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계물리치료에서의 근거중심실기(2) -지속가능한 EBP 수행을 위한 정보검색 기술-
Evidence-Based Practice in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2) -Information Research Technology for Sustainable Practice of EBP-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5 no.2, 2017년, pp.115 - 124  

이문규 (씨티재활의학과 요양병원 재활센터) ,  김태윤 (원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임재헌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searchers found that blocks of evidence-based practice (EBP) implementation lacked opportunities for EBP education. The study found that physical therapists had negative views of research as well as their roles in EBP, lacked confidence in EBP, and had limited access to web-based mater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헌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은 EBP를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EBP를 지속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법들 중에서 몇 가지 웹 기반/컴퓨터 기반 기술과 활용 방법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메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메모도 쌓이다 보면 검색하는 것도 큰 문제가 된다. 그래서EBP 과정에서 얻은 정보, 나중에 읽어보고 검토하고 싶은 논문이나 웹 문서 그리고 자기 생각과 행위를 적은 것을 메모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해보자. 에버노트(www.
  • 1). 먼저 저자들은 EBP의 개념과필요성에 관한 인지도를 대상자들에게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EBP를 학교에서 배운 치료사는 50%, 연구결과가 도움 된다고 생각하는 치료사는 78%였다.
  • 치료사 개인뿐 아니라 우리가 일하고 있는 환경이나 조직이 도와주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신경계 물리치료에서의 근거중심실기 시리즈 연구 중 두 번째 논문에서는 EBP 수행 장벽을 논의하고 지속 가능한 EBP 수행에 도움이 될 만한 실질적 방법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자신의 그리고 기관의 임상 의사결정 과정과 패턴을 정리해 보는 것이 좋다.어느 추론과정에서 EBP가 필요하며 어떤 정보들이 필요한지를 파악해보자. 다섯째, 저널스터디를 하자.
  • 메모지나 노트에 메모 하는 것도 좋지만 그런 방법은 사후에 검색이 어렵다. 연구의 결과의 의미를 정리했다면 메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저장해두자. 메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메모도 쌓이다 보면 검색하는 것도 큰 문제가 된다.
  • 각 정보원의 메일링 서비스를 이용하면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학술 정보를 메일로 받아 볼 수 있다. 의학 보건분야의 대표적인 학술검색 사이트 PubMed에서 제공하는 My NCBI 서비스를 이용해보자. NCBI는 PubMed에서 검색했던 활동들이 자동 기록되며 특정한 검색어 조합으로 검색한 결과들을 저장할 수 있다.
  • , 2016). 첫 번째 논문에서 환자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치료사들이 갖는 사고의 틀과 패러다임, 임상의사결정을 할 때 사용하는 근거의 종류, EBP단계와 근거 찾는 방법을 제시하여 환자를 치료할 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 EBP를 위해 시간을 내기가 어렵다는 현실 때문에 막 EBP에 관심을 둔 우리는 좌절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내 치료 업무 모형과 나의 사고의 틀 그리고 내가 속한 집단의 패러다임을 이해하면 우리가 신경을 써야 할 정보의 영역은 그다지 광범위하지 않다. 평소에 clinical practice guideline(CPG) 자료를 찾아 읽거나 스터디 해보자. CPG는 특정 질환의 전반적인 임상 문제에 대한 질 높은 지침들을 제공한다(Kopp & Lelgemann, 2005).
  • , 2009). 환경과 시스템의 지원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환경 탓만 하고 손 놓고 가만히 있을 수 없으니 개인 차원의 문제부터 해결해보자.

가설 설정

  • 첫째, 영어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다. 연구 문헌을 읽기 위한 단어와 독해 수준은 그렇게 광범위하거나 어렵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BP란? EBP (evidence-based practice)는 높은 질의 무작위임상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환자나 고객에게 적용하는 것이다(Sackett et al., 1996).
EBP의 가장 큰 장벽은? 급변하는 시대에, 정보가 홍수처럼 쏟아지는 시대에 치료사들은 계속해서전문지식을 확장하고 심화해야 한다. EBP의 가장 큰 장벽은 시간부족이다(Jette et al., 2003).
CPG가 임상가나 환자에게 유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CPG는 많은 임상 전문가와 환자 보호자, 관련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질 높은 임상 연구들을 통합하여 만들어낸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임상 실기 지침이다. 특정 질환의 특성과 분포, 진단, 예후, 치료 효과, 관리지침에 이르기까지 많은 정보를 근거에 입각하여 정리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임상가와 환자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Logerstedt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rnhardsson S, Lynch E, Dizon JM, et al. Advancing evidence-based practice in physical therapy settings: multinational perspectives on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Physical Therapy. 2016;97(1):51-60. 

  2. d'Ottawa University. Evidence-based practice. Available at: http://health.uottawa.ca/rehabguidelines/en/login.php. 

  3. Fatehi F, Gray LC, Wootton R. How to improve your Pubmed/MEDLINE searches: 3. Advanced searching, MeSH and My NCBI.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2014;20(2):102-112. 

  4. Fetters L, Tilson J. Evidence based physical therapy. Philadelphia. F.A. Davis Co. 2012. 

  5. Field MJ, Lohr KN. Guidelines for clinical practice: from development to us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2. 

  6. Jette DU, Bacon K, Batty C, et al.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attitudes, knowledge, and behaviors of physical therapists. Physical Therapy. 2003;83(9): 786-805. 

  7. Kajermo KN, Nordstrom G, Krusebrant A, et al.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research utilization, as perceived by a group of registered nurses in swed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8;27(4):798-807. 

  8. Kopp I, Lelgemann M. The agree (appraisal of guidelines research and evaluation) instrument. Zeitschrift fur Arztliche Fortbildung und Qualitatssicherung. 2005;99(8):497-498, 469-470. 

  9. Kwon MJ. A survey of evidence-based practice of physical therapis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6;18(3):23-36. 

  10. Kwon MJ. Implementation to evidence-based practice of physical therapists providing treatment and outcome measure to people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2;7(3):283-291. 

  11. Lee MK, Lim JH, Kim TY. Evidence-based practice in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1); applying EBP into clinical decision making. PNF and Movement. 2016;14(3):157-176. 

  12. Logerstedt DS, Snyder-Mackler L, Ritter RC, et al. Knee pain and mobility impairments: meniscal and articular cartilage lesions.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010;40(6): A1-A35. 

  13. Lomas J. Diffusion,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who should do what?.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993;703(1):226-237. 

  14. Oh EG. Research activities and perceptions of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among critical care nurses in Korea.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8;24(5): 314-322. 

  15. Pollock AS, Legg L, Langhorne P, et al. Barriers to achieving evidence-based stroke rehabilitation. Clinical Rehabilitation. 2000;14(6):611-617. 

  16. Sackett DL, Rosenberg WM, Gray JA, et al.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ritish Medical Association. 1996;312(7023):71-72. 

  17. Salbach NM, Guilcher SJ, Jaglal SB, et al. Factors influencing information seeking by physical therapists providing stroke management. Physical Therapy. 2009;89(10): 1039-1050. 

  18. Salbach NM, Jaglal SB, Korner-Bitensky N, et al. Practitioner and organizational barriers to evidence-based practice of physical therapists for people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2007;87(10):1284-1303. 

  19. Scurlock-Evans L, Upton P, Upton D. Evidence-based practice in physiotherapy: a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enablers and interventions. Physiotherapy. 2014;100(3):208-219. 

  20. Stevenson K, Lewis M, Hay E. Do physiotherapists’ attitudes towards evidence-based practice change as a result of an evidence-based educational programme?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04;10(2):207-217. 

  21. Sullivan JE, Crowner BE, Kluding PM, et al. Outcome measures for individuals with stroke: Process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neurology section task force. Physical Therapy. 2013;93(10):1383-1396. 

  22. Young JM, Ward JE. Evidence-based medicine in general practice: beliefs and barriers among australian GPs.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01;7(2):201-2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