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삶의 질 예측요인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Premature Infant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3, 2017년, pp.191 - 200  

최효신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신영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may affect quality of life of mothers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Methods: With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45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with corrected age of 2 months to 12 months from January 9 to February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후 가정에서 미숙아를 양육하면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산후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체계에 따라서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미숙아 어머니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향후 미숙아 어머니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모아 관계 개선과 영아의 발달 증진 중재 개발의 기초 사정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정연령 2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의 영아를 양육하는 미숙아 어머니들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미숙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과 산후우울,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미숙아 어머니들의 삶의 질 향상 및 모아 관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 후 가정에서의 미숙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미숙아 어머니들의 삶의 질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산후우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 후 퇴원하여 가정에서 교정연령 2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의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 한 교정 연령 2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의 영아를 양육하는 미숙아 어머니의 삶의 질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산후우울,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확인함으로써 추후 미숙아 어머니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후 가정에서 미숙아를 양육하면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산후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체계에 따라서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미숙아 어머니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향후 미숙아 어머니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모아 관계 개선과 영아의 발달 증진 중재 개발의 기초 사정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이란 개인이 누릴 수 있는 양적, 경제적 물질적 생활여건뿐 아니라 주관적인 생활 만족의 정도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한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상태를 나타낸다[7]. 따라서 미숙아 돌봄의 주된 책임자인 어머니의 삶의 질은 미숙아의 양육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가족 구성원 즉 남편과 다른 자녀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미숙아 어머니의 삶의 질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는 중요하다.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가 양육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7%로 두 배 가까이 늘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1]. 미숙아는 정상 체중 출생아보다 청각, 시각, 행동 및 정서발달 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2], 미숙아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이후 미숙아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양육하는 일에 어려움을 겪는다[3]. 미숙아의 출산은 건강한 만삭아를 출산할 것으로 기대한 가족과 어머니에게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는 임신 기간 기대했던 모아 관계의 실패감과 자책감, 불안, 죄의식을 경험하게 되며, 미숙아 분만으로 인하여 가족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준 것에 대해 미안함을 느낀다[4].
미숙아의 출산이 어머니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미숙아는 정상 체중 출생아보다 청각, 시각, 행동 및 정서발달 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2], 미숙아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이후 미숙아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양육하는 일에 어려움을 겪는다[3]. 미숙아의 출산은 건강한 만삭아를 출산할 것으로 기대한 가족과 어머니에게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는 임신 기간 기대했던 모아 관계의 실패감과 자책감, 불안, 죄의식을 경험하게 되며, 미숙아 분만으로 인하여 가족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준 것에 대해 미안함을 느낀다[4]. 또한, 미숙아가 장기간의 입원 후 퇴원을 하게 되면 미숙아 어머니는 아기의 건강발달에 대한 불확실성과 염려로 스트레스는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5 Birth certificate data [Internet]. Seoul: Author;2016[cited 2017 January 2].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 MT_ZTITLE&parentIdA#SubCont. 

  2. Marlow N, Hennessy EM, Bracewell MA, Wolke D. Motor and executive function at 6 years of age after extremely preterm birth. Pediatrics. 2007;120(4):793-804. 

  3. Hwang HS, Kim HS, Yoo IY, Shin HS.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1):39-48. 

  4. Chon MY, Ji ES, Lee SH. Mothers' parenting experience of premature infants: Q 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6):704-713. 

  5. Kim ES, Kim EY, Lee JY, Kim JK, Lee HJ, Lee SH, et al.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management on postpartum depression of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3):157-170. 

  6. Kim MY, Park DY.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verbal abuse of infant's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9;15(4):375-382. 

  7. Oh SH, Yoon DS. A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of life on the elderly among urban, farm and island a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6;32(1):119-147. 

  8. Moura MR, Araujo CG, Prado MM, Paro HB, Pinto RM, Abdallah VO,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preterm infants with very low birth weight: A 3-year follow- up study. Quality of Life Research. 2017;26(5):1349-1360. 

  9. Hill PD, Aldag JC.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following childbirth.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7;36(4):328-334. 

  10. Chae MS.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mong mothers with their babies hospitaliz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Busan: Dong A university; 2014. 51 p. 

  11. Chei MA, Lee HS, Kim DH, Park MH, Yoon SY, Cho YH, et al. Th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others of hospitalized chronic pediatric pati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0;6(2):249-261. 

  1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revalence of selfreported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17 States, 2004- 2005.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008;57(14):361-366. 

  13. Yeo JH, Chun NM. Influ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1-19. 

  14. Song JE. Influenc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4 to 6 weeks after childbirth in the postpartum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3):216-223. 

  15. Bang KS, Kang HJ, Kwon MK. Relations of postpartum depress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and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1):1-10. 

  16. Da Costa D, Dritsa M, Rippen N, Lowensteyn I, Khalife 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depressed wome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06;9(2):95-102. 

  17. Hung CH, Chung HH. The effects of postpartum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postpartum women's health statu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6(5):676-684. 

  18. Benzies KM, Harrison MJ, Magill Evans J. Parenting stress, marital quality, and child behavior problems at age 7 years. Public Health Nursing. 2004;21(2):111-121. 

  19. Gray PH, Edwards DM, O'Callaghan MJ, Cuskelly M, Gibbons K.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very preterm infantsinfluence of development, temperament and maternal depression. Early Human Development. 2013;89(9):625-629. 

  20. Lee JY, Ju HO. Predictors of early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2):87-95. 

  21. Kim AR, Tak YR. Maternal role developme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 mothers of premature infa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4):308-320. 

  22.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7;150:782-786. 

  23. Kim JI. A validation study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Edinbe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12(3):204-209. 

  24.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118 p. 

  25. Jeon GG. Development of the social support scale.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1999;6(3):285-304. 

  26. Dunbar GC, Stoker MJ, Hodges TCP, Beaumont G. The development of SBQOL: A unique 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British Journal of Health Economics. 1992;2:65-74. 

  27. Yoon JW, Park YS. A predictive model of subjective quality life of clinical nurses.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3;17(1):35-50. 

  28. Joyce TJ, Kaestner R, Korenman S. The effect of pregnancy intention on child development. Demography. 2000;37(1):83-94. 

  29. Killersreiter B, Grimmer I, Buhrer C, Dudenhausen JW, Obladen M. Early cessation of breast milk feeding in very low birthweight infants. Early Human Development. 2001;60(3):193-205. 

  30. Bang KS. Infants' temperament and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4):444-4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