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업가뭄인자 미계측 지역의 농업가뭄 추정을 위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활용성 평가
Availability Assessment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for Agricultural Drought Estimation in Ungauged Area of Agricultural Drought Parameter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9 no.5, 2017년, pp.127 - 136  

박민우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and Plant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김선주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and Plant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권형중 (Technical Research Center, Yooil Engineering) ,  김필식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and Plant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강승묵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and Plant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이재혁 (Technical Research Center, Yooil Engineering)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vailability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for agricultural dorught estimation in ungauged area of agricultural drought parameters which are reservoir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The IADI (Integrated Agricultural Drought Index) and the SPI (Standard Prec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가뭄 추정을 위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기상학적 가뭄은 전국적으로 계측되고 있는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되므로,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의 발생시기, 심도, 시간 등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저수율 및 토양수분과 같은 농업가뭄인자 미계측 지역에 대해서도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농업가뭄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수지가뭄지수는 산정결과에 대해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가? K-S검정 (Kolmogorov-SmirnovTest)으로 순별 가용저수량에 대한 최적 확률분포함수를 찾고 순별 가용저수량의 최소값의 비초과확률 P (X ≤x)를 산정한다. 저수지 가뭄지수의 산정결과에 대하여 -1.5부터 -4.0까지를 약한가뭄으로, -4.0 이하를 심한가뭄으로 분류하고 있다.
기상학적 가뭄을 평가하기 위한 가뭄지표로 무엇을 사용하는가? 기상학적 가뭄은 일반적으로 정상 상태 또는 평균적인 개념과 비교하여 건조한 정도와 건조된 상태의 지속기간을 바탕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기상학적 가뭄을 평가하기 위한 가뭄지표로는 표준강수지수 (SPI, Standard Precipitation Index)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 증발산량과 잠재증발산량 간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 생육 및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하며, 이에 저수지가뭄지수 (RDI, Reservoir Drought Index), 토양수분지수(SMI, Soil Moisture Index)가 개발되었고, 두 가지 가뭄지수를 통합한 통합농업가 뭄지수(IADI, Integrated Agricultural Drought Index)가 개발되었다 (Nam et al.
기상학적 가뭄은 무엇을 바탕으로 정의되는가? 기상학적 가뭄은 일반적으로 정상 상태 또는 평균적인 개념과 비교하여 건조한 정도와 건조된 상태의 지속기간을 바탕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기상학적 가뭄을 평가하기 위한 가뭄지표로는 표준강수지수 (SPI, Standard Precipitation Index)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 증발산량과 잠재증발산량 간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 생육 및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하며, 이에 저수지가뭄지수 (RDI, Reservoir Drought Index), 토양수분지수(SMI, Soil Moisture Index)가 개발되었고, 두 가지 가뭄지수를 통합한 통합농업가 뭄지수(IADI, Integrated Agricultural Drought Index)가 개발되었다 (Na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hn, S. R., 2009.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ique for Hydrological Drought of Agricultural Reservoirs and Their Water Supply Capacity : For Geum River Basi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2. Hong, E. M., W. H. Nam, and J. Y. Choi, 2015.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al Drought for Major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Model -Focused on the Jeollanam-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3): 65-76. 

  3. Jang, M. W., 2000. A Study on Agricultural Drought Analysis for Irrigated Paddy Blocks from a Reservoi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4. Kim, H. Y., Y. J. Suh, and S. H. Oh, 1996. Methodology for Drought Evaluation in Koera, The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Journal 3(1): 20-31. 

  5. Kim, S. J., K. Y. Lee, and D. W. Shin, 1998. Statistical Analysis of Irrigation Reservoir Water Suppl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0(4): 58-66. 

  6. Lee, D. R., J. W. Moon, E. H. Lee, and J. H. Ahn, 2006. Develop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dex to Monitor Droughts in a Reservoi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3): 199-214. 

  7. Nam, W. H., J. Y. Choi, S. H. Yoo, and M. W. Jang, 2012.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icultural drought management using risk assessment,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0(3): 197-207 

  8. Nam, W. H., J. Y. Choi, M. W. Jang, and E. M. Hong, 2013. Agricultural Drought Risk Assessment using Reservoir Drought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3): 41-49. 

  9. Park, H. K., 2010. Estimation of Soil Moisture and Drought Index Using Satellite Data and CART Algorith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0. Yoon, Y. N., M. K. Park, and D. R. Lee, 1999. An Application of Drought Frequency Formula for the Determination of Reservoir Capacity and the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bility,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ven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