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문서 리터러시와 기록정보 리터러시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fficial Document Literacy and Archival Literacy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4 no.3 = no.105, 2017년, pp.125 - 150  

홍소람 (전남대학교 기록관리학) ,  장우권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기록정보 리터러시의 대상과 범주를 공문서 리터러시와 연결시키고 리터러시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증명하여 기록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공공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문헌연구 및 공문서 리터러시를 가진 공무원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문서 리터러시를 가진 집단인 공무원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대부분 인식값(현실 반영 정도) 및 기댓값(중요도)이 높았다. 둘째, 모든 요인에서 인식값(현실 반영 정도)보다 기댓값(중요도)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요인간 상관분석 결과 모든 상관값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표본에서는 '공무원으로서의 소통'과 '분석적 개념'(0.626) 간의 상관관계가, 대학생 표본에서는 '시민으로서의 소통'과 '분석적 개념'(0.561) 간의 상관관계가, 응답자 전체로는 '시민으로서의 소통'과 '분석적 개념'(0.563)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문서 리터러시를 가진 집단일수록 공문서 리터러시와 기록정보 리터러시의 동질성을 보다 명확히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extending the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of records to the public area. For the purpose, the study links the target and scope of archival literacy with official document literacy and prov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archival lit...

주제어

참고문헌 (19)

  1. 금재은 (2016). 기록정보 리터러시(Archival Literacy) 향상을 위한 교육서비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기록학과.(Geum, Jae-Eun (2016). A study on education services to enhance archival liter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 김종우 (2007). 구조주의와 그 이후. 파주: 살림.(Kim, Jong-Woo (2007). Structuralism and past. Paju: Sallim.) 

  3. 노명완, 이형래 (2005). 직업 문식성 연구 - 9, 5급 공무원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13, 62-100.(Noh, Myeong-Wan & Lee, Hyeong-Rae (2005). A study of job literacy. Journal of Reading Research, 13, 62-100.) 

  4. 서혁, 김지희, 오은하, 이소라 (2015).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공무원과 일반인의 공문서 읽기 특성 비교 연구. 새국어교육, 102, 7-44.(Suh, Hyuk, Kim, Ji-Hee, Oh, Eun-Ha, & Lee, Sora (2015). A experimental study using the eye-tracker on r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officials and the ordinary adults. Korean Education, 102, 7-44.) 

  5. 서혁, 류수경, 오은하, 김도희, 편지윤, 이소라 (2014). 공공 문식성 제고를 위한 공문서 텍스트의 평가와 분석. 새국어교육, 98, 119-152.(Suh, Hyuk, Ryu, Sukyeong, Oh, Eun-Ha, Kim, Dohee, Pyeon, Jiyun, & Lee, Sora (2014). The assessments and analyses of Korean official documents focused on public literacy. Korean Education, 98, 119-152.) 

  6. 정혜승 (2008). 문식성 교육의 쟁점 탐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1(1), 161-185.(Chung, Hye-Seung (2008). A study on issues of literacy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1(1), 161-185.) 

  7. Barton, D. (2007). Literacy: An introduce to the Eology of Written Language. (2nd ed.). 김영란, 옥현진, 서수현 공역. (2014). 문식성: 문자 언어 생태학 개론.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8. Archer, J., Hanlon, A. M., & Levine, J. A. (2009). Investigating primary source literacy.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5(5), 410-420. https://doi.org/10.1016/j.acalib.2009.06.017 

  9. Carini, P. (2016). Information literacy for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Defining outcomes.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16(1), 193-208. https://doi.org/10.1353/pla.2016.0006 

  10. Enoch, J., & Van Haitsma, P. (2015). Archival literary: Reading the rhetoric of digital archives in the undergraduate classroom.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67(2), 216-242. 

  11. Ervin, E. (2003). Public Literacy. (2nd ed.). New York: Longman. 

  12. Ervin, E. (2006). Teaching public literacy: The partisanship problem. College English, 68(4), 407-421. https://doi.org/10.2307/25472161 

  13. Morris, S. L., Mykytiuk, L. J., & Weiner, S. A. (2014). Archival literacy for history students: Identifying faculty expectations of archival research skills. The American Archivist, 77(2), 394-424. https://doi.org/10.17723/aarc.77.2.j270637g8q11p460 

  14. SAA & ACRL/RBMS. (2017, March 30). Guidelines for primary source literacy: Draft for feedback - 1/13/17. Retrieved from http://www2.archivists.org/sites/all/files/Primary%20Source%20Literacy%20Guidelines%20-%202nd%20Draft%20for%20Public%20Comment.pdf 

  15. Upward, F. (1996). Structuring the records continuum (Series of two parts) Part 1: Post custodial principles and properties. Archives and Manuscripts, 24(2), 268-285. 

  16. Vilar, P., & Sauperl, A. (2014). Archival literacy: Different users different information needs behaviour and skills.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492, 149-159. https://doi.org/10.1007/978-3-319-14136-7_16 

  17. Weiner, S. A., Morris, S. L., & Mykytiuk, L. J. (2015). Archival literacy competencies for undergraduate history majors. The American Archivist, 78(1), 154-180. https://doi.org/10.17723/0360-9081.78.1.154 

  18. Yakel, E. (2004). Information literacy for primary sources. OCLC Systems & Services: International Digital Library Perspectives, 20(2), 61-64. 

  19. Yakel, E., & Torres, D. A. (2003). AI: Archival intelligence and user expertise. The American Archivist, 66, 51-78. https://doi.org/10.17723/aarc.66.1.q022h85pn51n58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