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인의 건강위험행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및 행복감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nd happiness in soldier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7 no.6, 2017년, pp.1159 - 1169  

박민선 (한서대학교 대학원 치위생학과) ,  장종화 (한서대학교 대학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health risk behavio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nd happiness in soldi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Gangwon and Chungchong provinces from the first to the $15^{th}$ of October, 2016. Ex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군인의 건강위험 행위, 구강 관련 삶의 질, 행복감의 정도와 상관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인의 구강건강 계획 수립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군인의 건강위험 행위,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및 행복감 정도를 알아보고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는 서술적 상관성 횡단면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군인의 건강위험 행위와 구강건강 삶의 질, 행복감을 파악하고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점에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위험 행위, 구강건강 삶의 질과 심리적 작용을 하는 행복감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군인의 건강위험 행위, 구강건강 삶의 질,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군인의 구강건강 향상에 더불어 건강을 통한 행복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의 정의 변화는? 과거에는 건강을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라고 정의했고, 오늘날 WHO에서는 건강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으로 완전한 상태라고 말한다[1]. 이를 넘어 현재는 well-being을 지나 well-dying 이 주목되어 주관적인 행복감과 함께 인간의 삶의 질에 초점을 맞춰 변화하고 있다[2].
군인의 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군인은 국가안보라는 공통의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 집단이다. 군인의 건강은 국가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6], 에너지 생산역할을 하는 식습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은 국력에 상실을 불러일으킨다[9]. 이러한 점에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위험 행위, 구강건강 삶의 질 과 심리적 작용을 하는 행복감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국군 장병들의 구강 건강 위협에 노출되기 쉬운 이유는 무엇인가? 국가안보를 위해 임무를 수행하는 장병들의 건강목표는 단순 성인의 건강목표와는 다르게 전투력 향상과 유지를 위한 목적이 있다[7]. 군부대의 특성상 군인들의 근무지가 의료혜택을 받기 어려운 오지, 바다, 섬 등이 있고, 시내에 근접해 있다하여도 제때 치료를 받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8]. 또한, 고등학교 졸업 후 또는 대학교 입학 후에 군에 들어오는 것이 보통인데, 대다수가 구강건강에 대한 교육을 초등학교를 제외하고, 구강건강관리에 제일 중요한 시기인 중, 고등학교, 대학교 과정에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군에서 역시 입대 초 보건교육을 실시하나 구강 보건교육은 별도로 하지 않고, 가장 기본적인 칫솔질 방법은 개인의 구강 보건지식수준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조사되어 구강 보건지식이 낮은 경우 실질적인 구강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8]. 이에 군인의 에너지원을 공급하는 구강의 건강은 전신건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으로[9] 지속적인 관심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WHO. What is the WHO definition of health?[Internet].[cited 2016 November 10.]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ggestions/faq/en/ 

  2. Hur IG, Lee TY, Dong JK, Hong SH.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0;48(2):101-10. https://doi.org/10.4047/jkap.2010.48.2.101 

  3. Butler TJ. Principles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Wedsworth 1990. 

  4. Locker O, Slade G.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J Canadian Dent Assoc 1993;59:830-44. 

  5. John MT, Patrick DL, Slade GD. The german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transl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European J Oral Sci 2002;110:425-33. 

  6. Kim BS, Choi SJ, Choi EM. Happiness and government's role: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between public services and happiness. Korean Public Admin Review 2015;49(4):97-122. https://doi.org/10.18333/KPAR.49.4.97 

  7. Jung HY, Jung MA. The case of the army and the navy A study on the state of oral heath care among military men. J Korean Soc Hyg Sci 2007;13(1):43-59. 

  8. Yoon JH, Lee MS, Na JH, Kim KY, Hong JY, Kang MY.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lated to dental health among some Korean soldiers. Korean Public Health Res 2005;31(1):86-96. 

  9. Jung JJ, Kang DJ, Kim PS. A study on the oral health management practices of army. J Korean Milit Med Assoc 1995;26(1):26-32. 

  10. Han SY, Song KS, Ryu DY. Oral health concern and oral healthcare recognition of some soldiers. J Korean Soc Dent Hyg 2012;12(5):1007-15. 

  11. Cho MJ, Park MY. A study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nack intake frequency change of some soldiers compare to before and after military service. J Dent Hyg Sci 2016;16(1):1-8. https://doi.org/10.17135/jdhs.2016.16.1.1 

  12. Kim SJ, Lee BJ. A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o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among Korean male soldiers aged 18-24.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36(4):282-8. https://doi.org/10.11149/jkaoh.2012.36.4.282 

  13. Kim SS, Kim YS, Jeong MH, Shim HS.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smoking in soldier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3):327-32.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3.327 

  14. Yoon HS.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happiness indexes among industrial workers. J Kor Contents Assoc 2013;13(11):313-21.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313 

  15. Park CS, Park SY.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on happiness in the elderly people. J Korean Soc Dent Hyg 2015;15(3):443-50.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3.443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11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5 [Internet].[cited 2016 November 25].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main.do 

  17. Argyle M, Martin M, Crossland J. Happiness as a function of personality and social encounters. In: Forgas JP, Innes JM (Eds.), Recent advances in social psychology: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North Holland: Elsevier Science Publishers; 1989: 189-203. 

  18. Stewart ME, Watson R, Clark A, Ebmeier KP, Deary IJ. A hierarchy of happiness? Mokken scaling analysis of the oxford happiness inventor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10;48(7):845-8. 

  19. Hills P, Argyle M.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2;33(7):1073-82.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213-6 

  20. Kang YJ. Empirical analysis for socioeconomic inequality in smoking. J Soc Sci 2015;41(1):59-83. 

  21. Jeon KH, Lee JY, Lee J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ccording to smoking. J Korean Soc Dent Hyg 2015;15(5):889-98.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5.889 

  22. Lee MR, Han GS, Han SJ, Choi JS. Impact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applying the PRECEDE Model.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1;28(1):23-35. 

  23. Yoon HS. Investigation of factor about influent to treatment to happiness index among dental patients. J Kor Contents Assoc 2014;14(8):257-65.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