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느타리 병버섯 재배사 원격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in Bottle Cultivation Environments of Oyster Mushrooms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5 no.3, 2017년, pp.118 - 123  

이성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유병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이찬중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윤남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버섯은 관리가 매우 까다로운 작물로 알려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버섯을 오랜 기간 재배해 온 농민도 버섯을 재배할 때마다 버섯의 품질이나 생산량에 차이가 발생한다고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오랜 경험에 의한 지식으로 재배하던 버섯의 생육관리를 계량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버섯재배사의 생육환경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버섯을 자동으로 재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버섯의 생육을 위한 환경관리는 재배현장,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고 품질의 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의 환경관리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생장환경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재배사 내부의 환경이 관리되도록 하였다. 재배품종은 흑타리버섯 이다. 버섯재배를 위한 관리 환경은 데이터베이스 값을 기준으로 온도는 설정값${\pm}0.5^{\circ}C$, 습도는 상한은 설정값+7 %, 하한은 설정값-3 % 수준에서 제어되도록 하였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설정값${\pm}10%$ 수준에서 제어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버섯을 재배한 결과 수확시 버섯의 생산량이 $193.8{\pm}12.9g$/병으로 최고의 기술을 가진 농가에서 재배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동안 오랜 경험을 기반으로 관리하던 버섯재배사 환경관리를 센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technology to manage the growth of mushrooms, which were cultivated based on long-term information obtained from quantified data. In this study, hardware that monitored and controlled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mushroom cultivation house was developed.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버섯재배 현장에서 컨트롤하던 환경관리를 원격에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컨테이너를 이용해 버섯재배사를 제작하여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의 생육과 품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버섯은 다른 식물과 달리 버섯의 종류, 품종 등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하지만 대부분의 버섯에 적합한 생육관리를 위해서는 온도, 상대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광 관리가 중요하다고 보고된다(Lee et al., 2007; Lee et al.
기존 버섯재배사 환경관리의 문제점은? 습도의 경우 가습기에 타이머를 부착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On/Off를 반복하는 방법으로 관리를 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농도의 경우도 버섯의 생육상태를 관찰 한 후 배기팬으로 내부 공기를 배출하거나 입기팬으로 외부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관리는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의 상태를 확인 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채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각종 장치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버섯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재배사에 머물러 있어야 하고, 재배사의 환경관리 때문에 원거리 또는 장기 출타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오랜 기간 동안 버섯을 재배하면서 얻은 경험에 의해 관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시시각각 변하는 자연환경을 감지하여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매번 같은 품종의 버섯을 동일한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를 하여도 매 작기마다 품질과 생산성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버섯이란? 버섯은 미생물이며 눈으로 볼 수 있고 손으로 만질 수 있을 정도의 큰 곰팡이 이며, 자실체라는 독특한 생식기관을 가지며 여기에 유성포자를 형성한다(Kirk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JH. 2000.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mote control on internet. MS thesis. Hongik University.(in Korean) 

  2. Carlos Sero dio a, J. Boaventura Cunha B, Raul Morais b, Carlos c, Joa o Monterio c. 2001. A networked platform for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s. Cumput Electro Agri 31: 75-90. 

  3. Kim DE, Chang YS, Kim JG, Kim HH, Lee DH, Chang JT. 2006. Environmental control of plant productiom factory using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and computer. J Bio-Environ Cont 15: 1-7.(in Korean) 

  4. Kim DU. 2002.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monitoring for remote control based on clinet/server.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in Korean) 

  5. Kim KO, Park KO, Kim JC, Chang MS, Kim EK. 2011. Establishment of web-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greenhouse environment. ResearchGate: 77-83.(in Korean) 

  6. Kirk PM, Cannon PF, David JC. 2001. Ainworth & Bisby's dictionary of the fungi. 9th edition.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7. KMGA(Korean Mushroom Growers Association). 2013. Mushroom growing manual.(in Korean) 

  8. Kong DG, Ryu KH, Jin JY. 2003. Development of database for environment and control information in greenhouse. J Agri Machin 28: 59-64.(in Korean) 

  9. Lee DH, Lee KS, Chang YC. 2008. Development of an Automatic water control system for greenhouse soil water content management. J Biosyst Engin 22: 115-123.(in Korean) 

  10. Lee IB, Suh WM, Kim TK, Choi MG, Yoon YC. 2007. Survey and analysis on operation of equipments for environmental control in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facilities. J Agri Life Sci 41(4): 47-53.(in Korean) 

  11. Lee SH, Yu BK, Kim HJ, Yun NK, Jung JC. 2015.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environment in the oyster mushroom cultivation house by using multi-layered shelves. Protect Horticul Plant Fact 24: 128-133.(in Korean) 

  12. Lee YD. 2013. Implementation of greenhous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J Inform Commu Engin 17: 2686-2692.(in Korean) 

  13. MushWorld. 2004. Mushroom Growers' Handbook 1 (Oyster Mushroom Cultivation). 

  14. Park BH. 2000. Teleoperation control for greenhouse via the world wide web. MS thesis. Youngnam University.(in Korean) 

  15. Yoo YB, Oh MJ, Oh YL, Shin PG, Jang KY, Kong WS. 2016. Development trend of the mushroom industry. J Mushrooms 14: 142-154.(in Korean) 

  16. Yoon YC, Suh WM, Lee HW. 2003. Analysis of environment factors in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house. J. Bio-Env. Con. 12: 200-206.(in Korean) 

  17. Yu MH, Lim SK. 2015. Improvement of SWoT-based real time monitoring system. KIPS Tr Comp and Comm Sys 4: 227-234.(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