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성방법에 따른 소프라노 성악도의 음성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oprano students' voice related to the vocal method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9 no.3, 2017년, pp.75 - 83  

김정택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언어병리학과) ,  성철재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lues to the risk of voice disorders in soprano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 soprano students and 18 general students (women). The phonation of vowels /a/, /i/, and /u/ with C4 and F4 notes in each group were recorded. Then, only soprano studen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성악도 발성노력에 대한 초기 연구의 일환으로 여성 성악도에 한해 진행하려 한다. 그 중 여성 파트의 주류인 소프라노를 전공하는 성악도의 발성과정 과노력 부분, 그로 인해 음성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단서를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객관적인 정보가 제공된다면 성악도의 음성질환 위험요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입 꼬리를 늘리는(spread) 방식으로 성도의 길이를 짧게 하여 발성한다(Smith & Wolfe, 2010). 다시 말해 성도의 수평면을 짧게 조정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공명 에너지 최정점에 근접한 주파수 대역으로 에너지가 전이 되며 성악도의 ‘에너지 효율’발성이 완성된다.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성악도 발성노력에 대한 초기 연구의 일환으로 여성 성악도에 한해 진행하려 한다. 그 중 여성 파트의 주류인 소프라노를 전공하는 성악도의 발성과정 과노력 부분, 그로 인해 음성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단서를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악을 할 때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성악은 다양한 음악적 기교와 높은 음계에서의 발성이 요구된다. 음성질환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저음과 고음에서 균질한 음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훈련을 받게 되지만 소프라노의 주 가창음역보다 상대적 저음인 C4와 F4 음계에서도 일반인과 같이 성악도의 발성노력이 커졌다.
성악발성에서 공명강 조정은 무엇인가? 성악발성에서 공명강 조정은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조음 방법을 달리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성악가의 음질은 성대외상 및 후두병변을 최소화하기 위한 발성을 사용한다고 볼수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진성민(2002)과 반재호 외(2004)에 따르면 성악가 포먼트 대역에서 일반인과 구별되는 에너지 이득(energy gain)인 강도 차가 있다고 하였다. 섭동(perturbation) 변수와 관련해서, 주파수 변동률(jitter; pitch variation), 진폭 변동률(shimmer; amplitude variation), 소음 대 조화음 비율(NHR; noise to harmonics)은 성악가가 일반인보다 더욱 낮았다고 하였다(노동우 외, 2002). 이를 통해 성악가의 음질은 주기적이고 성대외상 및 후두병변을 최소화하기 위한 발성을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n, J., Kwon, Y., & Jin, S. (2004). Long term average spectrum characteristics of head and chest register sounds of western operatic singer: possibility of second singer's forma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5(1), 31-36. (반재호.권영경.진성민 (2004). 성악가들의 목소리에 대한 Long Term Average Spectrum 분석: 2nd Singer's Formant 의 존재 가능성에 대하여.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5(1), 31-36.) 

  2. Barnes, L., & Latman, N. (2011). Acoustic measure of hormone affect on female voice during menstr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 5-10. 

  3. Berndtsson, G., & Sundberg, J. (1994). Perceptual significance of the center frequency of singer's formant. Speech Transmission Laboratory Quarterly Progress and Status Report, 35(4), 95-105. 

  4. Boone, D., McFarlane, S., Von Berg, S., & Zraick, R. (2013). The Voice and Voice Therapy (9th edition). Boston : Pearson. 

  5. Choi, E. (2014). The artic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ofound hearing-impaired children with reference to formant bandwidt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6(2), 55-64. (최은아 (2014). 심도 청각장애 아동의 조음 특성: 포먼트 대역폭을 중심으로. 말소리와 음성과학, 6(2), 55-64.) 

  6. Franca, M., & Wagner, J. (2015). Effects of vocal demands on voice performance of student singers. Journal of Voice, 23(3), 324-332. 

  7. Jeong, J., Kim, S., Lee, H., & Kwon, S. (2012). Acoustic voic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vocalist stud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1(3), 145-159. (정종철.김승원.이환호.권순복 (2012). 성악도 음성의 음향학적인 특성. 언어치료연구, 21(3), 145-159.) 

  8. Jeong, O., Yoo, J., Lee, O., Choi, H., Kim, M., & Shin, M. (2002). Elite Vocal Performer. Daegu: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정옥란.이옥분.유재연.최홍식.김문영.신명선 (2002). 직업적 음성 사용자. 대구: 한국언어치료학회.) 

  9. Jin, S. (2002). Acoustic analysis of singing voic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3(1), 52-58. (진성민 (2002). 성악도의 두성구와 흉성구 발성에 대한 음향학적 분석.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3(1), 52-58.) 

  10. Jo, S., Jeong, O., & Lee, S. (2004). A correlation study between acoustic and perceptual parameters of the singing voice in singing stud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 13(4), 195-203. (조성미.정옥란.이상욱 (2004). 성악전공학생의 가창시 음성의 음향학적 파라미터와 지각적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 연구. 언어치료연구, 13(4), 195-203.) 

  11. Joliveau, E., Smith, J., & Wolfe, J. (2004). Vocal tract resonances in singing: The soprano voic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16(4), 2434-2439. 

  12. Kent, R., & Read, C. (2002). Acoustic Analysis of Speech (2nd edition). Singular: Thomson Learning. 

  13. Kim, J., & Seong, C. (2016). The change of vowel characteristics for the dysarthric speech along with speaking styl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8(3), 51-59. (김지연.성철재 (2016). 경도 마비말장애 환자의 발화 유형에 따른 모음 특성 비교. 말소리와 음성과학, 8(3), 51-59.) 

  14. Koufman, J., & Isaacson, G. (1991). The spectrum of vocal dysfunction.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24(5), 985-988. 

  15. Lee, M. (2007).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moking patients in the benign mucosal disorders. M.A.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이명희 (2007). 양성성대점막질환자에서 흡연에 따른 음향학적 특성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Lundy, D., Roy, S., Casiano, R., Xue, J., & Evans, T. (2000). Acoustic analysis of the singing and speaking voice in singing students. Journal of Voice, 14(4), 490-493. 

  17. Millhouse, T., & Clermont, F. (2006). Perceptual characterisation of the singer's formant region: a preliminary study. Proceedings of the 11th Australi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 & Technology (pp. 253-258).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6-8 December, 2006. 

  18. Nam, D., Kim, W., Yoo, H., & Choi, H. (2010). Comparison between operatic singing and applied music singing.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4), 11-18. (남도현.김화숙.유현지.최홍식 (2010). 성악발성과 실용음악발성의 비교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2(4), 11-18.) 

  19. Noh, D., Paik, U., Hwang, B., & Jeong, O. (2002). Acoustic analysis of voice in professional voice user. Malsori, 44, 47-59. (노동우.백은아.황보명.정옥란 (2002). 전문적 음성 사용자들의 음성에 대한 음향학적 비교 분석 연구. 말소리, 44, 47-59.) 

  20. Seo, I. (2014). Acoustic measures of voice quality and phonation types across speech conditions in dysarthria.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서인효 (2014). 마비말장애의발화조건에 따른 음질 및 발성방법의 음향음성학적 접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Seo, I., & Seong, C. (2013). Voice quality of dysarthric speakers in connected speec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4), 33-41. (서인효.성철재 (2013). 연결발화에서 마비말화자의 음질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5(4), 33-41.) 

  22. Skodda, S., Visser, W., & Schlegel, U. (2011). Vowel articulation in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Voice, 25(4), 467-472. 

  23. Smith, J., & Wolfe, J. (2010). Vocal track adjustments in the high soprano rang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7(6), 3771-3780. 

  24. Sundberg, J. (1991). Phonatory vibrations in singers: A critical review. Speech Transmission Laboratory Quarterly Progress and Status Report, 32(1), 37-51. 

  25. Timmermans, B., De Bodt, M., Wuyts, F., & Van de Heyning, P. (2003). Vocal hygiene in radio students and in radio professional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28, 127-132. 

  26. Watts, C., & Awan, S. (2011). Use of spectral/cepstral analyses for differentiating normal from hypofunctional voices in sustained vowel and continuous speech contex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4, 1525-1537. 

  27. Wingate, J., Brown, W., Shrivastav, R., Davenport, P., & Sapienza, C. (2007). Treatment outcomes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Journal of Voice, 21(4), 433-449. 

  28. Zeitels, S., Casiano, R., Gardener, G., Hogikiyan, N., Koufman, J., & Rosen, C. (2002). Management of common voice problems: Committee report.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126(4), 333-3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