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서표현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ir Smart Phone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Concep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9, 2017년, pp.255 - 263  

박순아 (거제대학교 간호학과) ,  박근우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경남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표현, 스마트폰중독, 자아개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5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21일까지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서표현과 자아개념은 정적상관관계이었고(r=.286, p<.01), 스마트폰중독과는 부적 상관관계 이었다(r=-.261, p<.01). 자아개념과 스마트폰중독은 부적 상관관계(r=-.247, p<.01)가 있었다.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정서표현을 잘할수록 자아개념은 높아졌고(${\beta}=.286$, p<.001),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중독은 감소하였다(${\beta}=-.269$, p<.05). 자아개념은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되었다(Z=3.447, p<.001). 이에 대한 설명력은 8.4%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중재 개발 시 정서표현과 자아개념을 함께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martphone Addiction, and Self Concept of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 whether the Self Concep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표현, 자아개념 및 스마트폰중독 정도와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스마트폰중독 및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이 완전 매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여 향후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중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서표현과 자아개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표현, 자아개념 및 스마트폰중독의 관계를 확인하고, 가족기능과 스마트폰중독 정도와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역할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정서표현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국내에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자아개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표현, 자아개념 및 스마트폰중독 정도와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스마트폰중독 및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중독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폰중독이란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입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의존적인 상태를 의미한다[2]. 스마트폰중독은 스마트폰에만 의존하여 의사소통을 하려고 하여 대인관계의 문제[5] 및 대학생활의 부적응이 발생하고[5] 신체적 문제와[1] 학업성취 저하[5]를 유발한다.
스마트폰중독으로 인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스마트폰중독이란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입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의존적인 상태를 의미한다[2]. 스마트폰중독은 스마트폰에만 의존하여 의사소통을 하려고 하여 대인관계의 문제[5] 및 대학생활의 부적응이 발생하고[5] 신체적 문제와[1] 학업성취 저하[5]를 유발한다. 심각할 경우 우울과 불안 등의 정신적인 문제[5]와 사이버 범죄와도 관계가 있어[6]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에 대한 개입과 중재가 시급한 실정이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자기조절능력을 향상 시켜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스마트폰중독이 높았다. Ju와 Cho(2015)의 연구에서도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수 중 스마트폰 중독시간이 가장 중요 변수임을 보고하고 있다[31]. 따라서 학교나 가정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 S. Ko, M. J. Lee, Y. E. Kim, "Research on Addictive Use of Smartphone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3, no. 4, pp. 501-516. 2012. http://dx.doi.org/10.9728/dcs.2012.13.4.501 

  2. K. H. Kim, "Effects of Smart Phone Addiction on Sleep Quality through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3, no. 5, pp. 379-404, 2016. DOI:http://dx.doi.org/10.21509/KJYS.2016.05.23.5.379 

  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 survey on the Internet addiction,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 survey on the Internet addiction,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 

  5. H. S. Choi, H. K. Lee, J. C. Ha,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3, no. 5, pp. 1005-1015, 2012. http://dx.doi.org/10.7465/jkdi.2012.23.5.1005 

  6. H. B. Kim, "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Cyber crime", Korean Association of Addiction Crime Review, vol. 3, no. 2, pp. 1-21, 2013. DOI: http://dx.doi.org/10.7465/jkdi.2012.23.5.1005 

  7. H. G. Lee, "Alexithymia and Alcohol Craving in Male In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in an Alcoholic Ward",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2, pp. 905-917, 2013. 

  8. O. Vesile, "The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management skills and internet addict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39, no. 10, pp. 1425-1430, 2011. https://doi.org/10.2224/sbp.2011.39.10.1425 

  9. G. Yaoguo. "A research on emo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junior i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rnet addiction disorders." Chines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4, no. 2, pp. 153, 2006. 

  10. B. F. Bakhshi, Z. Nikmanesh, "Rol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addiction potential in youth",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 Risk Behaviors and Addiction, vol. 2, no. 2, pp. 72-76, 2013. https://doi.org/10.5812/ijhrba.10148 

  11. K. Violet, 'Mental health of aboriginal children and adolescents in violent school environments: Protective mediators of violence and psychological nervous disorder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81, pp. 70-78, 2013.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2.12.011 

  12. Y. O. Nam, S. C. Han, "A quest for influence of protective factors for prevention of adolescent violence", The Korean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 15, no. 1, pp. 77-89, 2007. 

  13. H. J. Lee. Self-concept and attributional style in paranoia,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1997. 

  14. H. K. Shin, "The Effect of Negative Affec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ncept on Adolescent's Experience of Somatic Symptom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5, no. 3, pp. 727-746, 2014.. 

  15. S. H. Kwon, "A Case Study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Youth behavior research, vol. 21, pp. 53-68, 2016. 

  16. K. K. Joo,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on the Effects of Self-Esteem: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Jeju National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6 

  17. S. K. Shin, K. N. Choi. "A Study of the 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Self-concept, Self-regulation and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The Journal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vol. 32, no. 3, pp. 91-111, 2014. 

  18. Y. J. Ko, The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elementary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1. 

  19. H. W. Kim, I. H. Jung, "he Relations between Types and Extent of Maladjusted Behaviors, and Self-Health among Youth",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1, no. 1, pp. 225-244, 2010. 

  20. H. S. Lee, "Convergent Study of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1, pp. 139-148, 2017.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7.8.1.139 

  21. H. S. Lee, "A Convergence Study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arent-Son/Daughter Communication on Addiction to Smartphon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4, pp. 163-172, 2016.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6.7.4.163 

  22. K. M. Yang,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1. 7, No. 1, pp. 113-123, 2016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6.7.1.113 

  23. S. Y. Byun, H. I. Joe. "The Effect of Emotional Experienc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Use Motivation on Addiction to Internet and Cellular phon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 32, no. 1, pp. 119-133, 2011. 

  24. J. Y. Jung, J. H. Ha, "The Effects of General Stress and Emotional Expression o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 Phone Addiction", Journal of Family and Counseling, vol. 3, no. 1, pp. 61-77, 2013. 

  25. P. C. Susan, Z. Jeman, "Initial validation of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dren (EESC)",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vol. 31, no. 4, pp. 540-547, 2002. 

  26. E. S. Choi, H. J. Ba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4, no. 3, pp. 105-128, 2011. 

  2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 Phone Addiction Inventory, Seoul: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1. 

  28. R. M. Baron, D. A. Kenny, "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29. Y. C. Choi, Research on pathological intoxicati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ros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With specific focus o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ha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6. 

  30. M. k. Cho.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 phone Use Motivations, Addiction, and Self-contr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5, pp. 311-323,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5.311 

  31. S. J. Ju, S. S. Cho, "A Study on the Discriminating Factors of Youth's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Youth Welfare", vol. 17, no. 1, pp. 97-118, 2015. 

  32. H. J. Yoon, K. I. Kwon, "Characteristics of Youths Addicted to Mobile Phone and Facilitating Factors for Addiction Proces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2, no. 3, pp. 577-598, 2011. 

  33. D. H. Choi, H. J. Le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Vol. 17, No. 1, pp. 87-103, 2017. 

  34. H. J. Ja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ddictive Using Cellular Phone, Sungshin Women's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2. 

  35. S. W. Woo, K. P. Park, S. H. Jung, M. S. Chang, "Intellectual trait, Emotional trait and Ego trait as predictors of behavior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Vo1. 13, No. 1, pp. 19-3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