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건설 전문 인력의 핵심 역량 요인 분석
Key Competency Factors of Professional Engineer in Environment - friendly Construction Industry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9 no.2, 2018년, pp.73 - 82  

박소연 (한양대학교 건축시스템공학과) ,  김수련 (한양대학교 건축시스템공학과) ,  안용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에너지 사용량 절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에너지 사용량 비중이 큰 건축부문의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한 친환경 건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친환경 건설 시장은 빠른 속도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친환경 건설시장이 성장하면서 친환경 전문기업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관련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전문가들의 수는 부족하다.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친환경 건설 시장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전문인력 양성의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 건설 산업의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인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핵심 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각각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4개의 역량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그 중 2개의 요인인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해'와 '인적 관리 역량'이 핵심적인 역량 요인이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인력 양성에 필요한 역량 기준 및 평가에 대한 준비를 위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vironment - friendly construction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with sustaine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government assistance. However, there is lack of consideration for nurturing professional manpower for Environment - friendly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to support rap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문화된 친환경 건설시장의 변화에 따라, 친환경 프로젝트 수행 시 요구되는 역량 요인을 포함한 전문화된 친환경 건설 산업에 적합한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 요인들을 도출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도출한 핵심 역량 요인들의 의미와 세부 역량 변수들의 분석을 통하여 친환경 건설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 인력 양성의 기반을 확립하고자 한다. 친환경 건설 산업은 성장을 거듭하여 대형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는 이러한 대형화된 친환경 건설 시장에 대비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역량요인 변수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존 건설 산업의 직무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시행하였으며, 다수의 일반적 직무 역량 변수들을 도출하였다[Table 1]. 이론적 고찰 과정에서는 각 문헌에서 선정한 건설 인력의 역량 변수를 나타내었으며, 각 변수 별로 몇 개의 문헌에서 역량으로 선정하였는지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의 방법인 탐색적 요인분석은 설문조사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요 핵심 역량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요인 분석을 통하여 변수들 사이의 상관성과 구조를 파악하여 적은 수의 요인들 즉 공통성을 가지는 변수들의 조합으로 핵심 요인을 도출한다. 도출한 역량 변수들의 특성에 의하여 요인이 결정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각 역량 변수들의 관계를 정의하고 관련성이 깊은 변수들의 집합을 만들어 의미를 부여하고 역량 요인을 도출하였다[Table 5].
  • 본 연구는 친환경 건설 산업의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인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선택한 탐색적 요인 분석은 분석을 통하여 설문지가 측정하는 공통적인 변수들을 발견하고 내재적인 잠재요인들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역량 변수들의 공통성을 파악하고 변수들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분석방법이다(Choi, 2017).
  • 본 연구는 친환경 건설 산업의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각각의 요인이 가지는 의미와 친환경 건설 산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친환경 건설 산업은 더욱 성장하고 있으며 그 분야가 친환경 건축물 인증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세분화된 방향으로 발전중이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건설 산업이 전문화되고 대형화 되면서 전문 인력의 양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친환경 건설 산업을 위한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역량요인을 도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하여 총 4가지의 역량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각 역량 요인들은 역량 변수들을 포함하고 있다.
  • 본 연구의 방법인 탐색적 요인분석은 설문조사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요 핵심 역량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요인 분석을 통하여 변수들 사이의 상관성과 구조를 파악하여 적은 수의 요인들 즉 공통성을 가지는 변수들의 조합으로 핵심 요인을 도출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문화된 친환경 건설시장의 변화에 따라, 친환경 프로젝트 수행 시 요구되는 역량 요인을 포함한 전문화된 친환경 건설 산업에 적합한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 요인들을 도출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도출한 핵심 역량 요인들의 의미와 세부 역량 변수들의 분석을 통하여 친환경 건설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 인력 양성의 기반을 확립하고자 한다.
  • 핵심 역량 요인들을 도출하여 역량 계층도를 만들어 친환경 프로젝트 수행에 적합한 전문화된 친환경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선택한 탐색적 요인 분석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친환경 건설 산업의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인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선택한 탐색적 요인 분석은 분석을 통하여 설문지가 측정하는 공통적인 변수들을 발견하고 내재적인 잠재요인들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역량 변수들의 공통성을 파악하고 변수들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분석방법이다(Choi, 2017).
국토교통부의 통계에 따르면 건축부문의 에너지 사용량은 전체 사용량의 몇 %인가? 세계 각국에서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에 관한 정책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도 2030년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를 감축하겠다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선언하였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통계에 따르면 건축부문의 에너지 사용량은 전체 사용량의 22%를 차지하고 있으며, 건축부문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한 친환경 건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Park, 2017).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인에 대한 분석에 사용된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나? 본 연구는 친환경 건설 산업의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인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선택한 탐색적 요인 분석은 분석을 통하여 설문지가 측정하는 공통적인 변수들을 발견하고 내재적인 잠재요인들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역량 변수들의 공통성을 파악하고 변수들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분석방법이다(Choi,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Y. H., and Pearce, A. R. (2012). "Key competencies for U.S. Construction Graduates: Industry Perspective." J.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ASCE, 138(2), pp. 123-130. 

  2. Ahn, Y. H., and Pearce, A. R. (2007). "Green construction: contractor experiences,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J. Green build., 2(3), pp. 106-122. 

  3. Badger, W. W., Walsh, K., and MKayo, R. (2005). "Leadership and goal-setting in construction education." Proc.,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ASCE, Reston, VA. 

  4. Beliveau, Y. J., and Peter, D. (2002). "Educationg the builder of tomorrow - A constructivist educational model." ASC Proc., 38th Annual Conf., Associated Schools of Construction(ASC), Ft Collins, CO, pp. 221-230. 

  5. Kubba, S. (2012). Handbook of green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LEED, BREEAM, and Green globes, Butterworth-Heinemann, Oxford, U.K. 

  6. Bernold, L. E. (2007). "Preparedness of engineering freshman to inquiry based learning." J. Prof. Issues Eng. Educ. Pract., 133(2), pp. 99-106. 

  7. Pearce, A. R., and Ahn, Y. H. (2009). "Greening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education: Strategies entry points for sustainability in existing curricula." Proc., Int. Conf.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Project Management, KICEM, Seoul, Korea. 

  8. Pearce, A. R., and Ahn, Y. H. (2010). "Green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Strategic entry points for sustainability in existing curricula." Proc., ASEE Regional Conf.,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ion SE, Starkville, MS. 

  9. Hwang, B. K., Lei Ahu, and Joanne S. H. T. (2017a). "Identifying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Green Business parks: Case Strudy of Singapore."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ASCE, 33(5). 

  10. Hwang, B. K., and Lim, E-Sin. J. (2013).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Key Project Players and Objectives: Case Study of Singapor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39(2), pp. 204-215. 

  11. Hwang, B. K. Lei Ahu, and Ming, T. T. J. (2017b). "Factors Affecting Productivity in Gree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The Case of Singapore."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ASCE, 33(3). 

  12. Hong, S. H., Jung, D. W., and Oh, C. D. (2015). "Analysis of Competence Factors Assessment for Specialty Contractors' Employees using IPA." Korea Research Insstitute of Mechanical Facilities Industry, KRIMFI, 16(5), pp. 21-30. 

  13. Lee, J. Y., and Choi, H. M. (2009). "A Study on the Modeling and Evaluating of Conpetence for Construc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IK, 25(4), pp. 193-200. 

  14. Kim, S. J., and Kim, H. S. (2012).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Fulfillments of Junior Field Engineers of General Contracto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IK, 28(1), pp. 183-190. 

  15. Choi, H. M., and Kim, Y. (2007). "A study on the Model of Competency Evaluation for Design Engineer." Proc., Int. Conf. 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orea, 1, pp. 672-676. 

  16. Woo, S. K., and Kim, S. B. (2005). "A Study on Civil Engineering College Education Tre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53(7), pp. 40-46. 

  17. Mauro, L. Martens and Marly, M. Carvalho. (2017). "Key factors of sustainability in project management context : A survey exploring the project manager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35(2017), pp. 1084-1102. 

  18. Gimenez, C., Sierra, V. Rodon, J., (2012). "Sustainable operations : Impect on the triple-bottom line." Int. J. Prod. Econ, 140(1), pp. 149-159. 

  19. Arain, F. M. (2010). "Identifying competencies for baccalaureate level construction education : Enhancing employability of young professional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Proc.,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ASCE, Reston, VA. 

  20. Park, S. Y., and Ahn, Y. H. (2017). "Greening Strategies for a University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4, pp. 293-296. 

  21. Annie Pearce and Ahn, Y. H. (2017). "Sustainable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 Patrhs to the Future." HanmiGlobla Co, Ltd., 2nd edition. 

  22. Choi, Y. O., and Ahn, Y. H. (2012).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Green Building Features: Case Study of Trees Atlanta Kendeda Center." Journal of Ecology and Encironment, ECOSK, 12(2), pp. 59-63. 

  23. Choi, C. H., and You, Y. W. (2017). "The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FA and CF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pp. 103-111. 

  24. Jang, S. M. (201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kert-type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4(4), pp. 1079-1100. 

  25.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3rd edition. 

  26.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 Anderson, R. E.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London : Prentice Hall, 7th edition. 

  27. Gorsuch, R. L. (1997).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s role in item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8(3), pp. 532-5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