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천문학자 이덕성의 생애와 천문활동
LIFE AND ASTRONOMICAL ACTIVITY OF LEE DEOK-SEONG AS AN ASTRONOMER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32 no.2, 2017년, pp.367 - 380  

안영숙 (한국천문연구원) ,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  서윤경 (한국천문연구원) ,  이기원 (대구가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ife and astronomical activity of Lee Deok-Seong (李德星, 1720-1794) was studied using various historical sources, including the astronomical almanac, Seungjeongwon-Ilgi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and the Gwansang-Gam's logbooks during Joseon dynas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문역법은 누가 개발하였는가? 조선 전기 세종은 정흠지, 정초, 정인지를 통해 수시력(授時曆) 계열의 역법 연구를 시작하였고, 이순지를 통해, 김담과 더불어 회회력법도 정리하며 ‘칠정산’을 완성하였다. 세종은 개인의 학구열과 함께 집현전을 통해 이순지, 김담이라는 천문 엘리트를 육성하여 왕권 주도의 천문역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와 후기에는 기존의 사용하던 역법이 실제 현상과 조금씩 어긋나고 청력(淸曆)과도 달라짐에 따라 어쩔 수없이 당시 청에서 사용하던 시헌력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칠정산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2010). 조선 전기 세종은 정흠지, 정초, 정인지를 통해 수시력(授時曆) 계열의 역법 연구를 시작하였고, 이순지를 통해, 김담과 더불어 회회력법도 정리하며 ‘칠정산’을 완성하였다. 세종은 개인의 학구열과 함께 집현전을 통해 이순지, 김담이라는 천문 엘리트를 육성하여 왕권 주도의 천문역법을 개발하였다.
조선 중기와 후기에 기존의 천문역법을 버리고 새로운 천문학을 받아들인이유는 무엇인가? 세종은 개인의 학구열과 함께 집현전을 통해 이순지, 김담이라는 천문 엘리트를 육성하여 왕권 주도의 천문역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와 후기에는 기존의 사용하던 역법이 실제 현상과 조금씩 어긋나고 청력(淸曆)과도 달라짐에 따라 어쩔 수없이 당시 청에서 사용하던 시헌력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Goo, M. O., 2016, Royal astronomical Officer's Envoy Activity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in presentation in the colloquium of 'Historical Astronomy of KASI' 

  2. Hwang, W. G. & Lee, J. Y., 1991, The families and index for a astronomer and a mathematicia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朝鮮後期曆算家譜.索引), Hankuk munhwasa (seoul), pp.662-896 

  3. Jun, Y. H., 2002, Conflict over the Instruction of Western Sciences in the 17-18th Centuries: Focusing on the Western Calendar and the Principle of the Fortnightly Periods, The Dong Bang Hak Chi, 117, 1 

  4. Lee, J. I., 2000, Study of DaeJeon-Hoeitong (Yi-Jeon),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pp.119-121 

  5. Lee, K. W., Ahn, Y. S., Mihn, B. H., & Lim, Y. R., 2010, Study on the Period of the Use of Datong-li in Korea, JASS, 27, 55 

  6. Lee, K. W., Ahn, Y. S., Mihn, B. H., & Shin, J. S., 2011, Database Construction and Textual Analysis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s, PKAS, 26, 1 

  7. Lee K, -W., Ahn, Y. S., & Mihn, B, -H., 2012, Verification of the Calendar Days of the Joseon Dynasty, JKAS, 39, 1125 

  8. Lee, M. W., Heo, Y. S., & Park, K. S., 2003, Seoun-Gwan Ji (Korean translation), Somyeong-Press (Seoul), pp. 23-302 

  9. Kyung, S. H., 2016, Activity and Significance of Astronomy Adjunct Professor (天文學兼敎授)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Dong Bang Hak Chi, 176, pp.121-152 

  10. Park, G. S., 2015, Calendar Publication and Jung'in Scientists in the Late Joseon Period,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37, 199 

  11. Yoon, K. I., 2005, New Edition for KyeongKuk-DaeJeon, Sin-Seowon (Seoul), pp.21-1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