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적화 모형을 활용한 열차 운행 횟수 및 정차 패턴 생성 : 고속 열차 노선 계획을 중심으로
Finding Train Frequencies and Halting Patterns Using Optimization Models : a Focus on the Line Plan for High-Speed Trains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20 no.4 = no.101, 2017년, pp.529 - 538  

박범환 (Department of Railroad Management and Logistic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김장욱 (Management Research Department, KORAIL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승객들에게 보다 빠른 고속 열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정차 열차를 비롯한 고속열차의 정차 패턴 최적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이후 정차 패턴을 활용한 차별화된 열차 서비스 및 그에 합당한 가격을 통해 신규 고속 열차 서비스 및 수요를 만들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보다 더 큰 관심을 불러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차 패턴은 효율적인 노선계획 작성에 의해 고려되는데, 효율적인 노선계획이란 모든 수요가 만족되고 전체 여정시간이 최대한으로 감소되는 열차 운행 계획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두 개의 최적화 모형을 활용한 2단계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첫 번째 단계는 모든 열차의 all-stop 패턴을 가정한 최소 횟수 혹은 최소 킬로미터 노선 계획을 작성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첫 번째 단계로부터 도출된 열차들을 다양한 정차 패턴으로 분해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최근 고속 열차 실적 수요에 적용해 보았고 기존 열차 운행 횟수 및 정차 패턴과 비교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optimizing the halting patterns of high-speed trains, for example by introducing more non-stop trains to supply faster train service to the passengers, which could later bring about a discussion about introducing new high speed train service with differentiated pri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차 패턴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투입되어야 하는 열차 운행 횟수가 달라지므로, 정차 패턴에 따른 고속 열차 서비스의 차별화 가능성 여부는 결국 효율적인 열차 운행계획을 작성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열차 운행 계획은 노선계획, 시각표 작성, 차량 운용 등 다양한 계획의 통합적 작성을 통해 만들어 지는데, 본 연구는 열차 운행 비용(operating cost)이나 승객 여정 시간(travel time)의 최소화를 주요 목적함수[1]로 설정하는 노선 계획에 관한 연구이다.

가설 설정

  • 그러나 현재 두 차량의 투입에 있어 주요한 결정 요인은 가용 편성수이며, 노선계획에서 두 차량의 차이에 따라 노선을 따로 설정할 경우, 각 노선에 최적의 열차 횟수를 선정하더라도 편성 제약으로 인해 실행 불가능한 열차 운행 계획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중 좌석 용량을 활용하여, 각 노선에는 현재 열차 운행 계획에서 투입 되고 있는 두 차량의 비율만큼씩 투입된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 각 노선별 KTX와 KTX-산천 투입 횟수를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Table 3과 같은 가중좌석수를 계산하였다.
  • ASLP의 식(2)에서 Cr을 실제 좌석용량으로 설정할 경우, 승객이 집중되는 시간대가 아닌 경우, 시간대에 속한 모든 수요의 집적효과를 가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의 열차가 투입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실에서는 좌석용량의 일정부분만 활용된다고 가정하여 실제 투입되는 좌석용량 대비 특정 비율(load factor) 만큼의 좌석용량을 가정하게 된다. Table 4는
  • 본 연구는 [2]에서 활용된 운행 비용과 여정시간의 가중 목적함수 대신에, 운행 비용을 우선적으로 최소화한 후, 여정시간을 최소화하는 이단계로 구성된 최적화 모형을 고려하였다. 첫 번째 단계 최적화 모형은 모든 노선에 운행되는 열차가 all-stop 패턴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전체 운행 비용을 최소화하는 노선계획을 찾기 위한 모형이고, 두 번째 단계 최적화 모형은 첫 번째 단계로부터 도출된 all-stop 열차들을 다양한 정차패턴으로 분리하는 모형이다. 두 모형의 경우 [2]의 통합 모형보다 훨씬 적은 변수로 구성이 되어, 별도의 알고리즘 설계 필요 없이 분지한계법(Branch-and-Bound) 만으로도 짧은 시간 안에 최적해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첫 번째 단계는 모든 열차가 all-stop 정차 패턴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각 노선별 최적의 열차 운행 횟수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노선이란 시발역, 종착역, 경로, 여정시간, 공급 좌석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열차들의 집합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차 운행 계획에 사용되는 방법들은? 정차 패턴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투입되어야 하는 열차 운행 횟수가 달라지므로, 정차 패턴에 따른 고속 열차 서비스의 차별화 가능성 여부는 결국 효율적인 열차 운행계획을 작성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열차 운행 계획은 노선계획, 시각표 작성, 차량 운용 등 다양한 계획의 통합적 작성을 통해 만들어 지는데, 본 연구는 열차 운행 비용(operating cost)이나 승객 여정 시간(travel time)의 최소화를 주요 목적함수[1]로 설정하는 노선 계획에 관한 연구이다.
노선계획 모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열차운행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모형을 노선계획(line plan) 모형[1]이라 한다. 노선 계획이란 열차종별 시종착별 열차의 운행 횟수 및 열차별 정차 패턴을 작성하는 계획을 말하는데, 노선 계획은 열차별 시각표의 대략적인 얼개로서 열차 운행 계획의 가장 첫 번째 단계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M.R. Bussieck (1997) Optimal lines in public rail transport, Ph.D thesis, TU Branunschweig. 

  2. B.H. Park, Y. Seo, S.-P. Hong, H.-R. Rho (2013) Column generation approach to line planning with various halting patterns - application to the Korean high-speed railway, Asia-Pacific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30(4), pp.1-19 

  3. M.R. Bussieck, P. Kreuzer, U. Zimmermann (1996) Optimal lines for railway system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96, pp. 54-63. 

  4. M. Claessens, van Dijk, P. Zwaneveld (1998) Cost optimal allocation of rail passenger line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110, pp. 474-489. 

  5. M.R. Bussieck, T. Lindner, M. Lubbecke (2004) A fast algorithm for near optimal line plans. Mathematical Methods of Operations Research, 59, pp. 205-220. 

  6. R. Borndorfer, M. Grotschel, M. Pfetsch (2007) A column generation approach to line planning in public transport. Transportation Science, 41(1), pp. 123-132. 

  7. J. Goossens, S. Hoesel, L. Kroon (2002) On solving multi-type line planning problems. METEOR Research Memorandum RM/02/ 009. University of Maastricht. 

  8. J. Goossens, S. Hoesel, L. Kroon (2004) A branch-and-cut approach for solving railway line-planning problems. Transportation Science, 38(3), pp. 379-393. 

  9. Y-H. Chang, C-H. Yeh and C-C. Shen (2000) A multiobjective model for passenger train services planning: Application to Taiwan's high-speed rail lin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4, pp. 91-1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