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howing fissured tongue (FT) with burning mouth syndrome (BMS).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16 FT patients with BMS who visited the Oral Diseases Clinic of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위장소화내과 구강병 클리닉에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으로 내원하여 치료 받은 환자들의 진료기록을 바탕으로, 이 중 균열설 소견을 보였던 환자 16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균열설의 임상적 특징 및 한의학적 접근에 대한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열설이란 무엇인가? 균열설(Fissured tongue, FT)은 혀의 배면에 수 많은 2~6 mm 깊이의 갈라진 틈이 존재하는 양상으로,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유전적 요인,노화, 환경적 요인 등이 고려되고 있다1. 특이적인 임상증상은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갈라진 틈 사이에 찌꺼기가 끼는 불편감이나 혀 표면의 통증이나 작열감을 호소하기도 하며 외형상의 문제로 인해 암공포증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2.
균열설이 유발하는 것은 무엇인가? 균열설(Fissured tongue, FT)은 혀의 배면에 수 많은 2~6 mm 깊이의 갈라진 틈이 존재하는 양상으로,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유전적 요인,노화, 환경적 요인 등이 고려되고 있다1. 특이적인 임상증상은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갈라진 틈 사이에 찌꺼기가 끼는 불편감이나 혀 표면의 통증이나 작열감을 호소하기도 하며 외형상의 문제로 인해 암공포증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2. 일반적으로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동반하는 합병증이 있다면 이를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
고전 한의학 문헌에서는 균열설의 원인을 무엇으로 보고있는가? 한의학에서 균열설은 ‘舌裂’, ‘舌破’, ‘龜裂舌’ 등으로 표현되며, 고전 한의학 문헌에서는 心熱4, 陰虛熱5 등을 그 원인으로 보았다. 치료는 각각 淸心瀉火, 滋陰降火 등의 방법을 위주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arom N, Cantony U, Gorsky M. Prevalence of fissured tongue, geographic tongue and median rhomboid glossitis among Israeli adults of different ethnic origins. Dermatol 2004;209(2):88-94. 

  2. Scully C. Oral and maxillofacial medicine: the basis of diagnosis and treatment. 2nd ed. New York: Elsevier Science Health Science div; 2008, p. 250-2. 

  3. Rathee M, Hooda A, Kumar A. Fissured Tongu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The Internet Journal of Nutrition and Wellness 2009;10(1):1-4. 

  4. Heo J. Dongui Bogam. Seoul: Bubinmoonhwasa; 2012, p. 667. 

  5. Cho BJ. Byunseol Jinam. Tianjin: Tianjin Science an Technology; 1994, p. 124. 

  6. Kim JS, Han GJ, Choi BH, Park JW, Park KM, Yeo IK, et al. Development of differential criteria on tongue coating thickness in tongue diagnosis. Complement Ther Med 2012;20(5):316-22. 

  7. Navazesh M, Christensen CM. A comparison of whole mouth resting and stimulated salivary measurement procedures. J Dent Res 1982;61(10):1158-62. 

  8. Koreaki S. The dubious effect of milnacipran for the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Clin Neuropharmacol 2011;34(4):170-3. 

  9. Daneshpazhooh M, Nazemi TM, Bigdeloo L, Yoosefi M. Mucocutaneous findings in 100 children with Down syndrome. Pediatr Dermatol 2007;24(3):317-20. 

  10. Kim W, Woo JM, Chae JH. Heart Rate Variability in Psychiat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2):176-84. 

  11. McCraty R, Atkinson M, Tiller W, Rein G, Watkins AD. The effects of emotions on short-term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rate variability. AM J cardiol 1996;76(14):1089-93. 

  12. Shim YW, Yang DI, Kim NH, Kim DW. The effects of posture and sleep deprivation on heart rate variability.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2010;47(2):43-9. 

  13. Hall M, Vasco R, Buysse D, Ombao H, Chen Q, casemere JD, et al. Acute stress affects heart rate variability during sleep. Psychosom Med 2004;66(1):55-62. 

  14. Piccirillo G, elvira S, Bucca C, Biola E, Cacciafesta M, Marigliano V. Abnormal passive head-up tilt test in subjects with symptoms of anxiety power spectral analysis study of HR and blood pressure. Int J Cardiol 1997;25(60):15-26. 

  15. Proctor GB, Carpenter GH. Regulation of salivary gland function by autonomic nerves. Auton Neurosci 2007;133(1):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