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볼록렌즈가 상을 만드는 원리에 대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tific Model Co-construction Program about Image Formation by Convex Lens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28 no.5, 2017년, pp.203 - 212  

박정우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초록

과학적 모형은 특정한 물리적 현상을 기술, 설명, 예측할 수 있는 개념 체계를 말한다.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은 과학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교수 학습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모형을 통한 예상과 실제 세계에서 얻은 자료와의 일치, 불일치에 따라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모형을 수정해 가는 것이 모형 구성 수업의 핵심이다. 하지만 많은 모형 구성 수업에서는 교사가 제공한 제한적인 자료를 가지고 모형을 비교하고 판단하는 것에 그쳤으며, 스스로 실험을 통해 얻은 실제 세계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은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모형을 통한 예측과 직접 비교하여 모형을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6개월간 교사, 연구자 간의 협력적 논의를 통해 중학교 2학년 빛과 파동 단원 중 '볼록렌즈가 상을 만드는 원리'라는 주제에 대해 총 5차시의 모형 구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남녀 공학 중학교 2학년 3개 반 80명의 일반 학생과 20년 경력의 현직 과학 교사가 2주간 개발된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에게 수업의 어떤 점이 좋거나 어려웠는지, 이 수업을 친구에게 추천하고 싶은지를 질문하였다. 수업 후 95.8%의 학생이 구조 규칙을 사용한 모형 이상의 과학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을 살펴보면 원리를 찾아내거나 친구들을 이해시키기가 어려웠지만 이론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던 것을 실험을 통한 모형 수정 과정을 통해 이해하게 되었고, 학급 친구들끼리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가 된다는 점이 좋았다는 등의 응답이 나타났다. 참여 학생 중 92.5%가 본 프로그램을 보통이상으로 친구에게 추천하겠다고 응답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교현장에 적용되어 학생의 모형 구성 능력 및 사회적 구성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cientific model refers to a conceptual system that can describe, explain, and predict a particular physical phenomenon. The co-construction of the scientific model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and various studies. The evalu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볼록렌즈에서 상이 생기는 원리에 대하여 학생의 개념 세계를 충분히 반영하며 실제 현상을 관찰 및 측정하여 자료를 얻는 과정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모형 구성 수업의 사례를 개발 및 적용하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전 연구를 통해 볼록렌즈에서 광선의 굴절에 대한 지식과 몇 개의 광선이 상을 형성하는지에 대한 학생 나름의 이론을 학생의 개념 세계로 정의하고 볼록렌즈에 의한 상, 볼록렌즈를 반 가렸을 때 나타나는 상, 볼록렌즈의 중앙이나 주변을 가렸을 때의 상을 예상하고 관찰하는 문제 상황을 제공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개념 세계를 충분히 반영하고 실제 현상을 관찰, 측정하여 자료를 얻는 과정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모형 구성 수업의 사례를 개발 및 적용하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수업의 효과는 학생의 최종 모형과 수업에 대한 학생의 평가의 두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볼록렌즈가 상을 만드는 원리에 대한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의 모형과 이론을 과학적으로 변화시키고 수업에 대한 참여 학생의 긍정적인 평가를 얻는데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수업의 설계에 있어서 선행 연구를 통해 학생의 개념 세계를 충분히 반영하여 학생의 지식과 이론을 추출하고 학생의 이론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문제 상황을 제시하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설계의 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구체적이며 체계적인 구성 안은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학생의 모형 구성 능력 및 사회적 구성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듣고 보는 것보다 직접 만지고 실험해보는 게 좋은 방법 같다.
  • 모두가 다 같이 경쟁가자 아닌 동반자가 된다는 것이 좋았다.
  • ∙ 물체위의 한 점 P에서 사방으로 퍼져 나간 빛 중 볼록렌즈를 통과하여 굴절된 빛들은 한 점 P’에서 만난다[28].
  • 볼록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빛은 굴절하지 않고 그대로 나아간다.
  • 볼록렌즈의 초점을 지나는 빛은 굴절한 후 광축에 평행하게 나아간다.
  • 스크린에 상이 생기도록 스크린과 모형의 거리조절이 힘들었다.
  • 실험이 매우 재밌어서 어려운 것이 없었다.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있었지만 실험을 해 봄으로써 어려운 점이 없어졌다.
  • 친구들을 이해시키며 같이 하기가 조금 힘들었던 것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모형이란? 과학적 모형은 특정한 물리적 현상을 기술, 설명, 예측할 수 있는 개념 체계를 말한다.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은 과학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교수 학습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모형 구성 수업의 한계점은? 모형을 통한 예상과 실제 세계에서 얻은 자료와의 일치, 불일치에 따라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모형을 수정해 가는 것이 모형 구성 수업의 핵심이다. 하지만 많은 모형 구성 수업에서는 교사가 제공한 제한적인 자료를 가지고 모형을 비교하고 판단하는 것에 그쳤으며, 스스로 실험을 통해 얻은 실제 세계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은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모형을 통한 예측과 직접 비교하여 모형을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과학적 모형 수업의 핵심은?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은 과학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교수 학습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모형을 통한 예상과 실제 세계에서 얻은 자료와의 일치, 불일치에 따라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모형을 수정해 가는 것이 모형 구성 수업의 핵심이다. 하지만 많은 모형 구성 수업에서는 교사가 제공한 제한적인 자료를 가지고 모형을 비교하고 판단하는 것에 그쳤으며, 스스로 실험을 통해 얻은 실제 세계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은 많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W. B. Rouse and N. M. Morris, "On looking into the black box: prospects and limits in the search for mental models," Psychol. bull. 100, 349-363 (1986). 

  2. I. Halloun, Modeling theory in science educati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Netherlands, 2007), Chapter 3. 

  3. J. J. Clement and M. A. Rea-Ramirez,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Netherlands, 2008), Chapter 1. 

  4. J. K. Gilbert and C. J. Boulter,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Netherlands, 2000), Chapter 2. 

  5. I. A. Grunbaum and W. Salmon, The Limits of Deductiv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988), 37-46. 

  6. D. Hestenes, "Toward a modeling theory of physics instruction," Am. J. Phys. 55, 440-454 (1987). 

  7. J. B. Lopes and N. Costa, "The Evaluation of Modelling Competences: Difficulties and potentials for the learning of the sciences," Int. J. Sci. Educ. 29, 811-851 (2007). 

  8. P. S. Oh, "An interpretation of modeling-based elementary science lessons from a perspective of distributed cognition," J. Korean Elem. Sci. Educ. 36, 16-30 (2017). 

  9. D. W. Lee and J. H. Yoo, "College-students' modeling of thermoacoustic refrigeration phenomena," New Phys.: Sae Mulli 66, 719-733 (2016). 

  10. D. S. Bae and J. H. Yoo,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progressions for scientific modeling force and motion," New Phys.: Sae Mulli 62, 809-825 (2012). 

  11. H. K. Park, J. L. Choi, C. J. Kim, H. B. Kim, J. H. Yoo, S. H. Jang, and S. U. Choe, "The change in modeling abil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through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J. Korea Assoc. Sci. Educ. 36, 15-28 (2016). 

  12. A. S. Palincsar,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Annu. Rev. Psychol. 49, 345-375 (1998). 

  13. E. H. Kang, C. J. Kim, S. U. Choe, J. H. Yoo, H. J. Park, S. Y. Lee, and H. B. Kim, "Small group interaction and norm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model for blood flow in the heart," J. Korea Assoc. Sci. Educ. 32, 372-387 (2012). 

  14. C. E. Lee and H. B. Kim, "Understanding the role of wonderment questions related to activation of conceptual resources in scientific model construction: focusing on students' epistemological framing and positional framing," J. Korea Assoc. Sci. Educ. 36, 471-483 (2016). 

  15. C. H. Yang, S. H. Kim, M. J. Jo, and T. H. Noh,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nd classroom discussions in the scientific modeling of the particulate model of matter," J. Korea Assoc. Sci. Educ. 36, 361-369 (2016). 

  16. G. Welford, J. Osborn, and P. Schott,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Europe (The Falmer Press, USA, Bristol, 2005), Chapter 13. 

  17. D. W. Lee,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5), p. 7. 

  18. D. Gentner and A. L. Stevens, Mental models (Psychology Press, USA, NY, 2006), Chapter 8. 

  19. R. Girer,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Orlando, FL, 1991). 

  20. S. K. Park, "Analysis on the argumentation pattern and level of students' mental models in modeling-based learning about geologic structures," J. Korea Assoc. Sci. Educ. 35, 919-929 (2015). 

  21. H. W. Yu, D. C. Ham, H. J. Cha, M. S. Kim, H. B. Kim, J. H. Yoo, and S. U. Choe, "Model creation and model developing proces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cientific model constructing class for phase change of the moon," J. Gifted/Talented Educ. 22, 291-315 (2012). 

  22. F. A. Jenkins and H. E. White, Fundamentals of optics (Mcgraw-Hill College, USA, NY, 1976), Chapter 4-5. 

  23. E. Hecht, Optics (Addison-Wesley, San Francisco, 2002), Chapter 4-6. 

  24. J. O. Hyun, H. S. Kim, H. K. Yun, T. W. Kang, W. S. Choi, I. O. Han, M. Y. Park, K. S. Kim, J. H. Ji, B. I. Kim, M. K. Kim, Y. A. Som, T. W. Lee, H. S. Jo, C. Y. Park, M. S. Yun, and J. E. Lee, Middle school science 2 (Sinsago, Seoul, 2010), Chapter 2. 

  25. A. Singh and P. H. Butler, "Refraction: conceptions and knowledge structure," Int. J. Sci. Educ. 12, 429-442 (1990). 

  26. P.-K. Tao, "Developing understanding of image formation by lenses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mediated by multimedia computer-assisted learning programs," Int. J. Sci. Educ. 26, 1171-1197 (2004). 

  27. J. G. Koh and H. J. Lee, "Analysis on conceptual sequencr related to optometry in Korean science textbooks," Korean J. Vis. Sci. 12, 19-30 (2010). 

  28. S. I. Lee, B. J. Jo, B. H. Jeon, K. S. Nam, S. Y. Hwang, Y. H. Kim, J. J. Eo, D. G. Noh, K. T. Kim, S. Y. Baek, C. W. Kim, Y. G. Kim, L. W. Park, S. J. Shin, and O. S. Kwon, Middle school science 2 (Jihaksa, Seoul, 2010), Chapter 2. 

  29. I. Galili, "Students' conceptual change in geometrical optics," Int. J. Sci. Educ. 18, 847-868 (1996). 

  30. M. R. Matthew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Springer, Dordrecht: 2014), Chapter 4. 

  31. H. D. Park, K. D. Kim, M. R. Kwon, and J. B. Kim, "College students' concept of converging lens," Sae Mulli 41, 345-356 (2000). 

  32. L. Heikkinen, A. Savinainen, and M. Saarelainen, "Virtual ray tracing as a conceptual tool for image formation in mirrors and lenses," The Phys. Teach. 54, 538-540 (2016). 

  33. G. P. Kwo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for the image by converging lens," Stud. Const. Cases 25, 63-69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