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행태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Satisfying Information Needs of Youth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8 no.3, 2017년, pp.175 - 196  

이승민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교육학, 평창대화고등학교) ,  이종욱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정보요구 해결에 활용하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렇지만 기존의 정보행태 연구에서는 정보원으로서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14명의 설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식 및 이용률이 높았으며, 다양한 정보요구를 정보, 오락,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해결하고 있었다. 특히 정보요구 영역에 따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의 선호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은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는데 있어 무료, 쉬움, 개인정보 정책, 타인의 평가, 품질, 비영리단체, 디자인, 미디어 추천 등을 고려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가치는 정보원으로서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역할을 확인한 것이며, 실무적으로는 청소년을 위한 정보, 미디어, 모바일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어플리케이션 개선과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youth smartphone users has been increasing, and they use smartphone applications to satisfy their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eds. Nevertheless, few researchers have addressed youth information behavior on applications.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the application use behavi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및 중요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이용행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행태 즉, 이용유무 및 빈도, 이용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선정기준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정보이용 행태에 대한 이해는 이들을 위한 정보서비스를 개선하고 제안하는데 유용하다(곽승진 2004; 이연옥 2007; 정진수 2009).
  • 그리고 학업 및 수업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오락이나 커뮤니케이션 요소보다 수준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둘 필요성이 있으며, 여가 정보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오락적 요소가 가장 중요하며, 그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정보의 품질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정보요구의 영역에 따라 사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이 달랐는데 이는 상황에 맞는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이용에는 미디어인 일종인 스마트폰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미디어.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14~19세의 청소년(김성은, 이지연 2013; 박현모, 이지연 2013)을 대상으로 이들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일상 및 학업관련 정보요구 및 이용(Agosto and HugesHassell 2005; 임여주 2016)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소재 “A” 중고 병설학교를 사례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사람들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관계 형성 및 유지 기능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김희웅, 이현령, 최수진 2011). 본 연구의 설문지에는 청소년들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대한 응답의 오류를 방지하고자 유형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1) 청소년들에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정보원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플리케이션의 세 가지 유형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또한 정보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종은(2016)의 연구에서 제안된 어플리케이션의 세 가지 유형(정보, 오락,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였다(<표 4> 참조). “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며, 생활정보, 금융, 방송뉴스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박준우, 박정기 2012). “오락 어플리케이션”은 쾌락적이고 감각적인 즐거움, 재미를 유발시키는데 목적을 두며, 게임, 방송, TV, VOD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이희서, 곽나연, 이중정 2015).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사람들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관계 형성 및 유지 기능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김희웅, 이현령, 최수진 2011). 본 연구의 설문지에는 청소년들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대한 응답의 오류를 방지하고자 유형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폰이란 휴대 전화의 한 종류로 컴퓨터의 운영 체제를 탑재한 기기에 무선 전화 통신이 가능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이 추가된 기기로 기존의 전통적인 휴대폰의 기능인 전화 및 메시지 전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Kim, Chun, and Lee 2014). 어플리케이션이란 휴대폰에 탑재되는 컨텐츠 및 응용프로그램으로 데이터 무선 전송이 가능한 컨텐츠를 의미하며(이종은 2016), 2008년 애플이 iPhone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마켓 플레이스인 ‘앱스토어’를 오픈하며 인기를 끌기 시작하였다. 스마트폰의 이동성, 연결성, 개인화,혼종성, 다목적성 등의 기기적 특징(황주성, 이재현, 이나경 2010)에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발전이 더해짐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 영역에 대한 관심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김희섭, 이미숙, 서지웅2015).
스마트폰의 기기적 특징은 무엇인가? 어플리케이션이란 휴대폰에 탑재되는 컨텐츠 및 응용프로그램으로 데이터 무선 전송이 가능한 컨텐츠를 의미하며(이종은 2016), 2008년 애플이 iPhone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마켓 플레이스인 ‘앱스토어’를 오픈하며 인기를 끌기 시작하였다. 스마트폰의 이동성, 연결성, 개인화,혼종성, 다목적성 등의 기기적 특징(황주성, 이재현, 이나경 2010)에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발전이 더해짐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 영역에 대한 관심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김희섭, 이미숙, 서지웅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고정민, 유승호. 2004. 국내 모바일 컨텐츠 비즈니스의 구조와 발전방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14: 49-97.(Ko, Jeong-Min and Seoung-Ho Ryu. 2004. "The structure of domestic mobile contents business and its developmental direction." The Jou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14: 49-97.) 

  2. 곽승진. 2004. 청소년 과학분야 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4): 67-83.(Kwak, Seung-Jin. 2004.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Science Digital Library for Youth." The Journal of Kore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67-83.) 

  3. 곽지혜, 김현희. 2015.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도서관 모바일 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4): 223-247.(Kwak, Ji-hye and Hyun-Hee Kim. 2015.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Use Behavior of Library Mobiles.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32(4): 223-247.) 

  4. 구정화. 2015. 소외청소년들의 일상적 정보행태: 재미 한인 청소년을 사례로 하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161-190.(Koo, Joung Hwa. 2015. "Every Information Practices of Isolated Adolescents: A Case Study of New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in the U.S." The Journal of Kore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161-190.) 

  5. 권성호, 김성미. 2011. 소셜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미디어와 교육, 1(1): 65-82.(Kwon, Sung-Ho and Sung-Mi Kim. 2011. "Reconceptualizing Digital literacy in the Social Media Era." Media and Education, 1(1): 65-82.) 

  6. 김성은, 이지연. 2013. 청소년의 가상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155-173.(Kim, Sung Eun and Jee Yeon Lee. 2013. "Research on Virtual Information Grounds and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Korean Youths."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30(4): 155-173.) 

  7. 김정기. 2005. 청소년과 성인집단의 휴대전화 이용 특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49(3): 262-290.(Kim, Jung-Kee. 2005. "An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Mobile Phone Uses by Adolescents and Adult."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9(3): 262-290.) 

  8. 김주란, 이기훈, 최영균. 2011. 광고매체로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동기와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89: 229-254.(Kim, Juran, Ji-Hoon Lee, and Yung-Kyun Choi. 2011. "A Study of motivations and intentions to use smart phone application as advertising media." Advertising Research, 89: 229-254.) 

  9. 김현경. 2011. 북한이탈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 유형에 관한 연구. 사이버사회문화, 2: 1-29.(Kim, Hyun-Kyung. 2011. "A Study on the Pattern of Internet Usage among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Cyber Society & Culture, 2: 1-29.) 

  10. 김형지, 김민성, 오대규, 김성태. 2014.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이용, 대인관계, 그리고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1(1): 163-198.(Kim, H. J., M. S. Kim, D. K. Oh, and S. T. Kim. 2014.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appiness." The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Association, 31(1): 163-198.) 

  11. 김희섭, 이미숙, 서지웅. 2015. 중.장년층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모바일 정보이용행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335-353.(Kim, Heeseop, Misook Lee, and Jiwoong Seo. 2015. "An Analysis of the Middle-aged Adults' Mobile Information Behavior Focu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Kore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335-353.) 

  12. 김희웅, 이현령, 최수진. 2011. 모바일 앱 구매 결정에 끼치는 영향요인.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6(4): 173-195.(Kim, H. W., H. L. Lee, and S. J. Choi.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Mobile Application Purchase."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6(4): 173-195.) 

  13. 박인곤, 신동희. 2010.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0(4): 192-225.(Park, In-Kon and Dong-Hee Shin. 2010. "Us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Understand the Usage and the Gratifications of Smartphone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0(4): 192-225.) 

  14. 박준우, 박정기. 2012.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유형별 인포테인먼트 적용 방안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4): 193-202.(Park, Joon Woo and Jeong Kee Park. 2012. "The Study on Infortainment Applying Plan in Each Smart Application Contents Typ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4): 193-202.) 

  15. 박현모, 이지연. 2013. 도시와 농어촌 청소년의 일상 정보 행태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1): 71-92.(Park, Hyun mo and Jee Yeon Lee. 2013. "A Comparison Study of the Everyday-Life Information Behaviors of Urban and Rural Adolescents."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30(1): 71-92.) 

  16. 서민영, 김상아, 박정은, 주민경. 2011. 메가스터디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저널, 22: 155-193.(Seo, M. Y., S. A. Kim, J. E. Park, and M. K. Ju. 2011. "A Case Study on the Megastudy." Management and Information Review, 22: 155-193.) 

  17. 신성철, 백석기.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11): 345-362.(Shin, Sung Chul and Seok Kee Baek. 2013.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on Aggression." Crisisonomy, 9(11): 345-362.) 

  18. 오세나, 이지연. 2012.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정보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1): 191-209.(Oh, Sena and Jee-Yeon Lee. 2012. "A Study on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Smart Phone Users."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9(1): 191-209.) 

  19. 윤숙영, 신세영. 2012. 스마트폰 뷰티 애플리케이션의 유형화. 한국미용예술학회지, 6(4): 133-142.(Yun, Suk-Yeong and Sae-Young Shin. 2012. "A Study of the Beauty Application Typology on Smart Phone." Journal of the Korean Beauty Art Society, 6(4): 133-142.) 

  20. 이미나, 양승찬, 서희정. 2017. 소셜미디어에서의 뉴스 정보 수용과 전통 미디어 뉴스 읽기의 비교. 한국언론정보학보, 81: 299-328.(Lee, Mina, Seungchan Yang, and HeeJung Seo. 2017. "Comprehension of a News Story on SNS in Comparison to the Traditional Newspaper."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81: 299-328.) 

  21. 이승길. 2013.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27-50.(Lee, Seung Gil.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mart Learning in the School Library." The Journal of Kore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27-50.) 

  22. 이애화. 2015.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 교육문화연구, 21(3): 179-200.(Lee, Ae-Hwa. 2015.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Digital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1(3): 179-200.) 

  23. 이연옥. 2007. 고등학생의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107-134.(Lee, Yeon-Ok. 2007. "School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for Satisfyi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formation Needs." The Journal of Kore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107-134.) 

  24. 이은희, 이지연. 2011. 스마트폰을 통한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377-392.(Lee, Eun-Hee and Jee-Yeon Lee. 2011. "A Study on User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Using Smart Phones."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8(3): 377-392.) 

  25. 이종은. 2016. 컨텐츠 유형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브랜드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전문경영인연구, 19(1): 143-164.(Lee, Jong Eun. 2016.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 Brands on Consumers' Preference." The Journal of Korea CEO Association, 19(1): 143-164.) 

  26. 이준기, 강근모. 2015.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내현화 변인과 외현화 변인에 대한 메타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3(1): 247-271.(Lee, Jun-Ki and Keun-Mo Kang. 2015.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internal variable, external variable and youth smartphone addiction."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ling, 23(1): 247-271.) 

  27. 이희서, 곽나연, 이중정. 2016. 스마트폰 앱 사용 및 추천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8): 481-494.(Lee, HeeSeo, Nayeon Kwak, and Choong-Cheang Lee. 2016. "Exploring Determinants Affecting Mobile Application Use and Recommendation."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8): 481-494.) 

  28. 임여주. 2016.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을 통한 정보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455-490.(Lim, Yeo Joo. 2016. "A Study of Young Adults' Information Behavior and Media Use: Focusing on the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3): 455-490.) 

  29. 정진수. 2009. 어린이와 청소년의 정보이용에 관한 연구의 비판적 분석 I.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143-153.(Jung, Jin-soo. 2009. "A Critical Analysis of the Studies on Children's and Adolescents' Information Seeking and Use Part I: Focusing on Information Seeking and Use for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143-153.) 

  30. 정회경, 이동후, 한희정, 정수영, 설진아, 이종임, 박주연, 김아미, 최선영, 김숙, 전해정. 2015. 모바일과 여성.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Jung, H. K. et al. 2015. Mobile and Woman. Seoul: Communication Books.) 

  31. 조명희, 김정모, 류석상, 김인혜. 2017. 청소년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있어서 SNS 와 게임 집단 간 자기조절과 이용 동기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24(2): 297-317.(Jo, M. H., J. M. Kim, S. S. Rhu, and I. H. Kim. 2017. "The Difference of The Self-Regulation and The Usage Motivation between The SNS and The Game Group in The Over usage of Smartphone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4(2): 297-317.) 

  32. 조재춘, 임희석. 2012.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교육 개념 모델.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4): 41-49.(Jo, Jae Choon and Heui Seok Lim. 2012. "A Conceptual Model of Smart Education Conside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4): 41-49.) 

  33. 조혜영, 김종길. 2006. 청소년의 사이버커뮤니티 참여와 사회관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7(1): 227-261.(Jo, Hye-Yung and Jong-Kil Kim. 2006. "A Study on Cyber Community Participation of Youth and Their Social Relations." Studies on Korean Youth, 17(1): 227-261.) 

  34. 주재욱, 정용찬, 김윤화, 오윤석. 2016. 2016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책자료 16-11.02.(Joo, J. U., Y. C. Jung, Y. H. Kim, and Y. S. Oh. 2016. 2016 Korea Media Pannel Research. Seoul: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Policy data 16-11.02.) 

  35. 통계청. 2016. 인터넷과 의존 실태조사. 서울: 통계청.(Korea Statistics. 2016. Research on Internet and reliance on Internet. Seoul: Korea Statistics.) 

  36. 황주성, 이재현, 이나경. 2010. 모바일 인터넷으로 인한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 스마트폰 이용자를 중심으로.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기본연구 10-07.(Hwang, J. S., J. H. Lee, and N. K. Lee. 2010. The Change of Media Usage Patterns Due to the Mobile Internet based on the Smartphone Users. Seoul: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Basic Research 10-07.) 

  37. Agosto, D. E., and S. Hughes-Hassell. 2005. "People, places, and questions: An investigation of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of urban young adult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7(2): 141-163. 

  38. Dresang, E. T. 1999. "More research needed: Informal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youth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0(12): 1123. 

  39. Eisenberg, M. B., C. A. Lowe, and K. L. Spitzer. 2004. Information literacy: Essential skills for the information age. Greenwood Publishing Group, 88 Post Road West, Westport, CT 06825. 

  40. Eshet-Alkalai, Y. 2004. "Digital literacy: A conceptual framework for survival skills in the digital era."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13(1): 93-106. 

  41. Jung, J., S. Chan-Olmsted, and Y. Kim. 2013. "From access to utilizati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pplication use and its impacts on social and human capital acquisition in South Korea."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90(4): 715-735. 

  42. Kang, S. and J. Jung. 2014. "Mobile communication for human needs: A comparison of smartphone use between the US and Korea."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5: 376-387. 

  43. Kim, D., H. Chun, and H. Lee. 2014. "Deter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 adoption of smartphon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3): 578-588. 

  44. Sohn, T., K. A. Li, W. G. Griswold, and J. D. Hollan. 2008, April. "A diary study of mobile information needs."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433-442). ACM. 

  45. Stvilia, B. and W. Choi. 2015. "Mobile wellness application-seeking behavior by college students - An exploratory stud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7(3): 201-208. doi:10.1016/j.lisr.2015.04.007 

  46. Walsh, A. 2012. "Mobile information literacy: a preliminary outline of information behaviour in a mobile environment." Journal of information literacy, 6(2): 56-69. 

  47. Westerman, D., P. R. Spence, and B. Van Der Heide. 2014. "Social media as information source: Recency of updates and credibility of informat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9(2): 171-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