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온과 강수량의 수치모델 격자자료를 이용한 기상관측지점의 월별 군집화
Cluster analysis by month for meteorological stations using a gridded data of numerical model with temperatures and precipit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5, 2017년, pp.1133 - 1144  

김희경 (동국대학교 통계학과) ,  김광섭 (동국대학교 통계학과) ,  이재원 (기상청 국가기후데이터센터) ,  이영섭 (동국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상자료를 이용한 군집분석은 기상 특성에 근거한 기상 지역의 세분화를 가능하게 하고 군집을 이루는 지형별 기상 특성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한 군집분석은 관측지점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상특성이 고르게 반영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수치모델 격자자료는 $5km{\times}5km$ 간격으로 조밀하고 고른 자료의 생산이 가능하므로 우리나라의 기상 특성을 고르게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과 강수량의 수치모델 격자자료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상관측지점에 대한 군집을 결정하였다. 기상 특성이 월별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군집분석은 월별로 수행하였으며, K-Means 군집분석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계층적 군집분석 방법인 Ward 방법과 결합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기상관측지점들에 대해 시 공간적으로 세분화된 군집화가 이루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uster analysis with meteorological data allows to segment meteorological region based on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By the way, meteorological observed data are not adequate for cluster analysis because meteorological stations which observe the data are located not uniformly. Therefore the 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는 일누적강수량을 나타낸다. max는 해당 월자료에서의 최대값, min은 최소값을 나타내며, n은 해당월의 관측값의 개수를 의미한다. 일평균기온, 변환된 일 누적강수량을 이용하여 각각 월별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 h1>1. 서론
  • h1>1. 서론
  • 군집 결과를 살펴보면 각 월에서 해안가를 따라 기온의 특성이 유사하여 하나의 군집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군집분석 방법에는 계층적 군집분석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과 비계층적 군집분석 방법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이 있다. 계층적 군집분석은 처음에 n개의 군집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군집의 개수를 줄여나가는 방법으로 자료에 적합한 군집의 개수를 결정하기가 용이하다.
  • 기온 자료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를 보면 해안가 지역이 내륙과 달리 다른 군집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h1>1. 서론
  • 여기서 Zi는 일누적강수량을 변환한 값이며, Xi는 일누적강수량을 나타낸다. max는 해당 월자료에서의 최대값, min은 최소값을 나타내며, n은 해당월의 관측값의 개수를 의미한다.
  • 기존에 Lee 등 (1999), Ju 등 (2008), Yeo (2011)의 연구와 같이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한 군집분석은 계속 연구되어 왔지만 수치모델 격자자료를 이용한 군집분석은 많이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과 강수량에 대한 장기간의 수치모델 격자자료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상관측지점에 대한 군집을 할당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nderberg, M. R. (1973). Cluster analysis for applications, Academic Press. 

  2. Ju, Y., Jung, H. and Kim, B. (2008). Cluster analysis with Korean weather data: Application of modelbased Bayesian clustering method. Journal of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57-64. 

  3. Kim, H. M., Oh, S. K. and Lee, Y. H. (2013). Design of heavy rain advisory decision model based on optimized RBFNNs using KLAPS reanalysis dat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23, 473-478. 

  4. Kim, J. (2015). Cluster analysis for Seoul apartment price using symbolic dat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239-1247. 

  5. Lee, D. K. and Park, J. G. (1999). Regionalization of summer rainfall in South Korea using cluster analysis.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5, 511-518. 

  6. Wagstaff, K., Cardie, C., Rogers, S. and Schroedl, S. (2001). Constrained K-means clustering with background knowledge. Proceedings of the Eighte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18, 577-584. 

  7. Ward, J. H. (1963). Hierarchical grouping to optimize an objective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8, 236-244. 

  8. Murtagh, F. and Legendre, P. (2014). Ward's hierarchical agglomerative clustering method: Which algorithms implement Ward's criterion? Journal of Classification, 31, 247-295. 

  9. Yeo, I. K. (2011). Clustering analysis of Korea's meterological dat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941-949. 

  10. Yoon, S. and Choi, Y. (2015). Functional clustering for electricity demand data: A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885-8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