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이어 컷 방전가공 시 프레스금형 수명 향상에 대한 고찰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 Cycle of Press Die using Wire Cut Discharge Machin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9, 2017년, pp.61 - 67  

윤재웅 (오피에스잉거졸코리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프레스금형 제작 시 사용목적에 맞는 적합한 소재선택과 빠른 가공방법에 대한 연구는 금형제작시간을 줄이고 금형원가를 절감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연구분야이다. 특히 장수명 프레스금형을 개발하기 위해선 열에 대한 고찰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프레스금형의 주요부품 소재로는 Cr, W계 저합금 공구강, 고탄소 고크롬강, 고속도강 등 냉간 금형용 합금공구강이 많이 쓰이고 있다. 프레스금형부품을 가공하는 데는 주로 공작기계와 와이어 컷 방전가공을 사용하고 있다. 가공공정에 따라 금형부품의 가공시간 및 수명이 많은 차이가 난다. 밀링가공과 연삭가공으로 제작된 부품의 경우 제작시간과 비용은 많이 드는데 비해 금형의 수명이 길고 밀링가공과 와이어 컷 방전가공을 사용하면 제작시간과 비용은 절감되는 반면 금형수명은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선 가공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가공방법으로 열처리를 사용하여 금형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밀링가공-연삭가공, 밀링가공-와이어 컷 방전가공, 밀링가공-와이어 컷-고온템퍼링, 3가지 가공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가공표면과 중심부를 SEM, EDS분석 및 표면조도분석으로 문제점을 고찰하였고 밀링가공-와이어 컷 방전가공-고온템퍼링의 가공방법으로 밀링가공-연삭가공과 동일한 금형의 수명을 만드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into the selection of suitable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fast processing methods for press die manufacturing is absolutely necessary to reduce the production time and cost. In particular, knowledge of its heat properties must be considered whendeveloping a long press die. General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담금질처리에 의하여 발생된 잔류응력은 일반적으로 템퍼링처리에 의하여 제거하는데 템퍼링온도가 높을수록 잔류응력이 잘 해소 되지만 너무 고온 일 때는 경도가 떨어져 금형강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보고도 있었다. 따라서 소재를 열처리 한 후 와이어 컷 방전가공을 하면 열에 의한 가공변질층이 생성되는데 이의 해소방법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내용으로 하였다.
  •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서 금형재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시키기 위하여, 금형용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STD11의 기계적 성질이 와이어 컷 방전가공할 때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방전가공시의 용융전이 부위에 용접부위에서와 같이 용융 잔류부나 백선조직 등 용융잔류층 및 열변질층이 존재 하므로 이의 제거방법에 대하여 연구 개발 하였다.
  •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서 금형재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시키기 위하여, 금형용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STD11의 기계적 성질이 와이어 컷 방전가공할 때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방전가공시의 용융전이 부위에 용접부위에서와 같이 용융 잔류부나 백선조직 등 용융잔류층 및 열변질층이 존재 하므로 이의 제거방법에 대하여 연구 개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냉간 금형용 합금공구강은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냉간 금형용 합금공구강은 주로 각종 다이스, 펀치, 롤 제작용으로 사용된다. 세부적으로는 Cr, W계 저합금공구강으로는 STS2, STS3이고, 고탄소 고크롬강으로는 STD1, STD11, STD12, 고속도강으로는 SKH2, SKH51 등이 많이 사용된다.
와이어 컷 방전가공은 무엇인가? 와이어 컷 방전(W-EDM)가공은 지름이 Φ0.02~0.3㎜의 가는 금속선 전극을 사용하여 NC로 필요한 형상을 가공하는 장치이다. 가공액은 물을 사용하며 취급이 쉽고 화재 위험이 적으며 와이어의 냉각성이 좋고 가공 칩의 배출이 용이하다.
와이어 컷 방전 가공의 장점은 무엇인가? 3㎜의 가는 금속선 전극을 사용하여 NC로 필요한 형상을 가공하는 장치이다. 가공액은 물을 사용하며 취급이 쉽고 화재 위험이 적으며 와이어의 냉각성이 좋고 가공 칩의 배출이 용이하다. 전극용 와이어의 재질은 Cu, Bs, W 등이 사용되고, 새로운 와이어 전극이 계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공작물의 가공면이 깨끗하다.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의 용도는 프레스금형 부품제작, 시작 부품의 제작, 방전가공용 전극의 가공에 주로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C-K Kim, Latest mold materials, Gi jeon Researcher, 2005. 

  2. Gap Phenomena, "Study on EDM with Wire Electrode", Annals of the CIRP, vol. 25/1, 1976. 

  3. S. M. Pandit, "Verification of On-Line Computer Control of EDM by Data Dependent System", Journal of Engineering for Industry, vol. 109, 1987. 

  4. C. A. Huang, C. C. Hsu, H. H. Kuo, "The urface characteristics of P/M high-speed steel(ASP23) multi-cut with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WEDM),"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140, pp. 298-302, 2003. DOI: https://doi.org/10.1016/S0924-0136(03)00765-9 

  5. Y. F. Luo, "Rupture failure and mechanical strength of the electrode wire used in wire EDM,"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94, pp. 208-215, 1999. DOI: https://doi.org/10.1016/S0924-0136(99)00107-7 

  6. L. C. Lee, and L. C. Lim, V. Narayanan, V. C. Venkatesh, "Quantification of surface damage of tool steels after EDM," 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Tools & Manufacture, vol. 28, pp. 359-372, 1988. DOI: https://doi.org/10.1016/0890-6955(88)90050-8 

  7. H. T. Lee, T. Y. Tai, "Relationship EDM parameters and surface crack formation,"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142, pp. 676-683, 2003. DOI: https://doi.org/10.1016/S0924-0136(03)0068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