체계는 어떠한가? 국내 화학사고 대응체계는 화학사고 관련 유관기관인 소방, 환경부 및 산하 기관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화학사고 대응 기관인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에서는 화학사고 발생 시 현장 및 초기 대응기관인 소방에 해당 화학사고를 유발한 화학물질 특성정보, 사고위험정보, 안전 및 특수대응 정보와 유·누출에 따른 화학물질의 피해영향범위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화학사고 물질이 정확히 확인된 경우 에는 현장 및 초기 대응 기관인 소방에 피해영향범위 등 관련 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지만 화학사고 물질이 확인되지 않거나 야간·휴일의 경우 현장 관계자 등이 부재 시 화학사고 물질을 신속히 확인할 수 없을 경우 화학사고 대응기관에서 피해영향범위 등 관련 정보를 즉시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NICS, Chemical Safety Clearing-house(http://csc.me.go.kr/). 

  2. T. O. Kim, H. C. Lee, P. S. Shin, B. N.Choi, J. H. Jo, B. Y. Choi, S. H. Park and H. K. Kim, "Analysis of Safety of the Chemical Facilities by Korea Risk Based-Inspection in the Petrochemical Pl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2, No. 6, pp.35-40, 2007. 

  3. J. H. Baek, H. J. Lee and C. B. Jang, "A Methodology for Determination of the Safety Distance in Chemical Plants using CFD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 3, pp. 162-167, 2016. 

  4. C. H. Shin, J. H. Park and J. H. Yoon, "Analysis on the Risk of the Impermeable Concrete Bottom of Dikes for Nitric Acid Storage Tan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 3, pp. 53-59, 2016. 

  5. NICS, "2014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pp. 538-599, 2014. 

  6. NICS, "Key Info Guide for Accident Preparedness Substances", pp. 163-168, 2014 

  7. Ministry of Environment,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2016. 

  8. NICS,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http://ncis.nier.go.kr/triopen/). 

  9. NICS, "ALOHA User Guide Book", pp 1-4, 2015. 

  10. Y. K. Jung, H. W. Heo and B. G. Yoo, "A Study on the Simplified Estimating Method of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for Aqueous Ammoni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KIGAS Vol. 20, No. 2, pp 49-57, 2016. 

  11. B. Y. Yoon, "Evaluation of Accidental Hazardous Chemical Dispersions in Industrial Area by ALOHA and CALPUFF Models",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 28-31, 2015. 

  12. S. W. Park and S. H. Jung, "Recommended Evacuation Distance for Off-site Risk Assessment of Ammonia Release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3, pp.156-161, 2016.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nual Weather Information(http://www.kma.go.kr/weather/climate/)", pp. 87-88 114-115, 2012-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