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의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Intervention Program of Smartphone Addic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3, 2020년, pp.276 - 288  

김덕주 (청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중독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분석을 위해 2010년 1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출판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외 문헌은 'Pubmed, Science Direct'에서 검색하였고, 국내 문헌은 'RISS, Keris, KISS'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총 310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최종 16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근거수준 I이 13편(81%), III이 3편(19%)이었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을 위한 중재 방법에는 미술치료가 6편(37.5%)으로 가장 많았으며, 운동치료가 4편(25.0%), 인지행동치료가 3편(18.6%)을 차지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는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기간은 6~8주 사이, 치료 회기는 6회기 혹은 12회기가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프로그램 중재 후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증상 감소, 우울, 불안 및 충동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 감소, 자아존중감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의 증가 등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평가항목을 보면,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인터넷 중독진단, 불안평가, 우울평가, 충동평가, 애착평가 등과 같이 심리적인 부분을 측정하는 평가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향후 이러한 연구들이 스마트폰 중독의 치료를 위한 중재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vention program of smartphone addiction. The literature used for this research analysis was published from Jan. 2010 to Jul. 2019. The foreign literature was searched for in 'Pubmed and Science Direct', and the domestic literature was found in 'RISS, Keris, and KISS'. A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논문의 수가 적어 스마트폰 중독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완전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비록 표본 논문 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중독의 중재 프로그램의 사례들을 정리해서 공유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중독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각각의 치료효과를 입증하거나 인식도, 현황 등을 보고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스마트폰 중독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고찰한 본 연구는 좀 더 폭넓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큰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그러나 비록 표본 논문 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중독의 중재 프로그램의 사례들을 정리해서 공유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중독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각각의 치료효과를 입증하거나 인식도, 현황 등을 보고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스마트폰 중독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고찰한 본 연구는 좀 더 폭넓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큰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해서 대부분의 연구들이 2016년 이후에 이루어진 것을 보면, 스마트폰 중독을 위한 중재방법들이 앞으로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이처럼 스마트폰 중독을 위한 다양한 중재 방안들이 소개되고 있지만, 이러한 중재들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자들에게 적용한 중재방법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치료에 대한 통합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로 인하여 스마트폰 중독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사례 및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연구이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치료에 대한 통합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의 문헌을 검색하여 최종 16개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으로 고통받고 있는대상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포함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해외문헌 5편, 국내문헌 11편, 총 16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질적 수준, 문헌의 일반적 특성, 중재방법, 결과 분석, 중재에 사용된 평가도구 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분석하고자 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해서 대부분의 연구들이 2016년 이후에 이루어진 것을 보면, 스마트폰 중독을 위한 중재방법들이 앞으로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에도 이러한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최신의 경향들을 꾸준히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중독자들이 나타내는 증상은? 많은 연구자들은 스마트폰 중독자들이 강박적 사용과 집착, 내성, 금단 등의 증상을 보이며, 자기통제력이 약해지고 일상생활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4][5]. Young 등[6]은 이러한 매체의 특성이 현실세계에서의 좌절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한 이들을 가상세계에 더욱 의존하게 만든다고 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근거는? 스마트폰은 시・공간적 제한 없이 조작이 용이하고, 원하는 모든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생활의 다양한 면에서 편리함을 주지만,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모든 것을 의존하고 과다사용하는 현상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2]. 2018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 잠재적 위험군)은 19.1%로 전년 18.5%에비해 증가하였으며, 추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3]. 이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의 특징은? 특히 SNS, 인터넷 쇼핑, 게임, 정보검색 등을 주로 이용하는 젊은 층에서 더욱더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1]. 스마트폰은 시・공간적 제한 없이 조작이 용이하고, 원하는 모든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생활의 다양한 면에서 편리함을 주지만,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모든 것을 의존하고 과다사용하는 현상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2]. 2018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 잠재적 위험군)은 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ey findings of 2016 Korea media panel survey. Chungbuk, 2016. 

  2. J. S. Park. The variables in influencing on smart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12. 

  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survey on smartphone dependence. Seoul, 2018. 

  4. Y. S. Lee, E. Y. Kim, R. S. Kim, Y. H. Choi, "Development and effect evalu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22, No1, pp.303-334, 2014. 

  5. K. J. Yim, S. J. Hwan, M. A. Choi, N. R. Seo, J. N. Byeon,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iatric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26, No.2, pp.124-131, 2013. 

  6. K. S. Young, E. Griffin-Shelley, A. Cooper, J. O'mara, J. Buchanan, "Online infidelity: A new dimension in couple relationships with implications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Sex Addict Compulsivity, Vol.7, pp.59-74, 2000. 

  7. S. C. Shin, "Regualting effects of resilience toward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toxication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on adaptability to school life and aggress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23, No.1, pp.199-214, 2014. 

  8. S. K. Kim, "Modern Psychiatry", Seoul: Ilchokak, 2015. 

  9. A. Akin, M. Iskender, "Internet addiction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ternational Online Journal Education Science, Vol.3, pp.138-148, 2011. 

  10. S. Mei, Y. H. Yen, J. Chai, J. Guo, M. N. Potenza, "Problematic internet use, well-being, self-esteem and self-control: Data from a high-school survey in China", Addict Behavior, Vol.61, pp.74-79. 2016. DOI : https://doi.org/10.1016/j.addbeh.2016.05.009 

  11. Y. K. Choi, "If you don't have a cell phone you're addicted to mobile phones", Health news, Vol. 8, pp.80-81, 2010. 

  12. Y. H. No. Report on how to improve the self control of computer game addicited children through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Master Thesis, Seoul Education University, 2008. 

  13. J. S. Lee. The effect of the group program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the impulsivity and empathy of juvenile delinquents. Master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2010. 

  14. M. N. Sung, S. H. Hong,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on internet addictive behavior of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ling, Vol.18, No.2, pp.57-69, 2010. 

  15. C. B. Amanda, "Anxiety and art therapy: Treatment in the public eye. Art 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Vol.25, No.4, pp.187-189, 2008. 

  16. J. Rainville, C. Hartigan, E. Martinez, J. Limke, C. Jouve, M. Finno, "Exercise as treatment for chronic low back pain", The Spinal Journal, Vol.4, No.1, pp.106-115, 2004. 

  17.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D. G. Altman,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51, No.4, pp.264-269, 2009.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med.1000097 

  18. M. Arbesman, J. Scheer, D. Lieberman,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Vol.13, No.5, pp.18-22, 2008. 

  19. H. Wadeson. The dynamics of art psycho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 1987. 

  20. S. Y. Jeon, S. J. Oh, "Effects of the art therapy program on the toxicity of smartphone addi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Child Art Association, Vol.14, No.1, pp.71-87, 2015. 

  21. M. N. Ahn, "A study on effect of expressional arts on smart phone/internet game addicted teenagers", Korean Journal of Correctional Discourse, Vol. 9, No. 2, pp.213-246, 2015. 

  22. H. B. Shin,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martphone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 control", Journal of Korea Youth Counseling Association, Vol.1, No.1, pp.139-164, 2016. 

  23. H. J. Jang, J. W. Kim, T. Y. Choi, "The effect of group therapy using art program on internet/smartphone addictive behaviors of adolescents: A pilot study", Journal of Society Biology Therapy Psychiatry, Vol.23, No.3, pp.171-180, 2017. 

  24. S. Y. Bae, H, R. Won, "The effect of attachment-focused group art therapy on early youth attachment behavior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Vol.26, No.3, pp.559-584, 2019. 

  25. S. Y. Kim, T. H. Kim,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delay of gratification of children with smartphone addiction", Forum for Youth Culture, Vol.58, pp.32-60, 2019. DOI : http://dx.doi.org/10.17854/ffyc.2019.04.58.31 

  26. H. K. Sun, J. S. Paek,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in sport club activity for depression, aggressiveness and self-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he extent of smartphone addictio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5, pp.107-123, 2015. DOI : https://doi.org/10.15831/JKSSPE.2015.20.1.107 

  27. L. R. Zhou,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vention of aerobic exercise on college students' mobile phone dependence", Shaolin Taiji, Vol.7, pp.47-51, 2015. 

  28. J. S. Zhang, R. K. Hu, Y. Q. Xu, "Research on the intervention of college students' mobile phone dependence by outdoor development movement", Science Technology, pp.321, 2016. 

  29. X. T. Wang, C. Zhang, "Research on the exercise intervention of mental health level of mobile phone addiction medical students", China High Medical Education, Vol.7, pp.29-30, 2016. 

  30. M. J. Kang, N. S. Kim, "Effects of cervical stretching program on pain, fatigue and range of mo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verusing smartphon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5, No.3, pp.241-249, 2019. DOI : http://dx.doi.org/10.17703/JCCT.2019.5.3.241 

  31. E. M. Choi, M. S. Kim, "The effect of motivational interview oriented and cognitive behavioral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17, No.3, pp.169-185. 

  32. Y. Lan, J. E. Ding, W. Li, J. Li, Y. Zhang, M. Liu, "A pilot study of group mindfullness-based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for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 Vol.7, No.4, pp.1171-1176, 2018. DOI : https://doi.org/10.1556/2006.7.2018.103 

  33. J. E. Choi, M. S. Hyun,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on smartphone overuse prevention among healthcare college students", Nursing and Health Issues, Vol.24, No.1, pp.1-10, 2019. DOI : http://doi.org/10.33527/nji2019.24.1.1 

  34. E. S. Cho, "The effectiveness and change process study of narrative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mprovement of self-esteem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rnet or smartphone overdependenc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Vol.24, No.2, pp.25-44, 2019. DOI : http://dx.doi.org/10.21321/jfr.24.2.25 

  35. J. Chun, "Conceptualizing effective interventions for smartphone addiction among Korean female adolesc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84, pp.35-39, 2018. DOI :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7.11.013 

  36. J. G. Oh, J. Y. Yoon, C. S. Lee, J. W. Choi, S. Y. Bang, Y. S. Kwon, "The effectiveness of the SBIRT intervnetion on the high risk group of students for the internet smartphone addiction in the community", Journal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Vol.22, No.2, pp.113-120, 2018. 

  37. H. G. Sun, J. S. Paek,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in sport club activity for depression, aggressiveness and self-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he extent of smartphone addictio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20, No.1, pp.107-123, 2015. DOI : https://doi.org/10.15831/JKSSPE.2015.20.1.107 

  38. Y. S. Kim, "Trends and issues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research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16. No.3, pp.17-29, 2017. 

  39. I. Hartz, L. Thick, "Art therapy strategies to raise self-esteem in female juvenile offenders: A comparison of arat psychotherapy and art as therapy approaches", Art Therapy, Vol.22, pp.70-80, 2011. DOI : https://doi.org/10.1080/07421656.2005.10129440 

  40. C. B. Amanda, "Anxiety and art therapy: Treatment in the public eye",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Vol.25, No.4, pp.187-189, 2008. DOI : https://doi.org/10.1080/07421656.2008.10129540 

  4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mendment, 2012. 

  42. J. O. Segrave, "Sport and juvenile delinquency", Exercise and Sport Science Review, Vol.11, pp.181-209, 1983. 

  43. K. H. Kim, Th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and motivational group counseling on adolescents.. Mastser Thesis, Hanong University, 2009. 

  44. C. M. Kum, Research into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mental health proble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 Korea. Master Thesis, Seoul University, 2013. 

  45. A. S. Zion, R. De Meersman, B. E. Diamond, D. M. Bloomfield, "A home-based resistance-training program using elastic band for elderly patients with orthostatic hypotension", Clinical Autonomic, Vol.13, No.4, pp.286-292, 2003. DOI: http://doi.org/10.1007/s10286-003-0117-3 

  46. DOI:http://doi.org/research-paper.co.kr/news/view/6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