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한 벤젠 누출사고 피해영향범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nge of Damage Effects of Benzene Leakage Accidents using the KORA Program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4, 2019년, pp.112 - 120  

차정민 (경북전문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제4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벤젠을 대상 물질로 선정하여 항만시설의 하역 과정에서 화재 및 누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가상의 시나리오를 통해 "독성(Toxic)"과 "액면화재(Pool fire)"에 대한 피해 규모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방법은 국내 화학물질안전원에서 범용프로그램으로 지원하는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벤젠의 화재 및 누출사고에 대한 피해영향 범위를 예측한 결과 독성으로 인한 피해 범위의 경우 누출공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대비 사고 피해영향 범위가 최대 5.11%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누출시간에 대한 피해영향 범위의 경우 누출시간 5 min 대비 10 min에서 145.12% 증가하였으며 20 min에서는 212.29%로 증가하였다. 또한, 액면화재로 인한 피해의 경우 "최악의 사고시나리오"에서 복사열에 의한 피해영향 범위는 취급시설을 중심으로 반경 228.8 m로 나타났으며,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의 경우 복사열에 의한 피해영향 범위는 누출공의 크기가 배관 단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대비 사고 피해영향 범위가 최대 8.26%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nzene is a class 4 hazardous material according to the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Hazardous Substances. This study qualitatively evaluated the damage size of a "toxic" accident and "pool fire" accidents based on benzene in a virtual scenario of a fire and leakage accident during unloading at a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액체화물의 누출에 따른 Toxic (독성), Pool fire (액면화재)의 사고 피해영향 범위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사고 조건에 따른 피해영향 범위를 비교하고자 “최악의 사고시나리오”와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를 산정한 후 연구를 통해 사고 피해영향 범위를 감소시킬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위험물 하역 항만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신뢰성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류 및 액체 화물의 물동량이 가장 많은 울산항을 중심으로 주요 취급화물 중 인화성 액체로서 벤젠을 대상 물질로 하여 누출 및 화재폭발 사고의 위험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보통 국내에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사고 시 화학사고 시나리오별로 피해영향 범위를 평가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Software로는 환경부 산하 화학물질안전원에서 개발한 Korea off-site risk assessment supporting tool (KORA) 프로그램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울산항에서 선박을 통해 하역되는 위험물의 누출·화재 등의 사고로 인한 위험성 및 피해 규모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화학물질관리법」 「사고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에 근거하여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및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를 선정하여 피해영향 범위를 예측·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제4류 위험물(인화성액체)로 분류 되는 벤젠을 대상물질로 누출 시 피해영향범위에 대해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화학물질관리법과 동시에 시행된 장외영향평가 제도의 조속한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KORA는 지금까지 제출된 장외영향평가서가 모두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작성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11), 신뢰성 측면에서 그 개발목적을 충족했다고 할 수 있다.
  • Table 2에서 I-12로 분류되는 “입·출하 시설 누출”의 발생 빈도수인 10-1은 10년에 1회 발생할 수 있는 확률로 환산이 가능하다. 이는 10개의 시설에서는 연간 1회 정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울산의 기상 조건 등을 고려하여 누출조건에 따른 피해영향 범위를 환경부에서 개발한 KORA 프로그램을 통해 예측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누출공 크기에 따른 누출조건은 “최악의 사고시나리오”의 경우 총 저장량이 모두 누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의 경우 누출공의 크기를 단면적의 100%, 66%, 20%인 6 in, 4 in, 1.2 in로 가정하여 20 min 동안 누출되는 양으로 가정하였다.
  • 벤젠의 누출시간에 따른 피해영향 범위를 비교하고자 누출공의 크기를 4 in로 고정한 후 누출시간을 5 min, 10 min, 20 min 동안 누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벤젠의 독성 피해영향 범위는 다음 Figure 6과 같이 누출시간 5 min에서의 피해영향 범위는 7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ORT ACT",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Act (2018). 

  2. N. G. Park, "Economic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Report by Improvement of Securing rate of Port Faciliti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0). 

  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ORT-MIS: Por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2018). 

  4. Ulsan Port Authority, "Construc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Unloading Dangerous Goods in Ulsan Port" (2016). 

  5. P. G. Chong, "A Legislative Study on the Introduction Certificate System on Dangerous Cargo Handling Facilities", Master's Thesis,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2015). 

  6. Ulsan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A case study of Hanyang Ace Explosion Accident Ship" (2015). 

  7. J. S. You and Y. J. Chung, "Study on the Ship Fire Analysis According to Explosion Hazard",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1, pp. 80-86 (2015). 

  8.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arine Accidents Inquiry Agency" (2019). 

  9. S. C. Cha, "A View of Chemical Process Hazard Evaluation Using Consequenc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Vol. 31, No. 5, pp. 60-68 (1998). 

  10. H. J. Lim, S. L. Kwak, J. H. Jung, T. K. Ryu, W. S. Choi, J. E. Lee, J. S. Lee, Y. H. Lee, et al.,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fluence Ranges of Ammonia Leakage by Using KORA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22, No. 3, pp. 38-44 (2018). 

  11. J. K. Kim, J. S. Ryu, T. K. Ryu, S. L. Kwak, H. G. Lim, W. S. Choi, J. H. Jung, J. E. Lee et al., "Suggestions for Increasing Utilization of KORA for Supporting the Off-site Risk Assessment System",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Vol. 44, No. 2, pp. 124-132 (2018). 

  12. Y. H. Seo, "A Study on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Off-site Risk Assessment Supporting Tool of Chemical Accident Scenarios",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2017). 

  13. S. L. Kwak, H. J. Lim, T. K. Ryu, W. S. Choi, J. H. Jung, J. E. Lee, J. K. Kim, Y. H. Lee et al., "Evaluation of Damage Range Variation Based on Operation System of Chlorine Facility in Water Purification Plant using KOR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22, No. 3, pp. 84-90 (2018). 

  14. CCPS, "Guidelines for Initiating Events and Independent Protection Layers in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WILEY, Agawam (2014). 

  15. J. M. Cha, "A Study on Risk Characterization of Discharging Flammable Liquid Cargo in Port Area and Application of Fire Safety Standard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