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타액분비저하에 따른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임상적 특징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due to Hyposalivation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1 no.5, 2020년, pp.838 - 847  

이하늘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김동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백소영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위장소화내과) ,  정해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이현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조윤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하나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김진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BMS) due to hyposalivation (HS).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39 BMS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Digestive Diseases of Kyunghee Korean Medicine Hosp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SFR 저하와 BMS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일치된 의견은 없지만 SFR 검사 수치 중 basal salivary flow를 반영18하는 USFR 저하가 BMS와의 관련성이 있다는 보고가 많다6-8. 따라서 본 연구는 BMS 환자군 내에서 USFR 저하 여부에 따라 임상적 특징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심박변이도(HRV) 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USFR 저하와 자율신경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하지만 BMS군과 건강대조군 간 SSFR 뿐만 아니라 USFR도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보고9,10도 있어 USFR과 BMS군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 많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BMS 환자군 내에서 USFR 저하 여부에 따라 임상적 특징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USFR 저하와 자율신경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최근 5개월간 경희대 한방병원 위장소 화내과에 내원한 BMS로 진단받은 환자의 USFR 저하여부에 따른 임상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여 BMS 환자의 타액 분비 저하가 증상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으며, 임상에서 이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BMS 환자의 타액 분비 저하가 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 불균형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며 약물 복용과의 관련성을 언급하였다.
  • 1 mL/min 미만을 none-Hyposalivation군(이하 non-HS군)으로 나누어11 진료기록 및 검사 결과를 분석,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BMS의 임상적 특징 및 접근 방법에 대한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발성 구강작열감증후군에 시도되는 치료법은?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은 혀에 국한되어 있거나 구강건조증 및 미각 이상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특히 원발성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신경병적 질환으로 추정하여 신경물질의 전달에 관여하는 약물치료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에서 단일치료로 증상이 완전히 호전되는 경우는 없으며 치료가 매우 어려운 질환이다2.
구강작열감증후군이 가져올 수 있는 통증 외 증상은?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 구강 점막 또는 혀의 작열감과 통증을 특징으로 하나 임상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점막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1.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은 혀에 국한되어 있거나 구강건조증 및 미각 이상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특히 원발성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신경병적 질환으로 추정하여 신경물질의 전달에 관여하는 약물치료를 시도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이란?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 구강 점막 또는 혀의 작열감과 통증을 특징으로 하나 임상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점막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1.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은 혀에 국한되어 있거나 구강건조증 및 미각 이상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wis AK, Prime SS, Cohen SN. An overview of burning mouth syndrome for the dermatologist. Clin Exp Dermatol 2016;41(2):119-23. 

  2. Chang JW, Kim CH. Burning Mouth Syndrom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3;56(9):550-6. 

  3. 周兵, 周杰. 灼口湯治療陰虛型灼口綜合征觀察. 臨床口腔?學雜誌2012;28(4):217-8. 

  4. 郭宏奇. 中藥辨?治療灼口綜合征臨床觀察. 疾病監測?控制雜誌2009;8:484-5. 

  5. 허준. 동의보감(신증판). 서울: 남산당; 2004, p. 87-9, 94, 241, 418, 507, 779. 

  6. Spadari F, Venesia P, Azzi L, Veronesi G, Costantino D, Croveri F, et al. Low basal salivary flow and burning mouth syndrome: new evidence in this enigmatic pathology. J Oral Pathol Med 2015;44(3):229-33. 

  7. Lee YC, Hong IK, Na SY, Eun YG. Evaluation of saliv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Oral Dis 2015;21(3):308-13. 

  8. Poon R, Su N, Ching V, Darling M, Grushka M. Reduction in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in burning mouth syndrome. Br Dent J 2014;217(7):E14. 

  9. Soares MS, Chimenos-Kustner E, Subira-Pifarre C, Rodriguez de Rivera-Campillo ME, Lopez-Lopez J. Association of burning mouth syndrome with xerostomia and medicines.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05;10(4):301-8. 

  10. Granot M, Nagler RM. Association between regional idiopathic neuropathy and salivary involvement as the possible mechanism for oral sensory complaints. J Pain 2005;6(9):581-7. 

  11. Koreaki S. The dubious effect of milnacipran for the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Clin Neuropharmacol 2011;34(4):170-3. 

  12. Navazesh M, Christensen CM. A comparison of whole mouth resting and stimulated salivary measurement procedures. J Dent Res 1982;61(10):1158-62. 

  13. Kim JS, Han GJ, Choi BH, Park JW, Park KM, Yeo IK, et al. Development of differential criteria on tongue coating thickness in tongue diagnosis. Complement Ther Med 2012;20(5):316-22. 

  14. Lee JH, Lee JC. Burning Mouth Syndrome (BMS). J Clinical Otolaryngol 2010;21(2):211-20. 

  15. Rafael M. Nagler, Oded Hershkovich. Relationships between age, drugs, oral sensorial complaints and salivary profile. Archives of Oral Biology 2005;50(1):7-16. 

  16. Lim HD, Kang JK, Lee YM. A Review of Etiopathogenesis of Burning Mouth Syndrome.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2010;35(1):41-7. 

  17. Villa A, Connell CL, Abati 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xerostomia and hyposalivation. Ther Clin Risk Manag 2015;11:45-51. 

  18. Sreebny LM. Saliva in health and disease: an appraisal and update. Int Dent J 2000;50(3):140-61. 

  19. Affoo RH, Foley N, Garrick R, Siqueira WL, Martin RE. Meta-Analysis of Salivary Flow Rates in Young and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2015;63(10):2142-51. 

  20. de Souza FT, Amaral TM, dos Santos TP, Abdo EN, Aguiar MCF, Teixeira AL, et al. Burning mouth syndrome: a therapeutic approach involving mechanical salivary stimulation. Headache 2012;52(6):1026-34. 

  21. Ko WH, Ha NY, Ko SJ, Park JW, Kim JS. A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tern and Ryodoraku Test Identifications for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9;40(3):369-89. 

  22. Han GJ, Park JW, Ko SJ, Kim JY, Son JY, Jang SW, et al. Study on Tongue Coating Patterns of the Xerostomia in the Elderly Patients.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2013;17(3):191-204. 

  23. 최병문, 노규정.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정맥마취 2004;8(2):45-86. 

  24. 전국한의과대학진단.생기능의학교실. Biofunctional Medicine. Seoul: Koonja Publishing Inc; 2008, p. 96. 

  25. Malik M, Bigge JT, Camm AJ, Kleiger RE, Malliani A, Moss AJ,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standard of measurement, physiological interpretation and clinical use. Eur Heart J 1996;17(3):354-81. 

  26. Choi WS. Heart rate variability and the measurement of stress. Korean J Str 2005;13(2):59-63. 

  27. Koszewicz M, Mendak M, Konopka T, Koziorowska -Gawron E, Budrewicz S. The characteristic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disorders in burning mouth syndrome and Parkinson disease. J Orofac Pain 2012;26(4):315-20. 

  28. Nakase M, Okumura K, Tamura T, Kamei T, Kada K, Nakamura S, et al. Effects of near -infrared irradiation to stellate ganglion in glossodynia. Oral Dis 2004;10(4):217-20. 

  29. Hanada K. Glossodynia and the func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frequency spectrum analysis of RR intervals recorded electrocardiographically. Kokubyo Gakkai Zasshi 2003;70(2):124-30. 

  30. Momota Y, Takano H, Kani K, Matsumot F, Motegi K, Aota K, et al. Frequency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a useful assessment tool of linearly polarized near-infrared irradiation to stellate ganglion area for burning mouth syndrome. Pain Med 2013;14(3):35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