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과학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Attitude Toward Science, Science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Science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5, 2014년, pp.491 - 497  

이정수 (이화여자대학교) ,  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습 동기와 같은 정의적 특성과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같은 인지적 특성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직 간접적인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검사지를 통해 수집된 서울시 중학교 1, 2, 3학년 85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과학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학습 동기는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학습동기는 모두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매개로 과학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학에 대한 태도나 과학 학습 동기와 같은 정의적 특성과 인지적 요인인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동시에 고려하여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motivation such a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such as cognitive factor of science achievement. 853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co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 변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들 간의 인과구조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학습 동기와 같은 정의적 특성을 외생변인으로,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과학 학업성취도와 같은 인지적 특성을 내생변인으로 설정하여 변인들 사이의 인과적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으며, 연구모델은 Figure 1과 같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의 원인 변인으로 설정한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직·간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가설적 연구모델을 바탕으로 통계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학업성취도를 결과변인으로 하고,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원인변인으로 선정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과학 학업성취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경로를 설정하여 연구모델을 구성한 후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에 과학 학업성취도에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구조적으로 접근함으로써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습 동기가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직접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과목에서 학습 동기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동기는 그 자체가 교육의 목표일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를 촉진하는 수단이 된다(Jeong, 1996). 특히, 과학 과목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과 과학 원리 등을 다루므로 동기가 높게 유발되어 있지 않으면 학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들다(Glynn et al., 2011).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로 무엇을 선정하였나?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로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로 TOSRA(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를, 과학 학습 동기 검사지로 SMQⅡ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Ⅱ)를,  그리고 자기조절학습 전략 검사지로 MSLQ(A Man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를 선정하였다. 검사도구는 중학생 9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 검사를 통해 학생들이 이해하고 답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항들을 수정· 보완하였다.
학습자 특성은 어떻게 나뉘는가? 학교 과학교육은 다양한 학습자 및 환경변인들 간의 복합적인 체제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에서의 학업성취도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50%,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25%, 수업의 질 25%로 설명되는데(Bloom, 1976), 그 중 학습자 특성은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으로 나뉜다. 따라서 학습자 특성으로서의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변인들과 과학 학업성취도가 전체적인 구조와 맥락 속에서 서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은 과학교육의 질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derman, E. M., & Young, A. J. (1994).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sci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lassroom effec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8), 811-831. 

  2.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 and school learning. New York, NY: Mcgraw-Hill. 

  3. Blumenfeld, P. C., & Meece, J. L. (1998). Task factors, teacher behavior, and students' involvement and use of learning strategies in science.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8(3), 235-250. 

  4. Brockett, R. G., & Hiemstra, R. (1991). Self-direction in adult learning: Perspectives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5. Dulski, R. E. (1992). Development of a factor analytic path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science-related attitudes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UMI No. 9222051) 

  6.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7. Glynn, S. M., Taasoobshirazi, G., & Brickman, P. (2007). Nonscience majors learning science: A theoretical model of motiv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8), 1088-1107. 

  8. Glynn, S. M. Brickman, P. Armstrong, N., & Taasoobshirazi, G. (2011).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Validation with science majors and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10), 1159-1176. 

  9. Ha, T., Shim, K., Kim, H., & Park, Y. (2008). Development of 4E&E learning cycle model using learning motivation for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6), 527-545. 

  10. Jeon, K., Park, H., & Noh, T. (2006). The impact of motivational and cognitive variables on multiple-choice algorithmic chemistry problem solving: Achievement goal, perceived ability, learning strategy, and self-reg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1), 1-8. 

  11. Jeong, J. (1996). School learning and motivation. Seoul: Kyoyookbook Publication Co. 

  12. Jeong, M. (2008).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and inquiry motivation in laboratory activities in the 10th grade life unit. Biology Education, 36(3), 363-375. 

  13. Jeong, S., Kim, B., Koo, I., & Park, J. (2010). Effects on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tific achievement of experimental classes for kinetics unit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6), 681-692. 

  14. Jo, S. (2011).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6). 958-969. 

  15. Ju, D. (2005). The analysis of variable influencing the middle school: Evidence from TIMS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3(2), 1-26. 

  16. Kang, I., & Kim, S. (1998). An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by PBL: A case study of social studies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14(3), 1-31. 

  17. Kang, S., Yang, J., & Yeau, S. (2002). Analysi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which influence on science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iology Education, 30(2), 190-196. 

  18. Kaplan, A., Lichtinger, E., & Gorodetsky, M. (2009).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self-regulation in writing: An integrative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1), 51-69. 

  19. Keller, J. M.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 Kim, J., Jeong, J., Park, K., & Jeong, J. (2005). The effects of STS instruction using ARCS strategies on 5th graders'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3), 175-182. 

  21. Kim, M., & Han, K. (2008).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based on science related attitude,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8(1), 23-52. 

  22. Kim, M., & Lee, K. (2003).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5(3), 491-504. 

  23. Kim, S., & Seo, H. (2011).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middle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2), 307-323. 

  24. Kline, R. B. (2011).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5. Lee, J., & Kim, B. (1996). Structural analysis among science achievement, science process skills and affective perception toward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6(3), 249-259. 

  26. Lee, M., & Kim, K. (2004).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2), 399-407. 

  27. Lee, M., & Jeong, E. (2004). A study on factors in school science influenc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5), 946-958. 

  2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EST). (2011).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ulletin 2011-361. 

  29. Moon, S. (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kjisa Publication Co. 

  30. Mun, B. (2011). The relationship among writing knowledge,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writing abilitie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1), 1-19. 

  31. Oliver, W. H.., Pettus, W. C., & Hedin, B. A. (1990). Three studies of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blacks and females toward the pursuit of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4), 289-314. 

  32.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33. Pintrich, P. R., Smith, D. A., Garcia, T., & McKeachie, W. J.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34. Ryou, K., Eom, W., & Choi, S. (2010). Effects of a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relation to academic self-efficacy, expectations of other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4(3), 661-685. 

  35. Schunk, D. H., & Zimmerman, B. (1994).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6. Song, I., & Park, S.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14(2), 29-64. 

  37.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38. Zimmerman, B. J. (2000). Self-Efficacy: An essential motive to lear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1), 82-91. 

  39.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614-628. 

  40.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8).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 284-290. 

  41.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