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안전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분류체계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8 no.3, 2017년, pp.125 - 150  

박태연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 연구소) ,  한희정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 연구소)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수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재난 안전 유관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재난안전정보 관련 분류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일원화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의 구축을 위한 기본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재난유형 분류체계를 살펴보았으며, 현재 국내 재난 유관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체계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실무자와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향후 재난유형 분류체계 개발을 위하여 일관성, 망라성, 체계성, 및 한국형 재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 개발을 위해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의 복잡성, 복합재난의 출현 등을 고려하여 패싯 분류체계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pose requirements for developing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by analyzing classifications currently used in disaster and safety-related organizations in Korea. To do that, this study first analyzed existing disaster category classif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 재난안전 업무는 주로 어떻게 수행되었는가? 이미 발생한 재난 및 사고에 대한 수습 차원의 업무를 할 수밖에 없었던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 국가는 그동안 누적된 재난 발생 및 대처에 대한 데이터들과 관측 및 예측 기술을 바탕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재난을 예방하고 대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풍부한 데이터와 기반 기술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재난안전 업무가 주로 재난의 원인, 발생 지역,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어 오면서 재난안전 관련 정보들도 중앙의 재난관리 주관기관에서 구축한 시스템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 구축한 시스템 등에서 산발적으로 생산, 저장, 관리되고 있다. 이렇게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은 주로 재해관련 보고용 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유관기관과의 재난정보 연계체계가 미흡하고 표준화된 재해 관련 분류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체계적인 재난정보관리를 지원하기 어려운 실정이다(강인석, 박서영,문현석 2006).
재난에 대해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이 가진 문제점은 무엇인가? 하지만 풍부한 데이터와 기반 기술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재난안전 업무가 주로 재난의 원인, 발생 지역,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어 오면서 재난안전 관련 정보들도 중앙의 재난관리 주관기관에서 구축한 시스템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 구축한 시스템 등에서 산발적으로 생산, 저장, 관리되고 있다. 이렇게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은 주로 재해관련 보고용 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유관기관과의 재난정보 연계체계가 미흡하고 표준화된 재해 관련 분류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체계적인 재난정보관리를 지원하기 어려운 실정이다(강인석, 박서영,문현석 2006).
정보의 통합 관리와 공유 활성화를 위해 표준화 절차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그리고 정보의 통합 관리와 공유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보의 표준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보 표준화는 데이터 표준, 데이터 품질관리,전문 용어, 분류체계 등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 중 분류체계는 특히 정보관리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맥락에서 생산, 유통되는 정보들이 한 곳에 모아졌을 때, 모든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조직하기 위한 기본 틀이 바로 분류체계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선경, 유환, 이영재. 2016. 텍스트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재난대응 용어분석. 정보시스템연구, 18(1): 141-155.(Kang, Sun-Kyung, Hwan Yoo, and Young-Jai Lee. 2016. "Analyzing Disaster Response Terminologies by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nformation Systems Review, 18(1): 141-155.) 

  2. 강선경, 이영재. 2015. 한국형 재난현장 통합대응 표준체계 개발연구.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8(2): 1-10.(Kang, Sun-Kyung and Young-Jai Lee. 2015. "A Study On Developing Korean Standardized Integrated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Si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8(2): 1-10.) 

  3. 강인석, 박서영, 문현석. 2006. 시설물 재해관리를 위한 재해정보분류체계 구성 방안. 한국철도학회논문집, 9(4): 335-342.(Kang, Leen-Seok, Seo-Young Park, and Hyoun-Seok Moon. 2006. "Application of Disaster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9(4): 335-342.) 

  4.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3. 비정형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모델 개발. 울산: 국립재난안전연구원.(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3. Development of Collection and Analysis Models for Unstructured Bigdata of Disaster-related. Ulsa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5. 국민안전처. 2015. 2015 재해연보. 세종: 국민안전처.(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2015 Annual Report of Disaster. Sejong: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6. 국민안전처. 2016. 2016년도 국민안전처 통계연보. 세종: 국민안전처.(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2016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Statistical yearbook. Sejong: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7. 김건호. 2002. 정보분류체계를 이용한 안전.재난 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국내 LNG산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Kim, Geon-Ho. 2002. A study of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lassification: LNG Industry in Domestic. Ph. D. diss., Myongji University.) 

  8. 김동춘, 김화중. 2001. 건설공사 재해정보분석을 위한 사고발생 분류체계의 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17(11): 139-145.(Kim, Dong-Chun and Wha-Jung Kim. 2001. "A Plan of the Accid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Analysis of Disaster Information in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7(11): 139-145.) 

  9. 김연수, 노희성, 홍승진, 김현수. 2015.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재난 정보 관리 방안. 방재저널, 17(2): 14-33.(Kim, Yeon-Su, Hui-Seong No, Seung-Jin Hong, and Hyeong-Su Kim. 2015. "The Management of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17(2): 14-33.) 

  10. 김용균, 장효선, 최윤조, 손홍규. 2015. 최적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유형 구분.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5(6): 179-188.(Kim, Yong-Kyun, Hyo-Seon Jang, Yoon-Jo Choi, and Hong-Gyoo Sohn. 2015. "Disaster Classification for Optimal Disaster Respons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6): 179-188.) 

  11. 김찬오, 권영국, 우종협, 천기홍, 백한영, 이충환, 박계형. 2009. 방재안전공학 차원의 안전사고 분류체계 연구. 서울: 소방방재청. 연구보고 KR 2009-5.(Kim, Chan-Oh, Young-Kook Kwon, Jong-Hyup Woo, Ki-Hong Cheon, Han-Yeong Beak, Chung-Hwan Lee, and Gye-Hyung Park. 2009. Classification System for Accident Focusing with Safety Engineering in Disaster Prevention. Seoul: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Report KR 2009-5.) 

  12. 김창섭. 2017. 특수재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위험물 분류체계 및 액체 혼합물의 인화점 예측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세명대학교 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Kim, Chang-Sub. 2017. A Study on the Hazardous Materials Classification and Flash Point Prediction of Flammable Liquid Mixture for Effective Management of Special Disaster. Ph. D. diss., Semyung University.) 

  13. 신자행. 2016. 빅 데이터 기반의 재난정보관리 방안.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방재공학과 방재공학전공.(Shin, Ja-Heong. 2016. The Management of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M.A. thesis. University of Seoul.) 

  14. 양기근. 2006. 우리나라 재난관리 법제도 분석: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자연재해대책법을 중심으로. 경남논단, 80: 30-45.(Yang, Ki-Geun. 2006. "Analysis of disaster management law in Korea." Journal of The Gyeongnam Development, 80: 30-45.) 

  15. 오금호, 유병태, 박상현, 이종설. 2013. 국가 재난/안전 R&D 기반구축을 위한 표준분류체계 마련 방안. Crisisonomy, 9(11): 31-48.(Oh, Keum-Ho, Byung-Tae You, Sang-Hyun Park, and Jong-Seol Lee. 2013. "A Study on Standard Research Classification of Disaster/Safety Research Arena." Crisisonomy, 9(11): 31-48.) 

  16. 이철수. 2009. 사회복지학사전. 서울: Blue Fish.(Lee, Cheol-Su. 2009. Dictionary of Social Welfare. Seoul: Blue Fish.) 

  17. 장성희, 고미정, 현승완. 2015. 재난안전교육체계 정립을 위한 재난유형체계 분류 및 표준화. 울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보고 KR 2015-12.(Jang, Seong-Hee, Mi-Jeong Ko, and Seung-Wan Hyun. 2015.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aster for Establishing Customized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Ulsa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Report KR 2015-12.) 

  18. 정힘찬, 김태영, 김용, 오효정. 2017. 재난안전정보 관리를 위한 어휘자원 현황분석 및 활용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4(2): 137-158.(Jeong, Him-Chan, Tae-Young Kim, Yong Kim, and Hyo-Jung Oh. 2017.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of Lexical Resources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Current Statu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2): 137-158.) 

  19. 최범식. 2006. 시설물 재해관리를 위한 재해정보분류체계 구축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Choi, Beom-Sik. 2006. Study of disaster information classific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of construction facility. M.A.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 최상복. 2004. 산업안전대사전. 서울: 도서출판 골드.(Choi, Sang-Bok. 2004. industrial safety. Seoul: Publishing Group Gold.) 

  21. 최철영. 2002. 재난관리 행정체제에 관한 연구: 인위재난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Choi, Chul-Young. 2002. A Study on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Man-Made Disaster. M.A. thesis. Kwangwoon University.) 

  22. 한승희, 양금철. 2007. 자연재해 분류 표준안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1): 309-319.(Han, Seung-Hee and Keum-Chul Yang. 2007. "Investigation of Standardization for Natural Disaster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7(11): 309-319.) 

  2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online]. [cited 2017.6.12].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Dictionary [online]. [cited 2017.6.12]. .) 

  24. 재난안전정보포털. [online]. [cited 2017.7.20]. .(Disaster Safety Information Portal. [online]. [cited 2017.7.20]. .) 

  25. EM-DAT. [online]. [cited 2017.8.19]. .(EM-DAT. [online]. [cited 2017.8.19]. .) 

  26. FEMA. [online]. [cited 2017.8.13]. .(FEMA. [online]. [cited 2017.8.13]. .)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