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문제행동 평가도구(Behavior Problems Inventory-01) 표준화 연구
Validation Study of Behavior Problems Inventory-01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8 no.4, 2017년, pp.220 - 227  

최미지 (국립정신건강센터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  김예니 (국립정신건강센터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  반지정 (나사렛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  황석현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양영희 (국립정신건강센터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havior Problems Inventory (BPI-01)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between 3 and 18. Methods: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one hundred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recruited from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본 검사 도구는 자해항목 14개, 상동 행동 항목 24개, 공격적/파괴적 행동 항목 11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각 범주는 기타 항목을 1개씩 추가하여 기입할 수 있다.
  • 임상군과 대조군의 인구학적 특성과 임상특징(Table 1)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 141명 중 대조군은 100명(연령 10.90± 1.71, 남아 54명), 임상군은 41명(연령 10.36±5.21, 남아 30명)이었다. 두 군 간에 연령은(p=0.
  • 환자군은 국립정신건강센터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를 내원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받은 만 3세부터 18세 미만의 환자 중 보호자의 자유의사로 연구에 참여하기 원하는 자 61명을 선정하였고, 중도 탈락자를 제외하면 41명이 최종 연구에 포함되었다. 정상 대조군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연구에 대해 알린 후 지원할 학급 혹은 기관을 모집하여 3~18세 미만의 남녀 100명으로 선정하였다. 정상 대조군의 설명문은 가정 통신문 형식으로 보호자에게 전달하여 교사가 일괄 회수하였다.
  • 환자군은 국립정신건강센터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를 내원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받은 만 3세부터 18세 미만의 환자 중 보호자의 자유의사로 연구에 참여하기 원하는 자 61명을 선정하였고, 중도 탈락자를 제외하면 41명이 최종 연구에 포함되었다. 정상 대조군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연구에 대해 알린 후 지원할 학급 혹은 기관을 모집하여 3~18세 미만의 남녀 100명으로 선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연구 대상군과 대조군의 차이 검증을 위해서 t-test를 실시하였다. BPI-01의 신뢰도 검증하기 위해 내적 일치도를 구하였는데, 분석은 Cronbach α 계수로 계산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공존 타당도와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공존 타당도와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공존 타당도는 BPI-01의 소척도와 적응행동검사(K-SIB-R) 14개 하위척도 중 문제행동 평가척도 소척도에 해당하는 8개의 영역을 피어슨 상관 분석(Pearson correlation test)을 통해 검증하였다. 변별 타당도는 BPI-01의 소척도와 아동·청소년 행동 평가척도(K-CBCL) 중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를 피어슨 상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 공존 타당도는 BPI-01의 소척도와 적응행동검사(K-SIB-R) 14개 하위척도 중 문제행동 평가척도 소척도에 해당하는 8개의 영역을 피어슨 상관 분석(Pearson correlation test)을 통해 검증하였다. 변별 타당도는 BPI-01의 소척도와 아동·청소년 행동 평가척도(K-CBCL) 중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를 피어슨 상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분석에는 SPSS ver.
  • 연구 대상군과 대조군의 차이 검증을 위해서 t-test를 실시하였다. BPI-01의 신뢰도 검증하기 위해 내적 일치도를 구하였는데, 분석은 Cronbach α 계수로 계산하였다.

이론/모형

  • AMI: Asocial Maladaptive Index, BPI-01: Behavior Problems Inventory-01, EMI: Externalized Maladaptive Index, freq.: frequency, GMI: General Maladaptive Index, IMI: Internalized Maladaptive Index, K-CBCL: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SIB-R: Korean 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sev.: severity
  • 국내에서는 Achenbach(1991)가 제작한 CBCL을, 예비연구를 거쳐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 평가척도(K-CBCL)로 표준화하였다. 21)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 평가척도는 크게 사회 능력 척도와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회 능력 척도는 다시 3개로 나뉘어 사회 성숙도, 학업 수행 척도, 총 사회 능력 점수로 이루어져 있다.
  • 적응행동은 4점 척도(0~3점까지)로 평가하며, 문제 행동은 “예”, “아니요”로 답한 후 문제행동이 있을 경우, 빈도 (0~5점까지)와 심각성(0~4점까지)으로 구체적으로 평가하도록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K-SIB-R 중 문제행동 소척도를 사용하였다. 문제행동은 자신을 해치는 행동, 타인을 해치는 행동, 물건을 파괴하는 행동, 방해하는 행동, 특이한 반복적인 습관, 사회적으로 공격적인 행동, 위축된 행동이나 부주의한 행동, 비협조적인 행동으로 구성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달 장애 아동의 수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는? 그중 자폐아동의 경우 2007년 10526명에서 2015년 13653명으로, 연간 400여 명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유병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데, 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대중의 인식 증진, 더 어린 나이에 진단되는 경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기준의 폭이 넓어지는 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2) 따라서 현재 정확한 진단을 받지 못했거나 장애등록을 하지 않은 인구를 포함하면 앞으로 발달 장애 아동의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넓은 의미의 발달 장애는 무엇을 지칭하는가? 넓은 의미의 발달 장애는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지칭하며,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 중 발달 장애 아동은 2015년 통계를 기준으로 58065명이다. 그중 자폐아동의 경우 2007년 10526명에서 2015년 13653명으로, 연간 400여 명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5년 통계를 기준으로 하면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 중 발달 장애 아동은 몇 명인가? 넓은 의미의 발달 장애는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지칭하며,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 중 발달 장애 아동은 2015년 통계를 기준으로 58065명이다. 그중 자폐아동의 경우 2007년 10526명에서 2015년 13653명으로, 연간 400여 명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tatistics Korea. The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persons [cited 2016 Dec 15]. Available from: http://kosis.kr/common/meta_onedepth.jsp?vwcdMT_OTITLE&listid101_11761. 

  2. Fombonne E. Thimerosal disappears but autism remains. Arch Gen Psychiatry 2008;65:15-16. 

  3. Kim YS, Leventhal BL, Koh YJ, Fombonne E, Laska E, Lim EC, et al.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 total population sample. Am J Psychiatry 2011;168:904-912. 

  4. Jung KM. Effectiveness of behavioral parent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DD. Proceeding of the Korean Psychologial Assocoaition Annual Conference;2008 Aug 20;Seoul, Korea. Seoul: Korean Psychologial Assocoaition;2008. p.560-561. 

  5. Fitzpatrick SE, Srivorakiat L, Wink LK, Pedapati EV, Erickson CA. Aggress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 presentation and treatment options. Neuropsychiatr Dis Treat 2016;12:1525-1538. 

  6. Simonoff E, Pickles A, Charman T, Chandler S, Loucas T, Baird G. Psychiatric disorde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revalence, comorbidity, and associated factors in a population-derived sampl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8;47:921-929. 

  7. Campbell SB.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a review of recent research.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5;36:113-149. 

  8. Lecavalier L.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n young people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relative prevalence, effects of subject characteristics, and empirical classification. J Autism Dev Disord 2006;36:1101-1114. 

  9. Yoo SO.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Spec Educ Res Inst 2015;14:255-279. 

  10. Rojahn J, Schroeder SR, Mayo-Ortega L, Oyama-Ganiko R, LeBlanc J, Marquis J,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Behavior Problems Inventory, the Aberrant Behavior Checklist, and the Repetitive Behavior Scale-Revised among infants and toddlers at risk for intellectual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multi-method assessment approach. Res Dev Disabil 2013;34:1804-1814. 

  11. Kim YL, Kim NH, Park JY. The effects of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their family life and families' coping styles: a qualitative inquiry. J Emot Behav Disord 2010;26:17-43. 

  12. Hastings RP, Daley D, Burns C, Beck A. Maternal distress and expressed emotion: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lationships with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m J Ment Retard 2006;111:48-61. 

  13. Kwon SJ.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xtra cost of disabled children. GRI Rev 2014;16:271-291. 

  14. Yoon MS. Seoul Institute policy report: research on services and polici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Seoul. Seoul: The Seoul Institute;2013. p.1-17. 

  15. Shin YH, Park JH, Choi MH, Lee HS. The study on staff needs for executing positive behavioral support through an investigation on challenging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nursery school level. J Emot Behav Disord 2008;24:337-352. 

  16. Rojahn J, Matson JL, Lott D, Esbensen AJ, Smalls Y. The Behavior Problems Inventory: an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self-injury, stereotyped behavior, and aggression/destruction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 Autism Dev Disord 2001;31:577-588. 

  17. Jeong B, Yoo E, Jung M, Kang D, Park S, Park S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haviour problems inventory. J Appl Res Intellect Disabil 2013;26:578-590. 

  18. Bang SY, Lee JW, Hwang SH, Hong EJ, Park JH. Development of tools and protocols assessing problematic behavior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cited 2016 Dec 30]. Available from: http://ncmh.go.kr/snmh/dep/depReportView.jsp?no1226&fno84&depart0&search_gubun1&pg3&search_item0&search_content&menu_cdM_05_07_00_00_00 

  19. Paik EH, Lee BI, Cho SJ. Korean 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K-SIB-R). Seoul: Hakjisa psychology reseach institute; 2007. 

  20. Pyeon DW, Baek JN, Kim CH, Park MH, Choi YN, Wongu E.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of K-SIB-R (Korean-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J Emot Behav Disord 2009;25:1-15. 

  21. Oh KJ, Lee HR, Hong KE, Ha EH. K-CBCL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Seoul: Jungang Aptitude Research Institute; 1997. 

  22. Rojahn J, Matlock ST, Tasse MJ. The stereotyped behavior scal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norms. Res Dev Disabil 2000;21:437-4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