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천연보호구역 해빈자갈퇴적층(몽돌 해변)의 외래 역 분포 변화
Variation of Allochthonous Gravels in the Beach Gravel Deposit of the Island Dokdo Natural Reserve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6 no.3, 2017년, pp.255 - 269  

임호성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박진수 (청송군청 문화관광과) ,  김정훈 (경북도청 환경정책과) ,  우현동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장윤득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러 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무엇보다 지질학적으로 희소성과 순수성을 지닌 독도 천연보호구역의 해빈자갈퇴적층(몽돌 해변)을 대상으로 5년간 외부에서 유입된 역 이 얼마나 분포하는지에 대해 모니터링 하였다. 연구 지역인 동도 선착장 인근 및 서도 어민 숙소 인근 해빈자갈퇴적층에서, 주로 발견되는 몽돌의 종류에는 독도에서 직접적으로 기원한 것으로 판단되는 현무암, 조면암류, 응회암류와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화강암, 유문암, 편마암, 규암, 대리암, 그리고 콘크리트가 있다. 2011년과 2016년의 외래 역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동 서도에서 암종의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각 지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는 외래 역의 순위 역시 동도에서 화강암, 콘크리트, 편마암, 그리고 서도에서 콘크리트, 편마암, 화강암 순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동도와 서도의 전체 조사 면적에 대한 외래 역 면적의 비율은 다소 감소했다. 기존 시설물의 파괴와 외래 건축 자재 유입이 해빈자갈퇴적층에 존재하는 외래 역에 대한 주요한 유입 경로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체적인 오염도가 감소했다는 점은 연구기간 동안 외래 역 유입에 대한 관리가 대체로 개선 또는 최소한 악화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시한다. 한편 지속적인 낙석이 몽돌의 분포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되며, 낙석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ve year term monitoring investigating variation of allochthonous originated gravels are has been conducted in the beach gravel deposit of the Island Dokdo natural reserve which takes purity and uniqueness with enormous attention though a number of areas. The beach gravel deposits near the dock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암석기재적, 지화학적 조사기법을 통해 몽돌의 기원지를 크게 ‘독도기원’과  ‘외래기원’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 또한 독도 이외에도 지질학적 정체성을 지닌 명소에 외래 암석이 지나치게 유입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으리라 보고 자갈해변에 인위적으로 유입된 역과 그러한 현상에 대해 ‘외래 역’ 및 ‘외래 역 오염’의 용어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독도 몽돌해변의 외래 역 유입 현황에 대해 2011년 최초 조사 이후 2016년 재조사를 통해 5년 사이 독도의 외래 역 오염도를 비교 보고하고 그 원인에 대해 토의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b) Gabion breast wall easy to let the rocks away. (c) Fragments supposed to be broken apart from the building in the Seodo and (d) the plausible source of those fragments, not being broken apart ye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수면 위로 조사 가능한 지역에 대한 독도의 암층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독도는 수성화산의 분출로 형성되었으며, 그 상부가 수면 위로 드러나 있는 형태이다. 해수면 위로 조사 가능한 지역에 대한 독도의 암층은 독도층군으로 포괄되어 있으며, 하부부터 조면안산암 I, 동도응회암, 서도응회암, 조면안산암 II, 얼굴바위응회암, 조면안산암 III, 천장굴각력암, 조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표는 해빈자갈퇴적층 및 붕적층으로 피복되어있다(Fig. 2; Kee et al.
독도의 해빈자갈퇴적층(몽돌 해변)에서 발견되는 몽돌 중 외부에서 유입되었다고 판단되는 암석은 무엇인가? 여러 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무엇보다 지질학적으로 희소성과 순수성을 지닌 독도 천연보호구역의 해빈자갈퇴적층(몽돌 해변)을 대상으로 5년간 외부에서 유입된 역 이 얼마나 분포하는지에 대해 모니터링 하였다. 연구 지역인 동도 선착장 인근 및 서도 어민 숙소 인근 해빈자갈퇴적층에서, 주로 발견되는 몽돌의 종류에는 독도에서 직접적으로 기원한 것으로 판단되는 현무암, 조면암류, 응회암류와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화강암, 유문암, 편마암, 규암, 대리암, 그리고 콘크리트가 있다. 2011년과 2016년의 외래 역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동 서도에서 암종의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각 지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는 외래 역의 순위 역시 동도에서 화강암, 콘크리트, 편마암, 그리고 서도에서 콘크리트, 편마암, 화강암 순으로 동일하다.
독도란 무엇인가? 독도는 한반도와 일본 사이이자 동시에 아시아대륙의 최동단에 해당하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동쪽, 서쪽으로 나뉜 동도(동경 131o52'10.4'', 북위 37o14'26.8''), 서도(동경 131o51'54.6'', 북위 37o14'30.6'')와 더불어 89개의 부속도서로 구성된다. 독도는 일본과의 영유권 문제로 오랜 기간 국민적 관심을 받아오고 있으며, 인근 수역 자체가 가지는 영해 및 군사적인 요충지로서의 가치와 더불어 생태, 자원, 지질, 지형적 가치가 화두로 떠오르며 무한한 잠재적 가치를 지니는 곳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e, B.G. (2012) Assessment of landslides vulnerability in Dok-Do.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Goseong. 

  2. Dokdo management office (2016) Book entry of the Dokdo. Gyeongsangbuk do, Ulleung gun. 

  3. Dokdo management office (2016) Construction support plan for infrastructure of the Dokdo accommodation, Gyeongsangbuk do, Ulleung gun. 

  4. Han, M. (2016) Study of the Dokdo beach gravel in assessment of topography formation process and resorces. Proceedings,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p. 61 

  5. Kee, W.S., Kim, B.C., Kihm, Y.H., Cho, D.L., Lee, S.R., Lee, Y.S. (2012) Geological map and explanatory note of the Dokdo Sheet (1: 2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91p. 

  6. Kim, C.H., Park, C.H., Ko, Y.T., Jung U.Y., Kwak, J.Y., Yoo, S.H., Min, K.D. (2007) The study of Formation for Dokdo seamounts at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using gravity and magnetic dat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 40(2), p. 153-170. 

  7. Kim, K.H., Nagao, K., Sumino, H., Tanaka, T., Hayashi, T., Nakamura, T., Lee, J.I. (2008) He-Ar and Nd-Sr isotopic compositions of late Pleistocene felsic plutonic back arc basin rocks from Ulleungdo volcanic island,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genesis of young plutonic rocks in a back arc basin. Chemical Geology, v. 253(3), p. 180-195. 

  8. Kim, K.H., Park, E.J., Lee, S.E., Song, J.H. (2000) K-Ar ages and Nd-Sr isotopes of Dokdo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East Sea, South Korea. Jour.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36(3), p. 313-324. 

  9.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6) Study of ground stability following cracking in the Dokdo. Ministry of Oceance and Fisheries, Seoul. 

  10. Lee, J.I., Hur, S.D., Lee, M.J., Yoo, C.M., Park, B.K., Kim, Y. D., Kwon, M.S., Keisuke, N. (2002)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Dokdo volcanic rocks, East sea. Ocean and Polar Research, v. 24(4), p. 465-482. 

  11. Maruyama S., Isozaki, Y., Kimura, G., Terabayashi, M. (1997) Paleogeographic maps of the Japanese Islands: plate tectonic synthesis from 750 Ma to the present. Island Arc, v. 6(1) p. 121-142 

  12. Pohang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Document information list. Gyeongsangbuk do, Pohang. 

  13. Pohang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Document information list. Gyeongsangbuk do, Pohang. 

  14. Pohang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2015) Document information list. Gyeongsangbuk do, Pohang. 

  15. Pohang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Document information list. Gyeongsangbuk do, Pohang. 

  16. Research Institute for Dok-do and Ulleung-do Island (2010) Dokdo natural preservation zone monitoring report 200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Gyeongsangbuk do. 

  17. Research Institute for Dok-do and Ulleung-do Island (2012) Dokdo natural preservation zone monitoring report 201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Gyeongsangbuk do. 

  18. Research Institute for Dok-do and Ulleung-do Island (2014) Dokdo natural preservation zone monitoring report 201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Gyeongsangbuk do. 

  19. Sohn, Y.K. and Park, K.H. (1994) Geology and Evolution of Tok Island, Korea. Jour.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30(3), p. 242-261. 

  20. Yoon, S. and Chough, S. (1995)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 107(1), p. 83-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