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과학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4, 2017년, pp.669 - 677  

박기락 (조선대학교)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  연은모 (영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 태도 과학 탐구 능력과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소재한 남녀공학 중학교 전 학년 502명을 대상으로 과학 태도 검사(MARS) 과학 탐구 능력 검사(TSPS)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 검사(PBI)를 하였으며, 1학기 1 2차 과학 지필평가 자료를 수집 후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과학 탐구 능력이나 과학 학업 성취도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과학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은 과학학업 성취도에,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과학 태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과학 태도, 그리고 과학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을 매개로 과학학업 성취도에 간접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정의적 특성인 과학 태도와 인지적 요인인 과학 탐구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채로운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 - 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가정에서는 자녀의 과학 태도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부모가 긍정적 양육 태도를 지닐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relevant variables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middle school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science inquiry ski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를 외생변인으로, 정의적 특성인 과학 태도와 인지적 특성인 과학 탐구 능력⋅과학 학업 성취도를 내생 변인으로 두고 각 변인들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과학 태도⋅과학 탐구 능력을 원인 변인으로 하고, 과학 학업 성취도를 결과 변인으로 선정하여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부모가 긍정적 태도로 자녀를 양육하면 과학 교과에 정의적이고 인지적인 측면에서 긍정적 양육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자의 판단 아래 정의적 측면으로 과학 태도를, 인지적 측면으로는 과학 탐구 능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변인과 더불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과학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최종적으로 과학 학업 성취도에는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를 외생변인으로, 정의적 특성인 과학 태도와 인지적 특성인 과학 탐구 능력⋅과학 학업 성취도를 내생 변인으로 두고 각 변인들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 성취도란 무엇인가? 학업 성취도란 후천적 학습을 통해 습득한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학교 교육활동의 핵심이며 평가도구를 이용해 학생들이 수행한 학습 과제를 수치나 질로 측정하여 객관적으로 나타낸 지표를 말한다 (Min, 1991; Park & Chung, 2016). 지금까지 과학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한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학교나 개인 변인에 국한되어 이루어졌는데(Ahn & Chung, 1996; Lee & Kim, 1996; Lee & Kim, 2004), 학습자 변인이 과학 학업 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Bloom, 1976).
과학교육자들이 과학 탐구 능력의 습득을 강조한 이유는 무엇인가? , 1999). 따라서 일찍이 과학교육학자들은 과학 교육의 주요 목표로 과학 탐구 능력의 습득을 강조하였는데(Padilla, 1983), 이는 학습자의 탐구능력이 발달하게 되면 과학의 본성과 탐구 과정 그리고 과학 개념의 이해력이 높아져서 과학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Jeon & Park, 2014).
중학생에게 부모 양육 태도와 같은 가정환경 변인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과학 학업 성취도와 관련하여 학습자 변인만큼 가정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는데, 학업 성취도를 고려할 때 부모 양육 태도와 같은 가정환경 변인은 중요하다. 특히 중학생 시절은 아직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완전히 성장하지 못한 과도기적 상태이며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부모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므로 부모 양육 태도는 자녀의 학업 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Kim, 2016). 부모 양육 태도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때 나타나는 일반적인 태도나 행동을 의미하는데(Huh, 1999), 부모가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며 애정과 신뢰를 보여준다면 학업 성취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Hwang & Choi, 2003; Lee, 2003)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성별에 상관없이 자녀의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Park & Chung,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nderson, J., & Gerbing, D.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2. Ahn, G., & Chung, Y. (1996). Relationship among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science achievement,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ers' attitud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6(4), 410-416. 

  3.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4. Bandalos, D. L. (2002).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1), 78-102. 

  5. Barry J. F., Gary. J. A., & Herbert. J., W. (1982). Assessment of learning environments: Manual for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LEI) and my class inventory (MCI). Third version. Rockville, Maryland. 

  6.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7.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8.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New York, NY: Mcgraw-Hill Book Company. 

  9. Chan, W. (2007).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equential model fitting method using covariance-equivalent specific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2), 326-346. 

  10. Choi, H. (2015). The Result of science performance in PISA 2012 : Comparing the results of Korea with those of Japan, and of Finland.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79-399. 

  11. Coleman, J. S. (2014).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2), 95-120. 

  12. Finson, K. D. (2002). Drawing a scientist: What we do and do not know after fifty years of drawing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7), 335-345. 

  13. Hoyle, R. H., & Panter, A. T. (1995). Writing about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158-176). Thousand Oaks, CA: Sage. 

  14. Huh, M. (1999).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5. Hwang, H., & Choi, Y. (2003). The effects of parents'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cience Review, 22(1), 285-304. 

  16. Jeon, S., & Park, J. (2014).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7), 647-655. 

  17. Jiang, F., & McComas, W. F. (2015). The effects of inquiry teaching on student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s: Evidence from propensity score analysis of PISA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3), 554-576. 

  18. Kang, M., Kim, J., Yoo, E., Park, Y., & Jo, S. (2012).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cognitive presenc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when using WIS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6(2), 481-498. 

  19. Kim, J. (2016).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olescents on the parenting attitud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7(2), 303-326. 

  20. Kim, S. (2005). International comparative evaluation results on academic achievements: Critical issues and applications. Journal of Secondary Institute Education, 53(2), 27-50. 

  21. Kim, M., & Cho, J. (2013). An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based on TIMS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10), 46-62. 

  22. Kim, S., & Chung, Y. (2015).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6), 931-938. 

  23. Kim, S., & Seo, H. (2011).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2), 307-323. 

  24. Kim, Y., & Park, Y. (1999).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attern of Korean adolescents: With specific focus on the influence of friends, family, and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1), 99-142. 

  25. Kim, Y., Sin, H., & Kang, H. (2016).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chievement and achievement growth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3(2), 33-66. 

  26.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27. Kwak, H., Baik, J., Yang, Y., & Song, I. (2016). School-level factors on the school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comparison of the factors on the ratio of high-achievement and under-achieve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9(1), 333-358. 

  28. Kwon, J., & Kim, B. (199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4(3), 251-264. 

  29. Lee, G. (1998). The relations betwee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3), 415-425. 

  30. Lee, H. (2003). Study of difference from perception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parents' attitude of upbringing.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ild Education, 12(2), 137-150. 

  31. Lee, J., & Kim, B. (1996). Structural analysis among science achievement, science process skills and affective perception toward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6(3), 249-259. 

  32. Lee, M., & Kim, K. (2004).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2), 399-407. 

  33. Lee, S. (2005).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iency,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he achievement in science subj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34.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and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35. MacCallum, R. C., Browne, M. W., & Cai, L. (2007). Factor analysis models as approximations: Some history and some implications. In R. Cudeck & R. C. MacCallum (Eds.), Factor analysis at 100: Historical d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pp. 153-175). Mahwah, NJ: Laurence Erlbaum Associates. 

  36. Mattern, N., & Schau, C. (2002).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ttitude-achievement relationships over time among whit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4), 324-340. 

  37. Min, B. (1991). The effects of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concept on academic performance. Hongik University. 

  3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EST). (2015).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ulletin 2015-74. 

  39. Padilla, M. J., Okey, J. R., & Dillashaw, F., G. (1983).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process skill and formal thinking abilit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3), 239-246. 

  40. Park, H. (2000). Relationship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the science achievement and the basic science aptitud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1. Park, J., & Chung, H. (2016).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career ident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ed by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Life-span Studies, 6(1), 21-37. 

  42.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 & Computers, 36(4), 717-731. 

  43. Russell, D., Kahn, J., Spoth, R., & Altmaier, E.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44.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45. Steiger, J. H. (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2), 173-180. 

  46. Tucker, L. R., & Lewis, C. (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1), 1-10. 

  47. Woo, J., & Kang, S. (1995). A study on the cognitive levels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based on the cognitive styl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5(4), 404-416. 

  48. Woo, J., Kim, B., Hur, M., Kim, C., Yang, I., Choi, K., & Kim, T. (1999). A longitudinal trend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2), 173-184. 

  49. Yu. J., & Jang. K. (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utonomy and school achievement.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1), 117-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