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Career Maturity on the Protean Career Attitude and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9, 2017년, pp.212 - 224  

조형래 (서울과학종합대학원) ,  박용호 (인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진로계획, 진로준비로 한정되어 취업 이후의 경력관리 문제에 대해서 다루지 않고 있어 진로지도의 한계성이라는 문제제기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대학생 대상으로 주로 연구되는 진로성숙도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기초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7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성숙도 중 계획성과 독립성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진로성숙 태도 중 일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계획성, 독립성, 일에 대한 태도,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생의 경력과 관련된 행동 및 인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에 입각하여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경력관리 이론이 새롭게 도입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raise a question regarding limitations of career guidance as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are limited to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and fail to deal with career management after being employed. Accordingly,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경력환경 속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보고자 하였다. 또한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 그리고 주관적 경력성공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다루고 이들 변인들이 구성하는 모형이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얼마나 적합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항목인 계획성과 독립성은 프로티언 경력태 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 또한 경력환경의 변화에 대한 책임은 개인에게 있다는 인식도 보편적인 것이 되었다[50]. 이러한 경력환경 속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보고자 하였다. 또한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도 확인하였다.
  • 이러한 선행 연구 등에 기초할 때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경력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며, 특히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인 계획성, 독립성, 일에 대한 태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갖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 그리고 주관적 경력성공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다루고 이들 변인들이 구성하는 모형이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얼마나 적합한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전통적 경력과 달리 프로 티언 경력태도를 갖춘 개인은 다음과 같은 행위적 특성을 갖고 있다[18]. 첫째,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 속에서 경력을 개발하고자 노력한다. 둘째, 직무에 대한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 이러한 진로성숙도는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어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실정을 반영한 모델에 기초하여 하위변인을 설정하였다. 특히, 진로성숙도는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능력 내지는 태도 등으로 규정될 수 있는 바 진로결정과 관련된 계획성, 독립성, 그리고 일에 대한 태도 등을 중심으로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고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다루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또한 윤기찬은 여성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에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 요인인 자기주도성과 가치 지향성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35].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에게도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지니는 것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할 수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추가로 설정하였다.
  • 가설3. 진로성숙도 일에 대한 태도는 프로티언 경력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무엇을 강조하는가? 즉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지닌다는 것은 개인이 경력개발을 함에 있어 가치 지향적이며 자기주도성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조직이 규정한 경력성공보다 개인의 가치를 중시하며, 경력개발에 있어서 개인 스스로가 주도성을 갖고 개인의 가치를 반영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태도를 강조한다. 다시 말해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자유, 자기주도성, 개인적 가치 등을 강조하는 새로운 경력 개념이다[15].
진로성숙도이란 무엇인가? 진로성숙도는 한 개인이 특정한 연령에서 갖추고 있어야 하는 직업적 발달과 관련된 준비도를 말한다. 즉, 인간의 성장기부터 쇠퇴기에 이르는 일련의 진로발달의 과정에서 다양한 진로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개인의 발달 정도를 말한다[11].
기업 현장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을 어떠한 방향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하고 있는가? 이 때문에 기업 현장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이 구체적이고 명확한 진로목표설정까지 선행되어야 하며 이것이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7]. 즉,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맞춰 젊은 근로자들에게 자기주도적인 경력개발의 태도, 주관적인 경력평가의 중요성, 다양한 경력의 이슈를 다루는 능력 등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강원준, 김종인, 김정원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5권, 제1호, pp.17-36, 2008. 

  2. 조형래, 진로교육 운영방법이 대학생 진로태도 및 진로능력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2011. 

  3. 노경란, 박용호, 허선주,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 참여 경험이 대졸자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여부, 고용형태, 일자리 만족도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제49권, 제1호, pp.63-92, 2011. 

  4. 정재원,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7호, pp.41-62, 2015. 

  5. 윤정혜, 유영림,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8호, pp.479-504, 2015. 

  6. 정미경, 김수란,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연구, 제19권, 제2호, pp.123-144, 2013. 

  7. P. A. Heslin, "Conceptualizing and evaluating career success," Journal of behavior, Vol.26, No.2, p.121, 2005. 

  8. 김나정, 차종석, "한국근로자들의 경력성공 인식에대한 탐색적 연구,"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제17권, 제4호, pp.253-287, 2014. 

  9. M. Lips-Wiersma, "The influence of spiritual meaning making on career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Developmet, Vol.21, pp.497-520, 2002 

  10. A. Wrzesniewski and J. E. Dutton,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if their work,"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pp.179-201, 2001. 

  11. D. E. Super, "A theory of va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8, pp.185-190, 1953. 

  12. J. O. Crites,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College testing board. McGraw-Hill, 1978. 

  13. D. A. Luzzo,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perceived barriers in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73, No.3, pp.319-325, 1995. 

  14. 김신영, 최운실, "진로체험학습에서 학생, 교사의 주도성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pp.71-93, 2014. 

  15. J. P. Briscoe, D. T. Hall, and R. L. F. DeMuth,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An empirical explo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9, No.1, pp.4-18, 2006. 

  16. D. T. Hall,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ry,"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0, No.4, pp.8-16, 1996. 

  17. 이재봉, 진성미, "직업군인의 자기주도적 경력관리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국방정책연구, 제97권, pp.145-173, 2012. 

  18. Jane Sturges, Neil Conway, Andreas Liefooghe, "Organizational Support, Individual Attributes and The practice of career self-management behavior,"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Vol.35, No.1, pp108-141, 2010. 

  19. T. A. Judge, D. M. Cable, J. W. Boudreau, and R. D. Bretz,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predictors of executibe career success," Personnel Psychology, Vol.48, No.3, pp.485-519, 1995. 

  20. S. E. Seibert, M. L. Kraimer, and R. C. Liden, "A social capital theory of career success," Academy of management jounal, Vol.44, No.2, pp.2119-237, 2001. 

  21. Thomas W. H. NG, Lillian T. Eby, Kelly L. Sorensen, and Daniel C. Feldman, "Predictor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 meta-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Vol.58, No.2, pp.367-408, 2005. 

  22. D. T. Hall,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Thousand Oaks, CA:Sage, 2002. 

  23.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연구원, 1991. 

  24. 신수림, "산업체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고용안정성, 조직경력관리지원, 프로티언 경력태도, 프로티언 경력관리행동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6권, 제2호, 2014. 

  25. 남중수,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6. D. E. Super and Hall, "Career development: exploration and planning," Annual review ofpsychology, Vol.29, pp.333-372, 1978. 

  27. Audrey Collin, "New challenges in the study of career," Personnel Review, Vol.27, No.5, pp.412-425, 1998. 

  28. 노경란, 허선주, 임경선, "여성의 취업경험별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Vol.33, No.45, pp.31-50, 2014. 

  29. D. T. Hall, "The New Career Contract: Developing the Whole Person at Midlife and Beyond,"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7, No.3, pp.269-289, 1995. 

  30. 김시진, 김정원 "프로티언 경력태도, 무경계경력 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대한경영학회, 제23권, 제4호, pp.1899-1915, 2010. 

  31. 이재봉, 진성미, "군 장교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산업교육연구, 제22권, pp.89-112, 2011. 

  32. 박순명, 정철영 "국내 학술지의 경력 연구 동향," 농산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2, pp.149-181, 2014. 

  33. 김병숙, 이희수, 송영선,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경력연계학습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제34권, 제4호, pp.25-50, 2015. 

  34. 배을규, 이민영, 장민영, 김정원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HRD연구, 제16권, 제1호, pp.1-25, 2014. 

  35. 윤기찬, "여성공무원의 경력패턴과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3권, 제2권 pp.39-62, 2014. 

  36. K. A. Bollen,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John Wiley & Sons, Inc., 1989. 

  37.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38. D. Gefen, D. W. Straub, and M. C. Boudreau,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 Vol.4, No.1, pp.7-24, 2000. 

  39. Vos, Soens, "Competency development and career success: The mediating role of employabil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9, No.2, pp.438-447, 2008. 

  40. 이재봉, 진성미, "군 장교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산업교육연구, 제22권, pp.89-112, 2011. 

  41. 신광철, 정범구, "조직구성원의 사회적 자본이 경력성공, 영향력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연구, 제19권, 제4호, pp.119-144, 2012. 

  42. 박혜영, 박용호, "프로티언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T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제17권, 제4호, pp.19-45, 2015. 

  43. 황애영, 탁진국, "주도성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4권, 제2호, pp.409-428, 2011. 

  44. 김시진, 김정원,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제201권, 제2호, pp.1-18, 2010. 

  45. 윤기찬, "여성공무원의 경력패턴과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육아휴직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3권, 제2호, pp.39-62, 2014. 

  46. 고윤승, "성인학습자의 프로티언 경력과 무경계경력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6권, pp.13-29, 2016. 

  47. 김병숙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경력연계학습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제34권, 제4호, pp.25-50, 2015. 

  48. 이재봉, 진성미, "군 장교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산업교육연구, 제22권, pp.89-112, 2011. 

  49. 이재현, 오장용,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개인 및 조직 수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8권, pp.47-73, 2013 

  50. M. B. Arthur, S. N. Khapova, and C. P. M. Wilderom, "Career success in a boundaryless career world,"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6, No.2, pp.177-202, 2005. 

  51. David. L. Blustein, "Applying Current Theory and Research in Career Exploration to Practic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1, No.2, pp.174-183, 1992. 

  52. 허정철,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27-236, 2012. 

  53. 최애경, "대학생 기업인턴십 현황과 과제," 상업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23-47. 

  54. 김지영, "인턴십 프로그램 경험이 대학생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직업교육연구, 제34권, 제2호, 2015. 

  55. 신윤정, "대학생의 진로소명, 진로자기효능감 및 내적동기와 진로적응성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14권, 제1호, pp.209-226, 2013. 

  56. 박미경, 김은하, "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7권, 제1호, pp.207-225, 2016 

  57. 정우희, 김혜원, "진로소명이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2호, pp.445-47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