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지표 개선을 위한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성공 및 장애요인 - 강원도 고성군 고혈압등록사업 -
Success and Barrier Factors of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to Improve Health Indicators - Hypertension Registration Program in Goseong, Gangwon -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3 no.2, 2018년, pp.97 - 107  

박웅섭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옥희 (고성군 보건소) ,  황현숙 (고성군 보건소) ,  임현정 (고성군 보건소) ,  임희영 (고성군 보건소) ,  김상아 (동서울대학교 실버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고혈압 치료율을 향상시킨 고성군 고혈압등록사업의 성과분석과 질적 연구를 통해 사업의 성공요인과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보건소들이 통합건강증진 사업을 통하여 건강지표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확산시키기 위해 2018년 4월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전산시스템 보고자료와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를 확보하여 사업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이 사업을 직접적으로 수행한 8명을 연구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지표를 변화시킨 성공요인은 첫째, 보건주체의 지표개선 의지, 둘째, 자원을 통합한 규모 있는 사업 추진, 셋째, 업무프로세스의 개선, 넷째, 실적이나 포상이 아닌 지표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보건소가 실적이 아닌 지표개선 의지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보완해야할 장애요인은 첫째, 획일적인 실적중심의 평가, 둘째, '줄 세우기' 식의 평가와 포상, 셋째, 집단이 아닌 개인적인 통합건강증진 사업의 개념, 넷째, 변화를 두려워하는 담당자의 태도로 도출되었다. 이를 종합하면 보건소는 보건사업의 기본 원칙을 준수하고, 중앙정부는 지역이 주체가 되어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방분권적 정책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ccess and barrier factors of hypertension registration program in Goseong community health center proven improving hypertension treatment rate by community health survey. Methods: We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both a performa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고혈압 치료율을 향상시킨 고성군 고혈압등록사업의 성과분석과 질적 연구를 통해 사업의 성공요인과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보건소들이 통합건강증진사업을 통하여 건강지표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확산시키기 위해 2018년 4월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전산시스템 보고자료와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를 확보하여 사업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이 사업을 직접적으로 수행한 8명을 연구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에 이 연구는 고성군 고혈압등록사업의 성과분석과 질적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인구집단의 고혈압치료율을 개선시킬 수 있었던 성공요인과 사업추진의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보건소들이 통합건강증진사업을 통하여 건강지표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확산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지표를 변화시키는 통합건강증진사업을 위해 강화해야 할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보건주체가 지표개선에 대한 비전과 의지를 가져야 한다. 고성군은 전 직원 교육과 지역현황 분석을 통해 고혈압 사망률이 전국에 비해 2배 가까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고성군의 건강지표를 변화시키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이 사업이 시작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소들이 핵심사업으로 고혈압 관련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고혈압 관련 보건사업은 사업대상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1950년대부터 약물의 투약과 행태 변화를 통해 고혈압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과학적인 근거가 축적되어, 많은 보건소들이 핵심사업으로 선정하여 수행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2009년부터 전국 19개 시군에서 65세 이상 고혈압 및 당뇨병환자들의 등록 및 교육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통합건강증진사업의 현실은 어떠한가? 이에 보건소는 지역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자원을 통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현실은 자원을 집중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규모있는 사업이 추진되기보다는, 통합적인 작명을 통해 연관성 있는 사업을 계획서 상에서만 묶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모든 사업에서 중앙정부의 지침과 실적평가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보건소가 평가를 무시하고 자원을 집중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보건소가 지역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자원을 통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2013년부터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및 서비스 등을 기획·추진하는 통합건강증진사업이 도입되었다[1]. 이에 보건소는 지역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자원을 통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Guideline of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pp.1-5 (Korean) 

  2. Bodenheimer T, Wagner E, Grumbach K. Improving primary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the chronic care model. JAMA. 2002;288:1775-1779. 

  3. Lee SY, Tasks and status of registry program for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ics. Proceeding of 2014 congress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Seoul,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4, pp.1-23 (Korean) 

  4.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Community health survey report 2010-2017. Osong,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0-2017 (Korean) 

  5. Michael H, Matthew BM. The qualitative researcher's companion.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002 pp.1-424. 

  6. Yvonna SL, Egon GG. Naturalistic inquiry.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85, pp.1-416. 

  7. Ahn CY, Kim HS, Kim WB, Oh CH, Hong JY, Kim EY, Lee MS, Analysis of vision statements in 6th community health plan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6:42(1):1-12 (Korean) 

  8. Puska P, Vartiainen E, Laatikainen T, Jousilahthi P, Paavola M. The North Karelia project. Helsinki,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1999, pp.284-292. 

  9. Naidoo J, Wills J. Foundation for health promotion. NY, 2009, Elsevier, pp.269-286. 

  10. Price A, Schwartz R, Cohen J, Manson H, Scott F. Assessing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public health: Adapting lessons from healthcare. Healthc Policy. 2017;12(3):34-49. 

  11. Perrin B. Implementing the vision: Addressing challenges to result-focused management and budgeting. OECD, 2002, pp.1-45 [cited 2018 May 8]. Available from: http://www.oecd.org/gov/budgeting/2497163.pdf 

  12. Lavinghouze SR, Snyder K. Developing your evaluation plans: A critical component of public health program infrastructure. Am J Health Educ 2013;44(4):237-243. 

  13. Bender K, Beitsch L, Kronstadt J. Development of a national public health accreditation program: A case study in strategic change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17;23(3):315-324. 

  14. Jin DC, Shin YS, Kim MJ, Kang MY, Won EM, Yang KH, Analysis of hemodialysis therapy variation associated with periodic hemodialysis quality assessment by government in Korea. Korean J Med 2018;93(2):194-205 (Korean)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velopment of strategy for community health center health promotion program.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pp.15-183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