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칠(黃漆)이 만성 스트레스 유발 백서의 스트레스 및 수면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na Dendropanacis Morbiferus on Stress and Sleep Hormone in Chronic Mild Stress-Induced Rats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8 no.3, 2017년, pp.287 - 302  

송영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김경옥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evaluate effects of Resina Dendropanacis Morbiferus (RDM) on stress and sleep hormones when administered to Chronic Mild Stressed (CMS) rats. Methods: Twenty-five health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CMS (Control), Resina Dendropanacis Mobiferus 50 mg/kg (RDM 5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양의학과 한의학 모두 외적인 자극과 정신적인 여러변화들이 만성적으로 지속될 때 육체의 질병을 야기시킬 수 있다고 보고, 만성적 스트레스를 기울을 겸한 음허화왕(陰虛火旺)의 상태로 변증하고 선행 연구에 나타난 황칠의 항암, 항산화, 간세포 재생, 당뇨치료 효과와 방향 성분의 진정작용과 강장작용45)를 자음해울안신(滋陰解鬱安神)으로 판단하여 항스트레스와 수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에 저자는 임상 현장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Chronic Mild Stress (CMS)를 가한 백서에 황칠이 스트레스 및 수면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백서혈액 및 혈청학적 검사와 뇌 조직내의 BNDF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CREB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TrkB (Tropomyosin receptor kinase B)와 noradrenaline, GABA (Gamma-Aminobutyric Acid), Melatonin의 함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Noradrenalin은 부신(副腎)으로부터 혈액으로 방출되는 호르몬으로, 교감 신경 말단 등으로부터도 분비되기도 하는데 시냅스 전달 사이에 방출되는 신경 전달 물질이며,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라고도 한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호르몬 중 하나이며, 주의와 충동성과 관련있는 인간의 뇌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실험에서 Noradrenalin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RDM 100군과 200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스트레스란 개인으로 하여금 적응을 강요하고 신체적 또는 심리적 압박을 일으키는 위험인자와 생체에 이 인자가 작용하여 발생되는 장애,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어적 반응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1,2). 스트레스로 인한 적응반응은 신체적으로는 뇌하수체-부신 축 활성화 관련 내분비계와 자율신경 등의 생리적 변화를, 정신적으로는 심리적 항상성의 변화를 나타내며2), 만성적인 경우 자율신경계와내분비 계통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신체조절 능력을 약화시킨다.
스트레스가 누적되거나 스트레스 반응이 강한 경우 나타나는 심리적 증후는 무엇인가? 스트레스 상태가 누적되거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강하거나 너무 빈번해지면 개인은 이런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출구를 찾아내기 힘들어지며, 신체적 증후, 심리적 증후 및 행동적 증후와 같은 역기능적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나게된다. 이 가운데 나타나는 심리적 증후는 신경이 예민해져 걱정, 불안과 초조 및 긴장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신경쇠약과 우울, 의욕상실 등의 징후와 정서 상태의 불안정과 비탄 및 증오감을 갖게 되는 것 등27)을 말한다. 만성적으로 스트레스에 장기간 노출된 경우 과민성 반응 대신 정신적 신체적 에너지 상실로 인한 의욕저하와 같은 탈진상태가 나타난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28).
스트레스가 유발하는 정신과적 질병은 어떤 것이 있는가?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정신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런 스트레스는 동맥경화와 같은 만성질환이나 신경증, 불안, 우울증 그리고 자살 등의 여러 가지 정신과적 질병을 유발한다21). 또, 현대인의 신체질환의 80%는 스트레스성 신체질환이라는 보고가 있으며,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탈진, 인지적 문제, 우울증, 불면, 불안 등의 정신적 증상과 여러 신체적 질병이 연관되어 발생한 것이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al schools in nation. The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ine 3rd edition. Seoul:Jipmoondang. 2016:91-2. 

  2. Burchfield S. The stress response, a new perspective. Psychosom Med, 1979; Dec 41:661-72. 

  3. Czeh B., Michaelis T., Watanabe T., Frahm J., de Biurrun G., van Kampen M., Bartolomucci A., Fuchs E., Stress-induced changes in cerebral matabolites, hippocampal volume, and cell proliferation are prevented by antidepressant treatment with tianeptine. Proc Natl Acad Sci USA. 2001;98(22):12796-801. 

  4. Gould E., McEwen BS, Tanapat P., Galea LA, Fuchs E., Neurogenesis in the dentate gyrus of the adult tree shrew is regulated by psychosocial stress and NMDA receptor activation. J Neurosci. 1997;17(7):2492-8. 

  5. Ahn SW. Understanding the conception of stress regard in the oriental medicine. Korean Journal Oriental Medicine. 1997;3(1):119-51. 

  6. Hong WS. Jeonggyo(精校) Hwangjenaehyeongyoungchu(黃帝內經靈樞). Seoul. Oriental Medicine Institution Press. 1985:158-9, 286. 

  7. Jineon(陳言). Jinmutaeksaminbang(陳無擇三因方) Second volume. Taipei. Daeryeongukpung(臺聯國風) Publisher. 1978:6 

  8. Moon JJ, Ahn KS, Choi SH. Oriental Pathology. Seoul. Komunsa. 1990:23-4,78-9 

  9. Kim JW, Hwang WW. Stress in Oriental Medicin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993;1(1):120-1. 

  10. Hwang WW. Psychosomatic disease. Seoul. Hanglim Publisher. 1985:18-24, 36-44. 

  11. Hwang WW, Kim JH. Oriental Psychiatry. Seoul. Hyundai Medical Publisher. 1987:99-109. 

  12. Lee JA, Kim JW, Hwang WW, Kwak SY, Kim MJ, Park EH. The effects of Quibitang o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induced by Chronic Mild Stres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1;12(1):123-35. 

  13. Jeong JH, Choi CM, S대 YJ, Cho HB, Kim SB. The Anti-depressive Effect od Samul-tanggahyangbuja on Chronic Mild Stress in Overiectomized Rats, Journal of Korean Obstet Gynecol. 2013;26(4):30-7. 

  14. Kwon HJ, Kim KS, Kang SK, Park PS, Lim JM, Cho YS, Choi YH, Park SY. Antistress effect of Gagamsanzointang on rat chronic stress model,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2;27(6):29-35. 

  15. Kang MG, Kim YH, Im AR, Nam BS, Chae SW, Lee MY.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Nelumbo bucifera leaves extract in chronic mild stress model,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4;29(2):7-13. 

  16. Shin DC, Kim GC, Song SY, Kim HJ, Yang JC, Kim BA.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fo Complex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from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3(6):95-100. 

  17. Park SA, Park J. Park CI, Jie YJ, Hwang YC, Kim YH, JeonSH, Lee HM, HA JH, Kim KJ, Park SM.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13;41(4):407-15. 

  18. Tan XT, Ryu HK. Effect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on Lipid Profiles in Mice Fed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5;44(5):641-8. 

  19. Kim JM, Park SK, Guo TJ, Kang JY, Ha JS, Lee DS, Kwon OJ, Lee U, Heo HJ.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d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against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6;45(7):938-47. 

  20. Willner P., Moreau JL, Nielsen CK, Papp M., Sluzewska A. Decreased hedonic responsiveness following chronic mild stress is not secondary to loss of body weight, Physiology & Behavior. 1996;60(1):129-34. 

  21. Chavez-Korell, S., and L. Torres.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latino adults the moderating role od ethnic identity cluster patter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014;42(2):239-54. 

  22. Glise, K., E. Hadzibajramovic, I. H. Jonsdottir and J. G. Ahlborg. Self-reported exhaustion : A possible indicator of reduced work ability and incresed risk of sickness absence among human service workers. Internation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mental Health. 2010;83(5):511-20. 

  23. Stone EA. Stress and catecholamines, In A. J. Friedhoff (ed.O, Cathecholamines and Behavior. Plenum Press, New York. 1975;2:31-72. 

  24. Park YE, Lee DH. A Study on Socio-Psychological Stresses affected with Healthe Status. 1999;16(1):61-82. 

  25. Selye H. Forty years of stress research. Principal remaining problems and misconceptions. Can Med Assoc J. 1976:53-6, 115. 

  26. Hong DS. Psychology. Seoul. Bakyoungsa. 1992:603-4, 606, 608. 

  27. Lee GH, Modern Clinical Psychiatry. Seoul. Hanampc. 1985:498-9, 500. 

  28. Apples A., Hoppener P.. A questionnaire to assess premonitory symptoms of myocarial infar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987:17:15-24. 

  29. Gu PS, LeeJH, Choi YH, Jung JW. Antidepressant effect of water extract Taraxacum platycarpum through BDNF, ERK and CREB pathway,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5;30(3):13-7. 

  30. Kim SH. Oriental Neuropsychiatry. Seoul. Hanglim Publisher. 1978:152-4, 258-64, 277-84 

  31. Sa YG. Chinese Internal Medicine. Sichuan. Sichuan scientific-technique Publisher. 1985:141-2 

  32. Kim YS.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stress effect of Bohyulanshin-tang on the noise stress.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86. 

  33. Lee DJ, Kin JH, Hwang WW.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stress effect of Bohyulanshin-tang, Kami Bohyulanshin-ta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3;4(1):77-97. 

  34. Kang HK. Effect of Jaeumgunbitang on the gastric ulcer and plasma catecholamines contents of rats in immobilization stress.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92. 

  35. Ji SY, Jeong DG.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nge of stress-related hormane contents by prescription of bunsimgieum.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2;3(2):49-63. 

  36. Hwang CY. Effects of Sibjeondaebo-Tang Adding Cervi Pantotrichum Cornu on the Immune Responses in Mic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89. 

  37. Lim DS, Kim EJ, Lee DW, Cho SI. The Antistress Effects of Semen Ziziphi Spinosac Extract,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3;14(1):107-16. 

  38. Kim SW, Kim JH, Cho MR, Shin JC. The Effect of Poria Cocos Pharmacopuncture at SP6(Sameumgyo) and ST36(Joksamni) on Chronic Stress Model(CSM) Rats, The Acupuncture. 2015;32(2):187-95. 

  3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Food and Food Additives Material Information.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815 (accessed March 2017). 

  40. Hyun TK, Kim MO, Lee HK, Kim YJ, Kim EK, Kim JS.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Food Chem. 2013;141:1947-55. 

  41. Im KJ, Jang SB, Yoo DY. Anti-cancer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in MCF-7 and MDA-MB-231 Cells, Journal of Korean Obstet Gynecol. 2015;28(2):26-39. 

  42. Park SA, Lee HM, Ha JH, Jeon SH, Park SM. Inhibitory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on Melanogensis through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and TRP-2, Appl. Chem. Eng.. 2014;25(5):468-73. 

  43. Moon HI. Antidiabetic Effects of dendropanoxide from leaves of Dendropanax Leveille in normal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Hum Exp Toxicol. 2011;38:342-7. 

  44. Jung HY, Yoo DY, Nam SM, Kim JW, Choi JH, Hwang IK. Effects of D. morbifera stem extract in the hippocampus of streptozotocin-induced type 1 diabetic rats. 2015 winter symposium of Korean Association For Laboratory Animal Science, 2015;2:68. 

  45. Im DY, Lee KI.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Paeoniae Radix, Kor. J. Pharmacogn. 2012;43(2):173-8. 

  46. Lewin, G. R., Mendell, L. M. Maintence of modality-specific connections in spinal cord after neonatal nerve growth factor deprivation. Eur. J.Neurosci. 1996;8(8):1677-84. 

  47. Klintsova, A. Greenough, W. T. Synaptic plasticity in cortical systems. Curr. Opin. Neurobiol. 1999;9(2):203-8. 

  48. McAllister, A. K., Katz, I.C., Lo, D. C. Neurotrophins and synaptic plasticity. annu. Rev. Neurosci. 1999;22(1):295-318. 

  49. Bibel, M., Barde, Y. Neurotrophis: Key regulators of cell fate and cell sharp in the vertebrate nervous system. Genes and Development. 200;14(23):2919-37. 

  50. Silhol, M., Bonnichon, V., Rage, F., Tapia-Arancubia, L.. Age-related changes i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tyrosine kinase receptor isoforms in the hippocampus and hypothalamus in male rats. Neuroscience. 2005:132(1):613-24. 

  51. Rex, C. S., Lauterborn J. C., Lin, C. Y., Kramar, E. A., Rogers, G. A. et al. Restoration of long-term potentiation in middle-aged hippocampus after induct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J. Beurophysio. 2006;96(1):677-85. 

  52. Tapia-Arancibia, L., Aliaga, E., Silhol, M., Arancibia, S..New insights into brain BDNF function in normal aging and Alzheimer disease. Brain Res. Rev.. 2008;59(1):201-20. 

  53. Vanguilder, H. D., Farley, J. A., Yan, H., Van Krik, C. A., Mitschelen, M. et al. Hippocampal dysregulation of synaptic plasticity-associated proteins with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Neurobiol. Dis. 2011;43(1):201-12. 

  54. Kim SS, Oh SH, Jeong MH, Cho SC, Kook MC, Lee SH, Pyun YR, Lee HY. Sleep-Inductive Effect of GABA on the Fermentation of Mono Sodium Glutamate (MSG),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0;42(2):14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