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후 학교건물의 창호 교체에 따른 부하분석
Analysis of Heating and Cooling Load Profile According to the Window Retrofit in an Old School Building 원문보기

설비공학논문집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29 no.9, 2017년, pp.455 - 462  

이예지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주욱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  송두삼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eating and cooling load variation due to envelope retrofits in an old school building. In a previous study, envelope retrofit of an old school building resulted in annual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However, cooling energy consumption increased with the en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노후 학교건물에 대해 창호 교체를 통해 창의 단열성능 강화, 창의 SHGC 값을 변경하는 등 노후 학교건물의 창호 개선에 따른 실내 온열환경 변화, 냉난방부하 변동을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상세히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되었던 유사한 결과에 대해 그 원인을 면밀히 검토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분석케이스는 Table 3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노후 학교건물의 에너지 절감 방안으로 가장 많이 검토되고 있는 창호교체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외부 창호를 제외한 나머지 벽체는 모두 단열(Adiabatic)조건으로 가정하였으며 기타 출입문의 개폐는 고려하지 않았다.
  • 이어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이 상대적으로 내부발열 수준이 높은 노후 학교건물에 대해 외피 단열성능 강화가 실내 온열환경 및 냉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 및 요인을 상세히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노후 학교건물의 에너지 절감 방안으로 가장 많이 검토되고 있는 창호교체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외부 창호를 제외한 나머지 벽체는 모두 단열(Adiabatic)조건으로 가정하였으며 기타 출입문의 개폐는 고려하지 않았다. Case 1~Case 4는 대상 학교건물 창호의 단열성능을 1996년(Case 1)에서 각각 2010년, 2013년, 2015년의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라 강화시킨 경우이다.
  • 결과적으로 열전달 과정의 선형성과 시불변(Time-Invariant) 특성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 요구되는 가정은 열평형 방법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열평형법에서는 한 영역에서 공기온도가 균일하다고 가정한다.(11) 
  • 시뮬레이션은 EnergyPlus를 이용하였으며, 기상데이터는 EnergyPlus에 구비되어 있는 인천지역 기상데이터를 적용하였다. 재실인원은 교육부 기준에 따라 고등학교 기준인 30명으로 가정하였으며, 내부발열은 남학생은 1.0(met.), 여학생은 0.8(met.), 평균 0.9(met.)로 설정하였다. 착의량(Clo)은 ASHRAE에서 제시한 값을 기준으로 계절별 남녀 교복 착의량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건물의 에너지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한 이유는? (1) 이러한 노후 건물은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으며,(1, 2) 정부는 신축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에 대한 에너지 개수(retrofit)를 통해 건물에너지 소비량을 대폭 감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3) 특히 학교건물의 경우에는 건물의 노후화, 대형기기/설비의 도입, 컴퓨터 기반 수업의 증가로 에너지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기존 냉난방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았던 교실에 냉난방시스템(EHP)이 추가 설치되면서 학교에서 소비하는 전체 에너지 중 전기에너지 사용량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전국 건축물 현황’을 보면 2016년 기준으로 준공 후 3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의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 최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전국 건축물 현황’을 보면 2016년 기준으로 준공 후 3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이 국내 전체 건물의 약 3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건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전국 1만 1천여 개이상의 학교건물 중 과반수가 준공한지 30~40년이 지난 노후 건물이다.
EnergyPlus가 건물 냉난방부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열평형법이 가정하는 조건은 무엇인가? 결과적으로 열전달 과정의 선형성과 시불변(Time-Invariant) 특성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 요구되는 가정은 열평형 방법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열평형법에서는 한 영역에서 공기온도가 균일하다고 가정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Park et al., 2009, Development of determine model for renovation of old school buildings, KEDI, pp. 4-5. 

  2. Choi et al., 2013, Study on Greenhouse Gas Reduction in School,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36-39.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green remodeling support service. 

  4. Shin J. A., 2012, Research of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by Education Building's Cooling and Heating System, pp. 2-64.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Standard of Building Energy Saving design. 

  6. Lee, Y. J. and Song, D. S., 2016, Analysis of an energy saving effect with the envelope retrofit of school building, SAREK, pp. 91-94. 

  7. Lee, J., Kim, J., Song, D., Kim, J., and Jang, C., 2017, Impact of external insulation and internal thermal density upon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in a temperate climate with four distinct season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75, pp. 1081-1088. 

  8. ANSI/ASHRAE Standard 55-2004, Ther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Human Occupancy, p. 19. 

  9. School Health Act, enforcement regulation article 3 section 1 number 1 asterisk 2-3-Ga. 

  10. Kim et al., A Cas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Energy Consumption of a High School Education Facilities, 2011, pp. 99-104. 

  11. ASHRAE Handbook-Fundamentals, Chapter F. 18. 

  12. Engineering reference, input output reference, Energy Plus. 

  13. Joo, S. H., Kim, J. Y., and Shin, H. J., 2010, A Comparative Study on Educational Structure thermal load simulation with Heat Balance method, SAREK, pp. 1531-15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