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화 교육 연구 경험 유무에 따른 생명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 사례 연구
Case Study of Teaching Practices of Biology Teachers with and without Research Experience in Evolution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4, 2017년, pp.747 - 761  

고유선 (광양백운고등학교) ,  차희영 (한국교원대학교) ,  임미리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생명 과학 교수 실행에 있어서 진화 교육 연구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진화 교육에 대한 연구 경험이 있는 교사 두 명과 이에 대한 비교집단으로 진화 교육에 대한 연구 경험이 없는 교사 두 명, 총 네 명의 생명과학 교사들을 목적 표집하였다. 먼저, 사전면담을 통해 교사들의 배경지식을 수집하였으며, 생명과학 수업 중 진화 단원과 비진화 단원을 각각 2차시씩 선정하였다. 녹음된 수업은 전사하였으며, 교사들의 진화에 대한 견해 및 교수 실행에 반영된 진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과학 교수내용지식 설문지, 진화론의 개념 검사지, 진화론의 수용 검사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및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진화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은 진화의 중요성 인식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사 개인의 종교적인 신념이나, 진화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 대한 필요 자체를 느끼지 못함이 진화의 중요성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때문에 진화교육 연구 미경험 교사들은 진화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교사 재교육 기회도 거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미경험 교사들은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진화 개선점에 대해 피상적으로만 파악하고 있었다. 생명과학 교수 실행 내용을 분석한 결과 경험 교사들의 진화 주요 개념 활용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험 교사들만이 자신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난 오개념을 스스로 인지하고 이러한 오개념이 나타나게 된 원인에 대해 설명을 했다. 이를 통해 진화 교육 연구 경험 교사가 진화 주요 개념들을 폭넓게 활용할 뿐만 아니라 진화 관련 오개념 방지에 더 실천적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생물 교육에서 진화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 교사들에게 좀 더 다양하고 많은 진화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을 알려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teaching practices of biology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olution. For this purpose, two teachers who experienced study of evolution and recognized its importance, along with two teachers with no experience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진화단원을 축소해서 가르치거나 기피하는 경향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많은 교사들이 진화에 대해 제한된 이해 수준을 가지고 있고 진화를 수용하지 않으며 심지어 생명과학 수업 중 진화 내용을 개인적인 판단에 따라 생략하기도 하고(Smith, 2010b), 심하게는 진화론은 하나의 가설일 뿐 진화론을 뒷받침할 확실한 증거 자료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다(Lee & Lee, 2008). 학교 현장에서 생물 교사들은 진화 단원을 축소해서 가르치거나 기피하는 경향을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교사들이 진화론을 개인적으로 거부하거나 창조론을 가르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 때문이며, 그런 교사들은 생물 수업에서 특히 인간을 대상으로 한 진화 현상을 다루려고 하지 않는다(Nehm et al., 2009).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진화 내용 비중은 한 개의 대단원 또는 소단원 내용으로 국한해서 다뤄 왔는데, 미국 교과서의 경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과거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진화 내용 비중은 10% 미만에 불과했었고(Kim & Chang, 2002), 최근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진화 관련 내용들은 설명력이 부족한 요소들을 지님으로써 진화 개념 습득에 오히려 장애가 되거나, 학생들이 진화개념을 잘못 이해하게 하는데 일조를 해 왔다(Park, 2013). 미국 교과서의 경우도 진화를 생명 현상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보지 않고, 생명 과학 교과 내 일 개 단원으로만 취급함으로써 의미있는 진화 교수⋅학습을 이끄는 구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한다(Nehm & Schonfeld, 2008). 이와 같이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진화의 비중은 낮지만, 그래도 학생들이 생명 과학의 개념을 통합적으로 의미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수 실행 주체인 교사들이 스스로 진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교수 실행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생명 과학의 유일한 공통 개념은 무엇인가? 생물학에서 진화의 관점을 제외하면 그 어떤 것도 의미가 없으므로(Dobzhansky, 1973), 생명 과학 수업에서 진화적인 관점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생명 현상의 원인을 궁극적으로 설명할 수 없게 된다. 생명 과학의 유일한 공통 개념으로 진화를 선정(NRC, 2003)한 이래로 미국에서는 생명 과학의 핵심 개념(disciplinary core idea) 중 하나로 ‘생물학적 진화: 통일성과 다양성(Biological Evolution: Unity and Diversity)’을 포함시켜 왔다(NRC,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4), 417-436. 

  2. Bishop, B. A., & Anderson, C. W. (1990). Student conceptions of natural selection and its role in evolu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5), 415-427. 

  3. Cummins, C. L., & Remsenm J. V., Jr. (1992).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ultimate from proximate caus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biology.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The Faculty of Education Queen's at Kingston University, Ontario, Canada. 

  4. Dovzhansky, T. (1973). Nothing in biology makes sense except in the light of evolution.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35(3), 125-129. 

  5. Francis, L. J., & Greer, J. E. (2001). Shaping adolescents'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religion in Northern Ireland: The role of scientism, creationism and denominational schools.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9(1), 39-53. 

  6. Ha, M., & Cha, H. (2006). Analysis of mis-conceptualizations regarding evolution originating from TV animation and science books for childre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4), 352-362. 

  7. Ha, M., Lee, J., & Cha, H. (2006). A Cross-sectional study of students' conceptions on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cept connection formation about it in terms of the subjects: Human, animals and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7), 813-825. 

  8. Ha, M., & Lee, J. (2011). Pre-service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real world application of evolutionary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8), 1186-1198. 

  9. Heo, Y.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belief and the concept of evolu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Hokayem, H., & BouJaoude, S. (2008).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heory of evolu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4), 395-419. 

  11. Jung, J., & Kim, H. (2009). High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and conceptual aspects in evolutionary explanation constructed based on evidences of textbook.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37(4), 526-542. 

  12. Kim, H., & Chang, N. (2002). The Proportion of evolutionary content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30(2), 158-165. 

  13. Kim J., & Cha H. (2014). Associatio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ed for macro-evolution conception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biology teachers. Biology Education, 42(4), 428-438. 

  14. Kim, J., Kim, K., Lee, J., Hwang, M., & Kim, J. (2012). Effect and recognition of peer instruction in training of in-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 84-93. 

  15. Ku, S. (2013).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biology with respect to evolutionary theory and development of program for enhanc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biology.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Lee, C., Lee, M., & Lee, K. (2007). The Analysi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pattern and cause of each misconception pattern in evolution.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35(4), 181-195. 

  17. Lee, M., & Lee, K. (2008). In-service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evolution and evolution class.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36(4), 587-599 

  18. Lee, S., & Cha, H. (2011). Science teachers's perception of the role of evolution theory in biology.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39(2), 181-195. 

  19. Lee, S. (2012). Development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unified role of evolution in biolog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21. Mayr, E. (1982).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Diversity, evolution and inheritance. Cambridge, MA:Harvard University Press. 

  22. McKeachie, W. J., Lin, Y. G., & Strayer, J. (2002). Creationist vs. evolutionary beliefs: Effects on learning biology.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4(3), 189-192. 

  23. Meadows, L., Doster, E., & Jackson, D. F. (2000). Managing the conflict between evolution & religion.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2(2), 102-107. 

  24. Moore, R., Mitchell, G., Bally, R., Inglis, M., Day, J., & Jacobs, D. (2002). Undergraduates' understanding of evolution: Ascriptions of agency as a problem for student learning.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6(2), 65-70. 

  25. Nadelson, L. S., & Southerland, S. A. (2010).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measure of understanding of macro-evolution: Introducing the MUM.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8(2), 151-190. 

  26. Nehm, R. H., & Reilly, L. (2007). Biology majors' knowledge and misconceptions of natural selection. BioScience, 57(3), 263-272. 

  27. Nehm, R. H., & Schonfeld, I. S. (2007). Does increasing biology teacher knowledge of evolu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lead to greater preference for the teaching of evolution in school?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8(5), 699-723. 

  28. Nehm, R. H., & Schonfeld, I. S. (2008). Does increasing biology teacher knowledge of evolu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lead to greater preference for the teaching of evolution in school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8(5), 699-723. 

  29. Nehm, R. H., Kim, S. Y., & Sheppard, K. (2009). Academic preparation in biology and advocacy for teaching evolution: Biology versus non-biology teachers. Science Education, 93(6), 1122-1146. 

  30. Nehm, R. H., Ha, M., Rector, M., Opfer, J., Perrin, L., Ridgway, J., & Mollohan, K. (2010). Scoring guide for the Open Response Instrument(ORI) and Evolutionary Gain And Loss Test(EGALT). Technical Report o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REESE Project 0909999, 1-40. 

  31. Nieswandt, M., & Bellomo, K. (2009). Written extended-response questions as classroom assessment tools for meaningful understanding of evolutionary the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3), 333-356. 

  32.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3). Improving undergraduate education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Washington, DC. http://books.nap.edu/openbook.php?recore_id10711&pageR1 (accessed 8 March 2008). 

  33.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cs Press. 

  34. Park, J., Lee, M., & Lee, G.,(2003). The Effects of activity-centered instruction on understanding of natural selection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5), 505-516. 

  35. Park, J. (2013).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 elements and explanation way of evolution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Biology Education, 41(3), 406-420. 

  36. Rosenberg, A. (1985). The structure of biological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Rutledge, M. L., & Warden, M. A. (2000). Evolutionary theory, the nature of science and high school biology teachers: Critical relationships.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2(1), 23-31. 

  38. Rutledge, M. L., & Mitchell, M. A. (2002). High school biology teachers' knowledge structure: Acceptance and teaching of evolution.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4(1), 21-28. 

  39. Silva, P. R., Andrade, M. A. B. S., & Caldeira, A. M. A. (2014). Biology teachers' conceptions of the diversity of life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volutionary concept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http://dx.doi.org/10.1080/00219266.2014.882377. 

  40. Smith, M. U., & Siegel, H. (2004). Knowing, believing, and understanding: What goals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and Education, 13(6), 553-582. 

  41. Smith, M. U. (2010a).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 teaching and learning evolution: I. Philosophical/Epistemological issues. Science and Education, 19(6-8), 523-538. 

  42. Smith, M. U. (2010b).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 teaching and learning evolution: II. Pedagogical issues. Science and Education, 19(6), 539-571. 

  43. Woo, H., & Cha, H. (2013). A Study on connectivity of the unit of evolu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biology textbooks reformed according to the 7th and 2009 revised. Biology Education, 41(4), 618-6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