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of safety for Benzo(a)pyrene in medicinal herb, 8 kinds of selected commercial herbal medicines (Rehmanniae Radix, Rehmanniae Radix Preparata, Amomi Tsao-Ko Fructus, Cimicifugae Rhizoma, Cyperi Rhizoma, Magnoliae Cortex, Scutellariae Radix, Scrophulariae Radix) were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모니터링에서 다량 다빈도로 검출된 한약재인 초과, 향부자, 현삼, 황금, 후박, 승마를 대상으로 벤조피렌의 함량을 모니터링 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한약재 섭취로 인한 벤조피렌의 만성 1일 인체노출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벤조피렌의 발암력을 고려한 Margin Of Exposure(MOE)를 산출하여 한약재 섭취에 따른 벤조피렌의 인체 안전성을 파악하여 한약재 안전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중 벤조피렌의 안전성을 알기 위해 시중에 유통되는 한약재 8품목(지황, 숙지황, 향부자, 현삼, 황금, 후박, 승마, 초과) 중 벤조피렌의 함량을 모니터링 한 후 안전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한약재 중 벤조피렌의 검출범위는 ND-28.

가설 설정

  • 를 통해 한약재 일평균 섭취량을 알 수 있는 지황, 숙지황, 승마, 향부자, 현삼, 후박 6종에 대하여 인체노출량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인구특성 및 계절별 다소비 한약재에 대한 섭취량을 실측하였으며, Intake rate 즉 일일 한약재 섭취량(g/day)은 1첩당 평균 처방용량에 1일 2첩을 3회에 걸쳐 복용하는 본초학에서 제시된 용량을 가정하였다. 한약재별 벤조피렌 평균 함량만을 사용하였으며 평균체중은 60 kg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한약재에 대해 벤조피렌 모니터링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한의학은 국민들의 천연품에 대한 선호와 의학을 통한 치료의 한계로 이용도가 높으며 이와 함께 식품, 화장품, 농약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11)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2001년부터 수행된 PAHs 모니터링 및 위해평가를 통해 한약재 중 벤조피렌의 기준 및 시험법(식품의약품안전처, 2009-13호)12)이 설정되었고, 광물성 생약을 제외한 모든 한약재에 벤조피렌 기준을 규정하는 고시(식품의약품안전처, 2009-302호)13)를 행정예고 하였지만 이 후 행정조치가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현재까지 한약재 중에서는 지황과 숙지황만이 제한적으로 관리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 2011-27호).14)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지황과 숙지황을 비롯한 다른 한약재 및 가공 제품에 대해서도 벤조피렌 모니터링 및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검출된 한약재의 원산지는 어떠한가? 검출된 한약재 중 대한민국약전의 벤조피렌 기준규격인 5 μg/kg을 초과한 품목은 초과 3건과 후박 1건으로 총 4건이었다. 또한 벤조피렌이 검출된 27건 한약재의 원산지를 살펴보면 24건이 수입(중국 22건, 베트남2건), 3건이 국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전 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된 한약재섭취량을 이용하여 벤조피렌의 섭취로 인한 잠재적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87건의 한약재 벤조피렌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3 μg/kg 미만의 수치인 경우 불검출 처리하였으며 검출된 값만을 이용해 평균값을 구하였다. 벤조피렌은 모든 종류의 한약재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범위는 ND~28.1 μg/kg, 평균함량은 3.6 μg/kg이었다. 대한민국 약전의 벤조피렌 기준규격인 5 μg/kg을 초과한 한약재는 초과 3건과 후박 1건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Toxicological profile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1995)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Public Health Service, p. 1. 

  2. Nielsen, T., Jorgensen, H. E., Larsen, J. C. and Poulsen, M. (1996) City air pollu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other mutagens: occurrence, sources and health effec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189: 41-49. 

  3. Guillen, M. D. (1994) Polycyclic aromatic compounds: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in food. Food Additives & Contaminants 11: 669-684. 

  4. Djinovic, J., Popovic, A. and Jira, W. (2008)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different types of smoked meat products from Serbia. Meat Science 80: 449-456. 

  5. Dost, K. and Ideli, C. (2012) Determin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edible oils and barbecued food by HPLC/UV-Vis detection. Food Chemistry 133: 193-199. 

  6. Ramesh, A., Walker, S. A., Hood, D. B., Guillen, M. D., Schneider, K. and Weyand, E. H. (2004) Bioavailability and risk assessment of orally ingest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23: 301-333. 

  7. Chung, S. Y., Yettella, R. R., Kim, J. S., Kwon, K., Kim, M. C. and Min, D. B. (2011) Effects of grilling and roasting on the level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beef and pork. Food Chemistry 129: 1420-1426. 

  8. Anderson, K. E., Kadlubar, F. F., Kulldorff, M., Harnack, L., Gross, M., Lang, N. P., Barber, C., Rothman, N. and Sinha, R. (2005) Dietary intake of heterocyclic amines and benzo (a) pyrene: associations with pancreatic cancer.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14: 2261-2265. 

  9. IARC (2006)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92. 

  10. US EPA (2002) Polycyclic Organic Matter.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Available at: http://www.epa.gov/ttn/atw/hlthef/polycycl.html. 

  11. 홍남두, 김남재(2013) 한약의 품질관리, 2. 신일북스, 서울. 

  12. 식품의약품안전처(2009)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09-13호: 생약의 벤조피렌 기준 및 시험방법 제정 고시. 

  13. 식품의약품안전처(2009) 식품의약품안전처 공고 제2009-302호: 생약의 벤조피렌 기준 및 시험방법 일부개정고시안. 

  14. 식품의약품안전처(2011)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1-27호: 생약 등의 잔류. 오염물질 기준 및 시험방법 일부개정고시. 

  15. Hu, S. J., Jin, S. H. and Choi, D. M. (2008) Analysis of benzo (a) pyrene in red ginseng beverage.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3: 26-30. 

  16. 식품의약품안전처(2009) 한약재 중 벤조피렌 함유량 모니터링 연구 보고서. 

  17. 식품의약품안전처(2010) 한약재별 생약의 벤조피렌 시험법 검증 및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 

  18. Jo, S. A., Kim, S. J., Kim, N. H., Jung, S. J., Kim, H. S., Kim, K. S., Han, K. Y. and Chae, Y. J. (2011) Analysis of benzo(a)pyrene content in medicinal herbs. Report of S. I. H. E. 47: 94-102. 

  19. Lee, M. Y., Jung, S. M. and Lee, G. W. (2012) Monitoring on benzo(a)pyrene content in oriental medicin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 201-206. 

  20. Cho, Y. H., Song, K. Y., Baek, M. K., Lee, J. W. and Lee, G. W. (2012) Study on extraction condition and analysis methods of benzopyrene in black ginseng.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56: 145-151. 

  21. 식품의약품안전처(2003) 한약재 진위감별도감, 호미출판사, 대전. 

  22. Simon, R., Palme, S. and Anklam, E. (2006) Single-laboratory validation of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ethod for quantitation of 15 European priorit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piked smoke flavouring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103: 307-313. 

  23. 한양대학교: 한국인의 한약재 복용실태 조사 연구(2005) 식품의약품안전처 91-4. 

  24. Committee on the Carcinogenicity of Chemicals in Food (2007) Consumer Products and the Environment. Annual report. 

  25. Additives, F. (2006) Evaluation of certain food contaminants. 

  26. 식품의약품안전처(2008) 한약재 표준제조공정지침. 

  27.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2009) Code of practice for the reduction of contamination of food wit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 from smoking and direct drying processes. CAC/RCP, 68-2009. 

  28. Kim, S. (2014) Policy of reducing benzopyrene in foo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9: 13-14. 

  29. Jang, M. R., Hong, M. S., Jung, S. Y., Choi, B. C., Lee, K. A., Kum, J. Y., Kim, I. Y., Kim, J. H. and Chae, Y. J. (2014)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of benzo(a)pyrene in edible oil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9: 141-145. 

  30. Lee, B. M. and Choi, O. K. (1994) Original articles : Pyrolytic formation of benzo[a]pyrene in foods during heating and cancer risk assessment in Korean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9: 133-139. 

  31. Jeong, J. Y., Jung, Y. K., Hwang, M. S., Jung, K. K. and Yoon, H. J. (2012). Prioritizing management ranking for hazardous chemicals reflecting aggregate exposure.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7: 349-3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