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ground subsidence frequently occurs in downtown area. The major causes of the subsidence on the subsurface were the damages of the water supply and sewer pipelines and excavation works in adjacent areas, etc. Because of these various factors, it is not easy to analyze the tendency of occ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형토조를 제작하여 균열부가 존재하는 하수관을 모사하고, 표준사와 점토를 이용하여 지하수위의 변동에 따른 침투력의 변화 및 채움재의 세립분함량 변화가 공동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지반함몰 발생의 영향인자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모형실험을 수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반 내에 발생한 공동 및 이완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현상은? 지반 내에 자연 또는 인공적으로 공동 및 이완이 발생하고, 그것이 주변으로 확대, 진전되어 지표면에 도달하면 함몰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언론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싱크홀은 석회암 지형에서 지하수의 영향으로 침식이 진행되어 발생하는 것을 뜻하므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싱크홀보다는 지반침하나 도로함몰 (지반함몰)로 표현하는 것이 적합하다.
세립분 함유량 7.5 %가 10 %보다 실험 초기 배토량이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 세립분 함유량 7.5 %가 10 %보다 실험 초기 배토량이 적은 이유는 토사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서 초기에 배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험 시작 후 12분경 후부터 토사배출구가 뚫려 배토량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실험에서 공동과 지반 함몰이 발생하는 시간에 따른 상관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이유는? 세립분이 적을수록 초기 배출되는 토사의 양이 많은 경향을 볼 수 있었고 세립분 함유량 5 %, 7,5 %, 10 %에서는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에 지반함몰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토사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공동과 지반 함몰이 발생하는 시간에 따른 상관성을 파악하기는 힘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oongAng-Ilbo, 2015. Songpa, Guro-Sand Ground, Jongno-Old Sewerage, A danger zone of ground subsidence, JoongAng-Ilbo, Seoul :.10 (in Korean). 

  2. Kim, J., C. Choi, J. Kang, W. Baek, and M. Chung, 2016. Model test for the observation of cavity formation in sandy ground, The 6th Japan-Korea Geotechnical Workshop, Japanese Geotechnical Society Special Publication: 64-67. 

  3. Kim, J., J. Kang, C. Choi, and D. Park, 2017. Corellation analysis of sewer integrity and ground subsidence, Journal of the Korean Geo-Envrionmental Soceity 18(6): 31-37 (in Korean). 

  4. Kuwano, R., T. Horii, K. Yamaguchi, and H. Kohashi, 2010. Formation of subsurface cavity and Loosening due to defected old sewer pipe,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JGS 5(2): 219-229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2015. https://www.google.com/maps/d/viewer?midz1SH1Vit25sA.k17BYl7EYtLY (in Korean). 

  6. Renuka, S. and R. Kuwano, 2011. Formation and evaluation of loosened ground above a cavity by laboratory model test with uniform sand, Proc. of 13th International Summer Symposium, Uji, Japan: 211-214. 

  7. Sato, M. and R. Kuwano, 2010. Model tests for the evaluation of formation and expansion of a cavity in the ground, Proc. of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ysical Modelling in Geotechnics: 581-586, Zurich, Switzerland. 

  8. Seoul City, 2015.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cavity generation mechanism (in Korean). 

  9. Sewerage and Wastewater Management Department, City and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website, 2009. http://www.milt.go.jp/crd/sewerage/sesaku/03kaichiku.html (in Korean). 

  10. Toda, J., A. Ohsugi, Y. Muraki, and Y. Kaneko, 2003. Void detection around deteriorated old sewer pipelines, The 38th Symposium of Japanese Geotechnical Engineering Society: 1755-1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