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혼합한 점성토의 강도 변화특성
Characteristics of Strength Change of Clay Mixing Eco-friendly Soil Binder and Microorganism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8 no.10, 2017년, pp.15 - 22  

김태연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박종서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이봉직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금까지의 지반개량공법은 지반의 강도증진을 중점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경제성과 취급 성이 우수한 시멘트계 안정재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시멘트계 안정재를 이용한 지반개량 공법은 효과가 우수하지만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검출되며 이산화탄소 배출 및 지하수 오염 등의 환경적인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체 공법의 일환으로 생물학 기술을 접목한 지반개량공법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점성토에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혼합하였을 때의 강도변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의 혼합여부와 양생일수에 따라 일축압축시험, 직접 전단시험, SEM 분석X선 회절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시험결과 미생물의 탄산칼슘생성작용으로 인한 고결화와 그로 인한 장기강도증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il improvement method so far has been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enhancing the strength of the ground. A soil improvement method using a excellent cementitious stabilizer in economical efficiency and handling property is mainly used. The soil improvement method using cementitious stabiliz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점성토의 구조 변화와 조직의 변화 등을 확인하기 위해 무처리 시료와 친환경 고결제만 혼합한 경우,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혼합한 경우에 대해 24시간 양생 후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생물 주입 시 발생되는 탄산칼슘의 생성과 재료 혼합 시 시료의 정성적인 변화를 평가하고자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
  •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첨가한 점성토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축압축시험과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고, SEM 분석을 통해 간극과 흙 입자 간의 변화를 평가하고 X선 회절분석을 활용하여 정성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무처리 시료와 비교, 분석하여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이용한 점성토의 강도변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 또한, 전단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처리 시료와 친환경 고결제만 혼합한 경우,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혼합한 시료를 대상으로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미생물 혼합 시 시간경과에 따른 전단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혼합한 경우의 시료를 1일, 7일 및 28일 양생시킨 시료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 분양받은 균주의 활성화를 위해 CASO AGAR 배지에서 2번의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으며, 활성화된 균주를 5mL 시험관에 접종하여, 30°C의 세이킹 인큐베이터에서 2일간 배양한 후, 멸균된 1,000mL 배지에 0.5%가 되게 접종하였다.
  • 시료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함수비 조절은 소형 믹서기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점성토 시료는 카올리나이트와 벤토나이트를 5 : 5(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충분한 교반을 실시하였으며 위치별 함수비 측정을 통하여 시료의 균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혼합장치의 제원은 아래 Table 6과 같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친환경 고결제를 이용하여 미생물이 활착하고 증식하여 탄산칼슘형성작용으로 인한 고결화가 진행될 때까지 필요한 초기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한 후, 미생물의 탄산칼슘작용으로 인한 고결화로 장기적인 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때 지반개량의 최소 목표는 작업차량 주행을 기준으로 하였다.
  • 점성토 시료의 물리적 특성과 강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중, 함수비, 액성한계, 소성한계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 점성토 지반에 친환경 고결제 첨가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증가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친환경 고결제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와 친환경 고결제를 토사의 중량비 기준 3%, 5% 및 7%를 첨가한 시료를 대상으로 양생기간에 따른 일축압축 강도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Fig. 2는 시간경과에 따른 시료별 일축압축강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점성토 지반에 친환경 고결제 첨가에 따른 전단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친환경 고결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친환경 고결제를 3%, 5% 및 7%를 첨가한 후 1일 경과 후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4와 같다.
  • 점성토 지반의 미생물 첨가 시 양생기간에 따른 전단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같이 혼합한 경우(CAB)에 대해 양생기간을 달리하여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10과 같다.
  • 점성토 지반의 미생물 첨가에 따른 전단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처리 시료(C)와 친환경 고결제만 혼합한 경우(CA),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같이 혼합하였을 경우(CAB) 3가지 시료를 1일 양생한 후 직접전단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직접전단시험 결과는 Fig. 7과 같다.
  • 점성토와 고결제 혼합지반에 미생물 첨가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변화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처리 시료(C)와 친환경 고결제만 혼합한 경우(CA), 미생물만 혼합하였을 경우(CB),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동시에 혼합하였을 경우(CAB) 등 4가지 경우의 시료에 대하여 0.5일, 1일, 7일, 28일로 양생기간을 변화시켜 가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
  • 점성토의 구조 변화와 조직의 변화 등을 확인하기 위해 무처리 시료와 친환경 고결제만 혼합한 경우,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혼합한 경우에 대해 24시간 양생 후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생물 주입 시 발생되는 탄산칼슘의 생성과 재료 혼합 시 시료의 정성적인 변화를 평가하고자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
  •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첨가한 점성토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축압축시험과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고, SEM 분석을 통해 간극과 흙 입자 간의 변화를 평가하고 X선 회절분석을 활용하여 정성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무처리 시료와 비교, 분석하여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이용한 점성토의 강도변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혼합한 점성토의 강도변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재료의 혼합여부와 양생기간을 변화시켜 가며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활용한 점성토의 강도변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처리 시료와 친환경 고결제만 혼합한 경우의 시료,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혼합한 경우의 시료를 0.5일, 1일, 7일 및 28일 별로 제작 후 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Sporosarcina pasteurii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균배양체로 균주를 분양받았으며 Sporosarcina pasteurii의 주요특성은 아래 Table 3과 같다.
  • 미생물 성장을 위해 사용된 배지는 CASO AGAR(Merck 105485)를 사용하였으며 배지는 멸균기를 이용하여 121°C에 서 15분간 멸균 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Sporosarcina pasteurii KCTC 3558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서 균배양체로 균주를 분양받았다.
  • 시료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함수비 조절은 소형 믹서기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점성토 시료는 카올리나이트와 벤토나이트를 5 : 5(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충분한 교반을 실시하였으며 위치별 함수비 측정을 통하여 시료의 균질성을 확인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은 대표적인 탄산칼슘 생성 미생물인 Sporosarcina pasteurii로 보통 Bacillus균이라고 불리며 (Ferris et al., 1996), 요소를 분해시켜 탄산이온 2개와 암모늄이온을 생성하고 유기산 재료의 일부 포함되어 있는 Ca 이온과 반응하여 침전이 발생한다(Kroll, 1990).
  • 실험에 사용된 점성토시료는 카올리나이트와 벤토나이트를 5 : 5(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벤토나이트와 카올리나이트의 화학성분은 Tabl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멘트계 안정재를 이용한 지반개량 공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현재까지의 지반개량공법은 지반의 강도증진을 중점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경제성과 취급 용이성이 우수한 시멘트계 안정재를 이용한 지반개량 공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시멘트계 안정재를 이용한 지반개량 공법은 효과가 우수하지만 환경 및 인체에 유해물질로 구분되는 Cr6+의 검출 및 지하수 오염 등의 환경적인 문제가 지적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초기 강도개선의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Osamu et al., 2006).
지반개량이란 무엇인가?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향상됨에 따라 지반개량은 강도개선과 함께 환경문제가 중요시되고 있다. 지반개량은 연약지반이나 건설재료로서의 활용이 어려운 불량토사를 개량하는 공법으로 개량의 원리에 따라 원지반을 양질의 토사로 치환하는 치환공법, 배수제를 이용하여 압밀을 촉진시키는 압밀배수공법, 동적하중을 이용하는 다짐공법 및 석회나 시멘트, 약액 등을 지반과 혼합, 주입하여 지반을 고화시키는 고결공법 등 많은 공법들이 개발되어 있다(Otsuki et al., 2007).
미생물의 탄산칼슘 생성방법을 이용한 지반개량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미생물의 탄산칼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지반강도를 증진하기 위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생물을 직접적으로 이용한 지반개량은 기후조건이나 주변 환경의 변화에 미생물의 생존율이 크게 좌우되며 미생물이 활착하고 증식하여 탄산칼슘형성작용을 통한 고결화가 이루어지기까지 일정강도 및 환경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Dejong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Dejong, J. T., Fritzges, M. B. and Nulein, K. (2006), Microbially induced cementation to control sand response to undrained shear,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pp. 1381-1392. 

  2. De Muynck, W., De Belie N. and Verstraet, W. (2010), Microbial carbonate precipitation in construction materials, Ecological Engineering, Vol. 36, pp. 118-136. 

  3. Ferris, F. G., Stehmeier, L. G., Kantzas, A. and Mourits, F. M. (1996), Bacteriogenic mineral plugging, Journal of Canadian Petroleum Technology, Vol. 358, pp. 56-61. 

  4. Kroll, R. G. (1990), Microbiology of extreme environments, McGraw-Hill, New York, pp. 120-155. 

  5. Osamu, Y., Masaya, I., Yasuhiro, U. and Shunsuke, H. (2006),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otal Cr(VI) in cement,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Vol. 26, pp. 785-795. 

  6. Otsuki, N., Yodsudjai, W. and Nishida, T. (2007), Feasibility study on soil improvement using electrochemical techniqu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1, pp. 1046-1051. 

  7. Oh, S. W., Kim, H. S., Bang, S. T. and JO, H. D. (2016), "Evaluation on the effect of soil pavement mixsing friendlysoil binder", Annual Conference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7, No. 3, pp. 18-25. 

  8. Park, K. H. (2011), Strength improvement of soft ground with microbial reaction, Thesis for the Master of Science in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