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북구 148 마을 건강주민운동사업의 성과와 한계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of the Health Community Organization Project in 148 Village, Gangbuk-gu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2 no.3, 2017년, pp.155 - 167  

홍종원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웅섭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상아 (동서울대학교 실버복지과) ,  김남준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서울시 강북구 건강마을 사업에 대한 문헌고찰과 운영주체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주민운동의 관점에서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기존 건강증진 사업과의 차별성을 찾아 향후 건강증진 사업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빈곤층의 비율이 높고, 물리적 환경이 열악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건강친화 마을 만들기 사업은 주민조직화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기존 건강증진사업과 다음과 같은 방법론적 차별성과 성과가 있었다. 첫째, 주민 스스로 지역보건의료 계획을 수립하고 주민의 성장을 통한 건강증진사업이 이루어졌다. 둘째, 기존 건강증진사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주민활동가가 팀을 이루어 보건소 및 전문가, 주민 간 긴밀한 협력을 위해 매개자로 활동하였다. 셋째, 병의원이나 보건소가 아닌 대안적 주민참여 건강증진 공간인 건강카페를 통한 건강증진 구심점이 마련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었다. 넷째,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고려한 접근을 통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었다. 따라서 향후 건강친화 마을 만들기와 같은 지역사회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업을 실시할 때 이 연구에서와 같은 방법론적 접근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다양한 사업주체들이 모인만큼 이해관계와 역할분담과 관련된 어려움이 발생한 점과 시범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사전에 명확히 예상하기 못해 갈등이 유발되었던 점 등의 한계가 있었던 만큼 향후 유사한 사업의 계획 시 이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점 등을 고려한 내용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주민건강운동의 관점에서 건강마을사업 확산 된다면 사회 전체에 건강증진 효과를 만들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of health community building project of 148 village in Gangbuk-gu, Seoul on community health organization perspective. Methods: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using both a systematic review of this project and 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인 결정요인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건강증진은 사람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건강을 관리 또는 통제할 수 있고,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이다[2]. 국민들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인 결정요인들은 사회계층화 및 위계구조 자체로부터 노동과 고용조건, 지역사회 같은 환경 요인, 젠더와 인종주의 등에 기반한 차별과 사회적 배제 등의 제도적·문화적 요인, 사회네트워크와 지지 등 개인·집단 수준의 사회 심리적 요인, 소득불평등, 복지체제와 사회정책, 세계화 등 정치경제적인 요인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일 뿐 아니라 서로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다[3]. 그 결과 이러한 요인들은 개인뿐 아니라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과 지역사회, 국가 등 우리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건강증진이란? 따라서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국가의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건강증진은 사람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건강을 관리 또는 통제할 수 있고,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이다[2]. 국민들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인 결정요인들은 사회계층화 및 위계구조 자체로부터 노동과 고용조건, 지역사회 같은 환경 요인, 젠더와 인종주의 등에 기반한 차별과 사회적 배제 등의 제도적·문화적 요인, 사회네트워크와 지지 등 개인·집단 수준의 사회 심리적 요인, 소득불평등, 복지체제와 사회정책, 세계화 등 정치경제적인 요인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일 뿐 아니라 서로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다[3].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국가의 노력이 필요한 까닭은? 건강은 개인적 차원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및 국가적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지역 사회와 국가가 사회구성원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해야 한다. 개인의 건강은 지역사회의 발전과 국가의 경쟁력 제고에도 영향을 미친다[1]. 따라서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국가의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HY, Kim CS. Inequality in health by socioeconomic status in Korea: a critical review from political science. Democratic Soc and Policy Studies 2017;31(0):101-131 (Korean) 

  2. Park BH, Healthycity. Hanul Publishing Group, 2014, pp.10-25 (Korean) 

  3. Kim MH. Understanding of health inequality: Shin YS, Kim YI, etc. editor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Seoul, SNU Press, 2013, pp.452 

  4. Park JY, Kim YM. A panel study on financial burden and spending of health expenditure of the elderly households: focusing on age groups. Health Service Manage Review 2016;10(1):31-41 (Korean) 

  5. Lee JW. The case study of Gasiri community development to make Korean model for a good commuity. Geo J Korea 2015;49(4):425-467 (Korean) 

  6. Yang GS, Moon HJ. A exploratory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on experiential fishing village - focused on the case of Soomoon village, Jangheunggun. J Korean Island 2009;21(2):89-108 (Korean) 

  7. Cho MS, Yun SJ. Learing of ecological citizenship through the process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s: based on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n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in Gwanak-gu, Seoul. Space & Environ 2016;58(0):190-228 (Korean) 

  8. Oh HE, Cho JH. Study regarding appraisal tendency on agricultural experiende village amenity. J Rural Soc 2011;21(1):7-48 (Korean) 

  9. Park JH. The impact of social procimity on the public use of privately owned urban spaces: the experiences of 'Daegu wall removal project' and 'Ansan mini garden project'. Korean J Local Gov Studies 2016;19(4):369-393 (Korean) 

  10. Jeong BG, Kim JR, Kang YS, Park KS.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initiatives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arterships-the case of Sabong-myeon in Jinju city. J Agric Med Commun Health 2014;39(4):209-221 (Korean) 

  11. Jeong BG, Kim JR, Kang YS, Park KS, Lee JH, Jo SR, Seo GD, Joo SJ, Oh ES, Kim SJ, Jo SJ, Kim SM, Yeum DM, Sim MY. The strategies to address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in Gyeongsangnam-do: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J Agric Med Commun Health 2012;37(1):36-51 (Korean) 

  12. Kim KY, Kim HJ, Youn CH. The Setting Approaches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J Korea Academia-Ind Coop Soc 2011;12(2):813-820 (Korean) 

  13. Korea community organization network for education & training. Commuity organizing methodology. Seoul, Jjgfound, 2010, pp.14-17 

  14. Anselm S, Juliet MC. Grounded theory in practice.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97, pp.199-250 

  15. Benjamin FC, William LM. Doing qualitative research.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99, pp.33-46 

  16. Michael H, Matthew BM. The qualitative researcher's companion.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002 pp.393-398 

  17. Yvonna SL, Egon GG. Naturalistic inquiry.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85, pp.357-381 

  18. Seoulmetropolitian government. The result report form Seoul-si welfare and health community support team. Seoul, Sungkonghoe University, 2012, pp.41-42 

  19. Kim MH. Seminar on biomedical and health rights in the 21st century. Center for health and social change [Internet]. 2013:47-24 [cite 2013 June 15] Available from: http://www.chsc.or.kr/?post_typeforum&p4969 (Korean) 

  20. Jung MS, Cho BH. The Influence of community capacity in health status. Health Soc Sci 2007;22(0):153-182 (Korean) 

  21. Shin MH, Is community organizing movement possible for social welfare center?. Korean Studies Quarterly 2012;35(2):69-99 (Korean) 

  22. Choi YH, Kim NY.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using a resident volunteer as a lay health leader for elders'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J Korean Community Nurs 2013;24(3):346-357 (Korean) 

  23. Oh RR. The impact of community capacity on the community residents' heatlh status: a comparative study of two towns in a district in seoul cit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Korean) 

  24. Kim SN, Lee SB. Spiritual well-being,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 East-West Nurs Res 2013;19(2):186-194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