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뇌졸중 환자에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보행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on the Gait and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5 no.2, 2017년, pp.133 - 140  

김지선 (다빈치병원 재활치료부) ,  안진환 (다빈치병원 재활치료부) ,  이현희 (다빈치병원 재활치료부) ,  박효정 (유성한가족병원 물리치료실) ,  기경일 (대전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s of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and general treadmill gait training on the gait and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A total of 11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ther the treadmi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각 대상자들의 신체 정렬과 눈높이에 맞는 시각적 되먹임을 적용한 트레드밀 훈련을 적용한 후 일반트레드밀과 비교한 연구의 결과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대상자들의 신체 정렬과 눈높이에 맞는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과 일반 트레드밀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을 적용한 군에서 전방 FRT와 측방 FRT의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 능력에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일반 트레드밀 보행 훈련보다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레드밀 훈련의 제한점은? , 2009). 트레드밀 훈련은 보행 속도와 보폭(step length)의 조절은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각적인 영향을 제거한 부자연스러운 훈련 환경이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어 보행 시 계획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rużbickiet al., 2016; Lamontagne et al.
뇌졸중의 폐해는? 뇌졸중(stroke)은 운동, 감각, 인지기능 등의 장애를 일으키며 이로 인해 균형, 보행과 같은 기능적인 움직임의 수행에 어려움을 동반하게 된다(Balasubramanianet al., 2007; Hora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ki O, Otani Y, Morishita S, et al. Influence of gaze distance and downward gazing on postural swa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014;232(2):535-543. 

  2. Aoki O, Otani Y, Morishita S, et al. The effects of various visual conditions on trunk control during ambulation in chronic post stroke patients. Gait & Posture. 2016;52(11):301-307. 

  3. Balasubramanian CK, Bowden MG, Neptune RR, et al. Relationship between step length asymmetry and walking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chronic hemipare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7;88(1):43-49. 

  4.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2;73(11):1073-1080. 

  5. Cachupe WJ, Shifflett B, Kahanov L. Reliability of biodex balance system measures.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2001;5(2):97-108. 

  6. Ditor DS, Kamath MV, MacDonald MJ, et al. Effects of body weight-supported treadmill training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blood pressure variability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5;98(4):1519-1525. 

  7. Dru?bicki M, Guzik A, Przysada G, et al. Changes in gait symmetry after training on a treadmill with biofeedback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6-month follow-up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ical Science Monitor. 2016;22(11):4859-4868. 

  8.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The Journasl of Gerontoogyl. 1990;45(6):192-197. 

  9. Guerraz M, Sakellari V, Burchill P, et al. Influence of motion parallax in the control of spontaneous body sway.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000;131(2):244-252. 

  10. Heeren A, van Ooijen M, Geurts AC, et al. Step by step: a proof of concept study of C-Mill gait adaptability training in the chronic phase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13;45(7):616-622. 

  11. Horak FB, Wrisley DM, Frank J. The balance evaluation systems test (BESTest) to differentiate balance deficits. Physical Therapy. 2009;89(5):484-498. 

  12.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et al. Recovery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5;76(1):27-32. 

  13. Kim EJ. Assessment of balance and posture in brain disorders.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13;6(2):58-63. 

  14. Kim JS, Oh DW. Effect of submerged treadmill gait training on gait and balance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Korea Journal of Neural Rehabilitation. 2012;2(1):52-58. 

  15. Kim JS, Son YH, Hwang YB, et al. Effect of submerged treadmill gait training on gait and balance function in people with hemiparesis. Korea Journal of Neural Rehabilitation. 2011;1(2):63-70. 

  16. Lamontagne A, Fung J, McFadyen BJ, et al. Modulation of walking speed by changing optic flow in persons with stroke.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2007;4(6):22. 

  17. Lee HS. A syudy of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in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Rehabilitation research. 2010;14(3):225-256. 

  18. Oujamaa L, Relave I, Froger J, et al. Rehabilitation of arm function after stroke. Literature review. Annals of Physical Rehabilitation Medicine. 2009;52(3):269-293. 

  19. Park SD, Kim JS, Kim S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ostural balance application program using the movement accelerometer principles in healthy young adults.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13;20(2):52-59. 

  20.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1;39(2):142-148. 

  21. Pohl M, Mehrholz J, Ritschel C, et al.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2;33(2):553-558. 

  22. Polese JC, Ada L, Dean CM, et al. Treadmill training is effective for ambulatory adul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hysiotherapy. 2013;59(2):73-80. 

  23. Stanton R, Ada L, Dean CM, et al. Biofeedback improves activities of the lower limb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hysiotherapy. 2011;57(3):145-155. 

  24. Tate JJ, Milner CE. Real-time kinematic, temporospatial, and kinetic biofeedback during gait retraining in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Physical Therapy. 2010;90(8):1123-113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