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양수장의 농업가뭄 취약성 실태 평가
Assessing Vulnerability to Agricultural Drought of Pumping Stations for Preparing Climate Change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1 no.6, 2019년, pp.31 - 40  

장민원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al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수진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배승종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유승환 (Department of R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정경훈 (Project Planning Office, Korean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황세운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al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lement practical alternatives to proactively cope with the agricultural drought, the potential vulnerability of irrigation pumping stations to agricultural drought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Data for the 124 pumping stations which are correlatable to the three proxy variables, i.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농업용수 주요 수원공인 양수장에 대하여 농업가뭄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시설별 농업가뭄 취약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2018년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수행한 전국 124개 농업용 양수장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양수장에 대한 농업가뭄 취약성 평가 항목 15개 (기후노출: 7개, 민감도: 5개, 적응능력: 3개)를 각각 표준화 처리한 결과에 평가항목별 가중치 (Choi et al.
  • 본 연구는 전국 124개 농업용 양수장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확보된 자료를 사용하여 농업가뭄에 대한 양수장의 취약도를 정량적 척도로 평가하고 적응 방안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 대안 마련과 성과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 124개 농업용 양수장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확보된 자료를 사용하여 농업가뭄에 대한 양수장의 취약도를 정량적 척도로 평가하고 적응 방안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 대안 마련과 성과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농업 분야에선 농촌진흥청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생물군집의 영향 분석 및 예측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수행한 바 있고 (RDA, 2012), 국립환경과학원도 토양침식, 사육시설 붕괴, 작물가축 생산성 등을 농업부문 취약성 평가항목으로 도출하고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대용변수별 취약성 지도를 제작하였다 (NIER, 2012). Jang (2006)은 농업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이용, 수자원함양, 지형토양, 농업기상, 농업생산기반 등의 인자들에 대한 주성분분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시 행함으로써 시군단위의 농업가뭄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고 농업가뭄취약성지수 (Drought Vulnerability Index for Paddy, DVIP)를 제안하였다. Kim et al.
기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2016)은 기후변화에 대한 논농사의 민감도 변화를 논물수지 분석으로 제시하였다. 대부분 연구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장래 기후변화의 영향을 모의하거나 지역 간 비교를 통해서 중장기 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차원에서 수행되었기 때문에 기후변화 취약성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의 수립과 추진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한 반응과 적응⋅회복력이 다르므로 그 성격에 맞는 평가 방법과 적응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양수장의 농업가뭄에 대한 취약성에 대한 평가 항목은 무엇인가? 농업가뭄에 대한 양수장의 기후노출 취약성엔 연평균기온 (AMT), 관개기평균기온 (AMTI), 최대연속무강우일수 (CDD), 연평균기준증발산량 (MAET), 연평균강수량 (MAR), 연평균 유효강수일수 (ANER), 그리고 생육기간 (5∼9월) 연평균강수량 (MARI) 등 7개 항목을 사용하였다. 이 중 연평균강수량과 연평균유효강우일수, 생육기간 연평균강수량 등 3개 항목은 값이 클수록 기후노출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항목이므로 표준 점수를 (1-표준정규누적확률)로 계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Y. W., M. W. Jang, S. J. Bae, K. H. Jung, and S. W. Hwang, 2019. Prioritizing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and infra-structures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5(1): 75-87. doi:10.7851/ksrp.2019.25.1.075 (in Korean). 

  2.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3. Jang, M. W., 2006. County-based vulnerability evaluation to agricultural drought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case of Gyeonggi-do-. Rural Planning 12(1): 37-48 (in Korean). 

  4. Kim, E. H., 2010, Estima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icator using routine meteorological data. Master Thesis, Pusan, Ind.: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5. Kim, H. G., D. K. Lee, H. Jung, S. H. Kil, J. H. Park, C. Park, R. Tanaka, C. Seo, H. Kim, W. Kong, K. Oh, J. Choi, Y. J. Oh, G. Hwang, and C.K. Song, 2016. Finding key vulnerable areas by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Natural Hazards 81(3): 1683-1732. doi:10.1007/s11069-016-2151-1. 

  6. Kim, S. J., S. J. Bae, J. Y. Choi, S. P. Kim, S. K. Eun, S. H. Yoo, T. I. Jang, N. Y. Goh, S. W. Hwang, S. J. Kim, T. S. Park, K. H. Jeong, and S. H. Song, 2018. Analysis on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survey of rural water distric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0(5): 1-15. doi:10.5389/KSAE.2018.60.5.001 (in Korean). 

  7. Kim, S. J. S. J. Bae, S. Kim, S. H. Yoo, and M. W. Jang. 2016. Assessing sensitivity of paddy rice to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Water 8: 554. doi:10.3390/w8120554. 

  8. Kim, S. J., S. M. Kim, and S. M. Kim, 2013.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1): 31-38. doi:10.5389/KSAE.2013.55.1.031 (in Korean). 

  9. Kim, S. M., M. S. Kang, and M. W. Jang, 2018.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t a municipal level in South Korea.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6(4): 699-714. doi:10.1007/s10333-018-0661-z. 

  10.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17. Establishment of survey and management plan for rural water distric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for climate change impact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Naju, Jeonnam (in Korean). 

  11.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18. A study on survey o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ural water supply and enhancement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Naju, Jeonnam (in Korean). 

  12. Lee D, 2011. A study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by sectors for local government adaptation implementation planning.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Inche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3. Myeong, S. J., J. Y. Kim, S. H. Shin, and B. O. An, 2010.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of the physical infrastructure and developing adaptation measures in Korea II. Sejo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2.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maps for loc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ning. Sejong: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Impact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agro-biotic community on climate change. Jeonju, Jeonbuk (in Korean). 

  16. Yoo, G. Y. and I. A. Kim,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Sejo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