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인들의 구강보건 행태가 구강건강 삶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f oral behavior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soldi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9, 2017년, pp.151 - 159  

강민경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서혜연 (한림성심대학교 치위생과) ,  최유리 (한림성심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군인들의 구강보건행태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고,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근거 및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총 400명의 서울 경기 지역의 군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361명의 수집된 데이터를 SPSS 19.0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인들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는 보통이라고 느꼈으며, 구강보건 행동의 실천률은 높지 않았다.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고 한사람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좋지 않았다. 또한 군인들은 구강보건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느꼈으며,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군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이 구강건강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군인들의 구강보건 교육은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보이며, 본 연구 결과는 군인들의 구강 보건 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ral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for soldiers. Because this study basis data for the oral health education for soldiers. A total of 400 soldi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urveyed and 361 data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9.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군인들은 공동생활을 하고 있으므로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사업이 이루어지기 효율적인 환경이지만 군인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실천성은 매우 낮았다[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강건강상태, 삶의 질, 구강 보건행태를 파악하고 군인들의 구강보건교육사업에 뒷받침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현재 군인들의 구강보건 행태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대한 수준을 파악하고 구강보건 행태가 구강건강 삶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 교육 실시함에 있어 근거 및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강 향상으로 인한 효과는 무엇인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1]. 특히 구강건강 향상은 대화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음식물 섭취를 가능하게 하며 섭취한 음식을 통해 먹는 즐거움을 주고 사회적 자신감을 높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때문에 체계적 구강건강을 관리를 통한 건강한 구강건강 삶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2,3,4].
구강건강 삶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무엇인가? 구강건강 삶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구강보건 지식과 구강보건 행위 등이 있다[5,6]. 구강보건 지식이란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일생 동안 구강건강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을 말하며[7], 구강보건 행태란 질병의 발생을 사전에 막기 위한 행동과 조기 발견하기 위한 행동이 포함된다[8].
군인들의 구강보건행태는 어떠한가? 0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인들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는 보통이라고 느꼈으며, 구강보건 행동의 실천률은 높지 않았다.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고 한사람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좋지 않았다. 또한 군인들은 구강보건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느꼈으며,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군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이 구강건강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군인들의 구강보건 교육은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보이며, 본 연구 결과는 군인들의 구강 보건 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Y. Byun. A study on oral health and oral health care knowledge and behavior of out-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 focused on out - 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around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Gachon University, Master. thesis, 2009. 

  2. D. Locker "Measuring oral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 Community Dent Health, Vol. 5. No. 1, pp. 3-18, 1988. 

  3. S. J. Jang.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som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2, pp. 69-75, 2016. 

  4. Y. J. Choi.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liefs, Oral Disease Preventive Intention and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in Partial Middle Aged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4, pp. 209-215, 2016. 

  5. S. U. Yoon, E. S. Lee, "Convergence research on tooth 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in Some area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3, pp. 71-78, 2017. 

  6. H .Y. Kim.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r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Seoul University, Ph.D. thesis, 2002 

  7. M. Y. Lee. "Seniors' Knowledge,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Oral Health -Focused on some seniors who visited a dental clinic. Kunghee university, Master. thesis, 2005. 

  8. Y. H. Kim. "A Study on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soldier",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Vol. 9. No. 1, pp. 15-21, 2007. 

  9. J. Y. Bae.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Yeungnam Universty. Ph.D. thesis, 2009. 

  10. S. U. Yoon, S. J. Jang.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university students in some area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97-104, 2016. 

  11. D. H. Yang. Comparison of health behaviour and medical utilization between citizen&soldier. Konyang university, Master. thesis, 2009. 

  12. H. S. Cho, S. H. Hwang. "Impa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Vol. 11. No. 1, pp. 7-15, 2010. 

  13. H. S. Kim, B. Shin, E. J. Goh, S. O. Kim, H. S. Jo, S. E. Park, J. K. Kang. "Awareness towards oral health environmental changes and oral health in smokers and non-smokers in soldi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4. No. 1, pp. 1-8 2014. 

  14. J. H. Yoo, J. H. Kim. "The oral health care research according to the rank of soldiers and offic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3. No. 1, pp. 105-113, 2013. 

  15. J. H. Yoon, M. S. Lee, J. B. Na.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lated to dental health among some Korean soldier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31. No. 1, pp. 86-96, 2005. 

  16. H. Y. Jung, M. A. Jung. "A study on the state of oral health care among military men: the case of army and the navy",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13. No. 1, pp. 43-59, 2007. 

  17. K. H. Ba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grams in Korean elders denture prosthesis and adjustment. Seoul University, Ph.D. thesis, 2005 

  18. M. J. Cho, Y. M. Park. "A study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nack intake frequency change of some soldiers compare to before and after military servic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16. No. 1, pp. 1-8, 2016. 

  19. J. S. Yoo, K. E. Kim, J. Kim. "A study on actual smoking condi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lated to dental health of Korean soldiers",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 33. No. 3, pp. 356-366, 2009. 

  20. H. Y. Jung, M. A. Jung, "A study on the state of oral health care among military men: the case of the army and the nav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ygiene Science, Vol. 13. No. 1, pp. 43-59, 2007. 

  21. S. Y. Han, K. S. Song, D. Y. Ryu, "Oral health concern and oral healthcare recognition of some soldi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2. No. 5, pp. 1007-1015, 2012. 

  22. J. H. Yoo, J. H. Kim, "The oral health care research according to the rank of soldiers and offic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3. No. 1, pp. 105-111, 2013. 

  23. M. J. Jeon, S. H. Hwang, "A Study on actual smoking condi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lated to dental health of korean soldi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Dental Hygiene Education Vol. 10 No. 2, pp. 243-254. 2010. 

  24. S. J. Kim, B. J. Lee, "A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o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among Korean male soldiers ag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 6, No. 4, pp. 282-288. 2012. 

  25. Marino R, Schofield M, Wright C, Calache H, Minichiello V, "Self-reported and clinically determined oral health status predictors for quality of life in dentate older migrant adults", Community Dentisty and Oral Epidemiology, Vol. 36, pp. 85-94. 2008. 

  26. J. H. Kim, S. H. Kang, M. A. Jeong, "Assessment on quality of life: based on oral health conditions", Journal Korea Acad-Indu cooper Society. Vol. 11, No. 12, pp. 4873-4880. 2010. 

  27. P. F. Allen, A. S. McMillan, "The impact of tooth loss in a denture wearing population: An Assessment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Journal. Health Vol. 16, No. 12, pp. 176-180, 1999. 

  28. S. S. Kim, Y. S. Kim, M. H. Jeong, H. S. Shim,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smoking in soldi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4, No. 3, pp. 327-332, 2014. 

  29. J. S. Shim, J. M. Seong, "Some of the soldiers oral care products usage and recogni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3, No. 1, pp. 166-17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