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이나믹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한 블록체인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Blockchain Studies in South Korea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8 no.3, 2021년, pp.23 - 39  

김동훈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찬희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주영준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블록체인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 및 시간에 따른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대학 및 기관 협력 네트워크 분석,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 다이나믹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시계열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 및 기관 협력 네트워크 분석 결과, 숭실대학교, 순천향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등이 블록체인 연구의 주요 대학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이외의 기관으로는 국방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삼일회계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이 주요 연구기관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 결과, 가상자산(암호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가상화폐), 블록체인 기술(분산원장, 분산원장기술), 금융(스마트계약), 정보보안(보안, 프라이버시, 개인정보) 등에 대한 키워드들이 주요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에서 스마트계약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주요한 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계열 주제분석 결과, 블록체인기술, 블록체인생태계, 블록체인 적용분야1(무역, 온라인투표, 부동산), 블록체인 적용분야2(식품, 관광, 유통, 미디어), 블록체인 적용분야3(경제, 금융) 등 다섯 개의 주요 주제들을 도출하였으며, 각 주제별 대표 키워드들의 비율변화를 통해 주제별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블록체인 연구동향 연구들과 크게 세 가지 관점(데이터, 방법론, 해석)에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1) 최근 2년 사이 급증한 블록체인 연구를 포함하였고, 2) 대학 및 기관 네트워크 분석과 시계열 주제분석이라는 새로운 분석기법 및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3) 이를 통해 블록체인 연구를 주도하는 대학 및 기관을 식별하고 국내 블록체인 연구 트렌드를 파악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가 블록체인 관련 연구 협력 및 정책 수립과 관련 기술 개발 계획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Blockchain studies in South Korea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the university & institute collaboration network analysis, the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and times series topic analysis...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21)

  1. Choi, S. Y. & Ko, E. J. (2019). Analysis of from 1960 to 2018 using metadata with dynamic topic modeli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3(4), 7-42. http://doi.org/10.20879/kjjcs.2019.63.4.001 

  2. Chun, B. M. & Yoon, Y. J. (2019). A review of ai-based blockchain technology application for fintech industry: a comparison of South Korea and israel company.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20(4), 25-40. http://doi.org/10.15706/jksms.2019.20.4.002 

  3. Jo, H. I., Kim, J. W., & Lee, B. G. (2019).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blockchain using LDA topic modeling: focusing on united states, China, and South Korea.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7), 1453-1460. http://doi.org/10.9728/dcs.2019.20.7.1453 

  4. Kim, D. H., Kim, K. L., & Zhu, Y. Z. (2021).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major korean journals indexed in 2020 google scholar metr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8(1), 53-69. http://doi.org/10.3743/KOSIM.2021.38.1.053 

  5. Kwon, O. H. (2019). Korean government's policy on virtual currencies: discussion on guideline for Korea. Ilkam Law Review, 43, 3-27. http://doi.org/10.35148/ilsilr.2019.43.3 

  6. Lee, H. J. & Kim, Y. H. (2021). A study on the blockchain in business: research trends and issues between Korea and overseas. The E-Business Studies, 22(1), 159-176. https://doi.org/10.20462/tebs.2021.2.22.1.159 

  7. Leem, B. H. (2012). An effect of co-authorshop network on research performance: focusing on co-authoring of logos management review. Logos Manangement Review, 10(1), 1-20. 

  8. Park, E. J. & Cho, S. Z. (2014). KoNLPy: Korea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Python. Proceedings of the 26th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Cognitive Language Technology, 133-136. 

  9. Park, H. W. & Park, S. J. (2018). Big data analysis of cryptocurrencies: evidence from top cryptocurrency websit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2), 923-936. http://doi.org/10.37727/jkdas.2018.20.2.923 

  10. Park, J. H. & Oh, H. J. (2017). Comparison of topic modeling methods for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focused on LDA and HDP.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4), 235-258. 

  11. Song, Y. H., Kwon, Y. G., Lim, C. S., Choi, K. S., & Yang, M. S. (2018). An analysis of blockchain technology research trend by using a social network analysis.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542-543. Available: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368796 

  12. Wo, C. W. & Lee, H. Y. (2020). Investigation of research trends in the D(Data).N(Network).A(A.I) field using the dynamic topic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9), 21-29. http://doi.org/10.15207/JKCS.2020.11.9.021 

  13. Yang, H. T. (2020).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chain convergence trend and policy improvement plan. Information Policy, 27(2), 3-19. http://doi.org/10.22693/NIAIP.2020.27.2.003 

  14. Zhu, Y. P. & Park, H. W. (2019). Evaluating blockchain research trend using bibilometrics-base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6), 219-227. http://doi.org/10.14400/JDC.2019.17.6.219 

  15. Bastian, M., Heymann, S., & Jacomy, M. (2009). Gephi: an open source software for exploring and manipulating network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ICWSM Conference, 361-362. Available http://www.aaai.org/ocs/index.php/ICWSM/09/paper/view/154 

  16. Blei, D. M. & Lafferty, J. D. (2006, June). Dynamic topic models. In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pp. 113-120). 

  17. Miau, S. & Yang, J. M. (2018). Bibliometrics-based evaluation of the Blockchain research trend: 2008-March 2017. Technology Analysis and Strategic Management, 30(9), 1029-1045. http://doi.org/10.1080/09537325.2018.1434138 

  18. Wang, F. & Zhu, M. (2017). Bibliometric analysis on the research hotspots of blockchain in China. Journal of Intelligence, 36(12), 69-74. 

  19. Xu, M., Chen, X., & Kou, G. (2019). A systematic review of blockchain. Financial Innovation, 5(1). http://doi.org/10.1186/s40854-019-0147-z 

  20. Yli-Huumo, J., Ko, D., Choi, S., Park, S., & Smolander, K. (2016). Where is current research on Blockchain technology? - A systematic review. PLoS ONE, 11(10). http://doi.org/10.1371/journal.pone.0163477 

  21. Yustiawan, Y., Maharani, W., & Gozali, A. A. (2015). Degree centrality for social network with opsahl method. Proceida Computer Science, 59, 419-426. http://doi.org/10.1016/j.procs.2015.07.5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