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성화고 예비교사 대상의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The Effect of Social Emotion Learning on Teacher character of Specialized Pre-service teacher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2 no.2, 2017년, pp.47 - 66  

김민웅 (충남대학교 공업기술교육학과) ,  박제영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최진선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김민정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김태훈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사회적으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에 교원양성 단계에서는 교직 적 인성 검사를 실시하여 인성적 역량을 갖춘 교원 양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일반고에 비해 부정적 자아개념이 강하고 일자리 조기진입 비중이 높은 특성화고학생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특성화고 교사는 일반고 교사에 비해 학생의 인성교육 함량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예비교사 대상의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6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C 대학의 특성화고 예비교사 57인이며, 실험집단 27명에게는 사회정서학습을 통제집단 30명에게는 일반 교과교육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때 수업 내용은 1~2차시의 경우 '자기인식'을, 2~3차시의 경우 '자기관리'를, 4차시의 경우 '관계조율'을, 5차시의 경우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6차시의 경우 '대인관계'를 다루었으며 평균적으로 90분의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의도적 표집 방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집단 간 사전 점수의 차이가 사후 점수의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사전 점수를 동일하도록 보정하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교직인성 사후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ecessity of humanistic education has recently been socially emphasized, aptitude and character test has been conducted in the stage of training instructors to focus on making them equipped with proper ability of humanistic education. Especiall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인관계’ 영역은 6차시에 실시되었으며 이 영역에서는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였다.
  • 다시 말해 공감은 감정이입(Feeling into)의 개념이고 동감은 함께 느끼는(Feeling with) 개념이다. 따라서 특성화고 예비교사들이 학생, 동료 교사, 학부모, 산업체 관계자 등과 같은 타인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이를 인정하는 동감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올바른 공감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조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 차시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 kr:447)에 제시된 다양한 사례들 가운데 특성화고 학생과 연관된 문제들을 소개하고 해결 방안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고민해결백과에서 제시하는 모범 해결 방안을 소개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돕고자 하였다.
  • 이 영역에서는 지금껏 살아오며 느꼈던 다양한 감정들을 나누고 특정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느끼게 될 다양한 감정들을 예측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이러한 감정들을 불쾌하거나 편안한 감정으로 분류하고 불쾌한 감정을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 따라서 특성화고 예비교사들이 학생, 동료 교사, 학부모, 산업체 관계자 등과 같은 타인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이를 인정하는 동감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올바른 공감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조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 차시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서학습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특성화고 교원 양성기관인 대전광역시 C 대학의 공업교육과 학생 5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대인관계’ 영역은 6차시에 실시되었으며 이 영역에서는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때 모든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는 영역 일반적인 갈등 뿐 아니라 특성화고 교사로서 마주하게 될 영역 특수적인 갈등 상황도 다루고자 하였다. 이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소개하고 이들과 발생할 수 있는 갈등 및 해결방안을 다루어봄으로써 특성화고 교사로서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 따라서 특성화고 예비교사는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타인에 대한 공감을 기반으로 한 올바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특성화고 예비교사 대상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증명하여 제반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의미가 있다 판단된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사회정서학습(Social Emotion Learning : SE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 사회정서학습은 학생의 사회성과 정서를 강조하는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한 방법론적 접근으로, 그 효과성이 서서히 입증되고 있다(정창우, 2013; 홍정아, 박승희, 2014; 윤해림, 박지연, 2017).
  • 이때 모든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는 영역 일반적인 갈등 뿐 아니라 특성화고 교사로서 마주하게 될 영역 특수적인 갈등 상황도 다루고자 하였다. 이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소개하고 이들과 발생할 수 있는 갈등 및 해결방안을 다루어봄으로써 특성화고 교사로서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 넷째, 이 연구에서는 교직인성이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계발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즉, 감성적 역량과 사회성 역량을 배양함으로써 향후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교직인성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지만 전주영, 강정찬, 이상수(2014)는 기존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경우 학습 상황과 학습을 적용해야 하는 상황이 분리되어 있어 습득한 기술을 바로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 이처럼 사회정서학습은 그동안 인성교육에서 중요시하지 않던 학생들의 사회성과 감성에 집중하고 있는 데, 그 이유는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이해하고 타인의 생각과 관점을 존중함이 인성교육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즉, 학생의 인성 문제의 원인을 사회성 결핍과 부적절한 정서반응으로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다양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위해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직인성은 무엇인가? 교직인성은 교사라는 직무를 수행함에 필요한 인성적 능력을 의미하며 ‘교직’과 ‘인성’의 합성어로 보는 입장과 ‘교직인성’이라는 자체를 하나의 개념으로 보는 입장으로 구분된다(김민웅, 김태훈, 2017b). 잠재 변인이라 할 수 있는 교직인성을 구성하는 개념, 즉 교직인성 구인을 찾기 위해 현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홍기칠, 2006; 문승태, 양복만, 2007; 노은호, 2013; Sockett, 2006; Carr, 2007).
사회정서학습이란?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사회정서학습(Social Emotion Learning : SE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 사회정서학습은 학생의 사회성과 정서를 강조하는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한 방법론적 접근으로, 그 효과성이 서서히 입증되고 있다(정창우, 2013; 홍정아, 박승희, 2014; 윤해림, 박지연, 2017).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원양성 단계에서부터 예비교사의 인성교육 역량이 강조될 필요가 있는 이유는? 학생은 의도적 교육과정뿐 아니라 잠재적 교육과정에도 영향을 받게 되며 특히 인성과 관련된 부분은 은연중에 나타나는 교사나 부모의 언어 및 태도 등과 같은 잠재적 교육과정의 영향을 받게 된다(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따라서 교원양성 단계에서부터 예비교사의 인성교육 역량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고창룡, 배선아(2011).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역량강화를 위한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201-218. 

  2. 교육부(2014. 12. 18). 스펙.학력이 아닌 능력중심사회 조성방안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3.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 세종: 교육부. 

  4. 권동택 외(2012). 교원양성, 임용, 연수에서의 인성교육강화 방안 연구 -발간등록번호 충북-2012-168. 교육과학기술부.충청북도교육청. 

  5. 김경령, 서은희(2014). 예비교사의 교직인성 자기점검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117-139. 

  6. 김길순(2015).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미간행 

  7. 김녕(2016). '인성교육진흥법'의 발상과 함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생명연구, 39, 55-102. 

  8. 김미진, 홍후조(2015). 감성.사회성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5), 95-117. 

  9. 김민웅 외(2016).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 차이 분석. 직업교육연구, 35(2), 59-87. 

  10. 김민웅, 김태훈(2017a).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인성 수준 조사 분석. 직업교육연구, 36(1), 23-46. 

  11. 김민웅, 김태훈(2017b).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직업교육연구, 36(3), 87-106. 

  12. 김창환 외(2015). 한국의 교육자표.지수 개발 연구(IV): 교원역량지수 개발 연구(연구보고 RR2015-2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3. 김현진 외(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교육방안 연구(연구보고 RRI 2010-16).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노은호(2013).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인성과 핵심역량 비교 분석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3(3), 205-221. 

  15. 도승이(2015). 사회정서학습 측면에서 인성교육과 인성의 측정. 교육심리연구, 29(4), 719-735. 

  16. 문승태, 양복만(2007). 교사의 근무학교에 따른 직업윤리, 조직몰입 및 조직효과성과의 인과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 143-166. 

  17. 미국정신분석학회(2002). 정신분석용어사전(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8. 박성익 외(2015).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9. 박영옥 외(2012). SPSS를 활용한 통계자료분석. 서울: 경문사. 

  20. 박종덕(2014). 인성교육과 교과교육: 인성교육은 가능하고 필요한가?. 도덕교육연구, 26(1), 177-194. 

  21. 박혜경(2015). 논문 (論文): 인성교육진흥법의 내용과 쟁점 논의. 교육법학연구, 27(3), 77-100. 

  22. 서경혜 외(2013). 예비교사 교직 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과학연구, 44(1), 147-176. 

  2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11).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24. 성진아(2012). 사회성-감성 교육이 교사들에게 미치는 영향.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25. 윤미선(2015). 자기조절과 타인이해에 기반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2015 한국교육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85-106. 

  26. 윤해림, 박지연(2017).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장애형제를 둔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사회적 행동,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8(2), 5-33. 

  27. 이경민, 최윤정, 박순정(2013).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어린이미디어연구, 12(2), 73-96. 

  28. 이경희, 강경리(2015). 예비중등교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사고개발, 11(3), 107-141. 

  29. 이인재(2016). 학교 인성교육의 체계적 접근과 교사의 역량. 윤리교육연구, 39, 271-300. 

  30. 임효신, 정철영(2010).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4), 53-73. 

  31. 전재선(2013).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13(4), 305-327. 

  32. 전주영, 강정찬, 이상수(2014). 팀의 사회감성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산업교육연구, 29, 29-60. 

  33. 정창우(2013). 사회정서학습의 이론 체계와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윤리과교육, 38, 153-172. 

  34. 조난심(2015). 교과교육에서의 인성교육과 교원의 역량.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2, 135-160. 

  35. 조주연 외(2003). 교직적성.인성 검사도구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36. 황혜영(2016). 국내 예비교사 인성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32(1), 139-158. 

  37. 홍기칠(2006). 교직적성.인성 검사도구의 적용연구. 초등교육연구논총, 22(1), 113-135. 

  38. 홍정아, 박승희(2014).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지능과 또래지원에 미친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9, 213-239. 

  39. Brown, P. C., Roediger, H. L., & McDaniel, M. A. (2014). Make it stick: The Science of Successful Learning. Harvard University Press. 

  40. Carr, D. (2007). Character in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5(4), 369-389. 

  4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n. Hillsdale, New Jersey: L. 

  42. Goleman, D. (2008). EQ 감성지능(한창호 역). 파주: 웅진지식하우스. 

  43. Ledoux, J. (2006). 느끼는 뇌: 뇌가 들려주는 신비로운 정서이야기(최준식 역). 서울: 학지사. 

  44. Merrell, K. W., & Gueldner, B. A. (2011). 사회정서학습: 정신건강과 학업적 성공의 증진 (신현숙 역). 서울: 교육과학사. 

  45. Merrell, K. W. (2014). 강한 아이(김영래 역). 서울: 교육과학사. 

  46. Merrell, K. W. (2015). 강한 청소년(김영래 역). 서울: 교육과학사. 

  47. OECD(2016). PISA 2015 Results(DOI:10.1787/9789264266490-en). 

  48. Sockett, H. (Ed.). (2006). Teacher dispositions: Building a teacher education framework of moral standards. AACTE(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for Teacher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