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전자기 수업에서 사용하는 시각적 표상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활용 실태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and Actual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of Electromagnetis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2, 2017년, pp.253 - 262  

윤혜경 (춘천교육대학교) ,  조광희 (조선대학교) ,  조헌국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등 전자기 수업에서 사용하는 시각적 표상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시각적 표상 활용과 관련해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과학교사 121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전자기 수업에서 시각적 표상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하였으나, 시각적 표상을 주로 과학 지식의 전달 도구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는 방식은 주로 인터넷을 검색을 바탕으로 컴퓨터를 활용해 제시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자기 수업에서 널리 활용되는 세 가지 시각적 표상(검전기의 정전기 유도, 전류 주변의 자기장, 전동기의 구조와 원리)에 대해 활용 방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 중심 활용보다 교사 중심 활용이 두 배 가량 많았고, 시각적 표상의 '해석', '구성', '적용', '평가'와 관련해서는 '교사의 구성'이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 중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는 시각적 표상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제한적 인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어진 세 가지 시각적 표상 활용과 관련된 교사의 어려움은 크게 '교사 자신', '학생', '표상 자체의 특성', '자료 부족이나 수업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범주화되었다. 시각적 표상의 연구와 개발에 있어서 이러한 요인들이 적극 고려되어야 하며 과학 수업에서 시각적 표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표상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확장되도록 하고, 교사의 표상 활용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rol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of electromagnetism, and finding out how science teachers use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ir teaching of electromagnetism an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dealing w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적 표상의 역할은 무엇인가? 같은 맥락에서 학생들의 과학 학습 과정에서도 시각적 표상을 통해 과학 개념을 이해하거나 어떤 현상에 대해 학생 자신의 과학적 아이디어를 시각화하여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즉 시각적 표상은 과학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의 일부이며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를 촉진하고 과학적 실행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다. Ainsworth, Prain, & Tytler (2011)는 학생들이 그리기 활동을 통해 과학적 추론과 참여,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Kozma & Russel (2005)은 ‘다양한 시각적 표상을 활용해서 의사소통하고 과학적 아이디어를 정교화 하는 일련의 실행 과정’으로서 학생들의 ‘표상 능력(representational competence)’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시각적 표상 활용 유형 중 ‘표상의 해석’의 예를 들면? 시각적 표상 활용 유형 중 ‘표상의 해석’은 완성되어 있는 혹은 외부에서 제시된 기존의 시각적 표상에 포함된 기호나 구성 요소의 의미를 알고 표상이 나타내는 정보나 상황을 ‘읽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적 표상에서 +나 -기호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고 주어진 시각적 표상을 통해 마찰시킨 물체가 어떻게 대전되어 있는지 ‘읽어내는’ 것을 말한다. ‘표상의 구성’은 관찰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교사나 학생이 직접 시각적 표상을 그리거나 표현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시각적 표상 능력을 크게 4가지로 범주화하면? 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이론적 틀은 학생의 표상 능력에 대한 연구들을 참조하였다. 표상 능력의 요소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지만 Chang & Tzeng (2015)은 시각적 표상 능력을 크게 표상의 ‘해석’, ‘구성’, ‘적용’, ‘평가’의 4가지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에 기초하여 과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가능한 시각적 표상 활용 유형을 ‘해석’, ‘구성’, ‘적용’, ‘평가’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insworth, S., Prain, V., & Tytler, R. (2011). Draw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333(6046), 1096-1097. 

  2. Chang, H-Y. & Tzeng, S-F. (2015), Investigating high school students' visualization competence of matter. in the Proceedings of 2015 National Association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edited by V. Akerson (Chicago, 2015), p.28. 

  3. Coleman, J. M., McTigue, E. M., & Smolkin, L. B. (2011). Elementary teachers' use of graphical representations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2(7), 613-643. 

  4. Cook, M. (2011).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scienc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2(3), 175-184. 

  5. Eilam, B., & Gilbert, J. K. (2014). The significanc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of science. In Science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pp. 3-28).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6. Healey, P. G. T. (2006). Drawing things together: Integrating modalities and co-ordinating understanding. In Six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Learning Technologies ICALT'06 (pp. 1200-1201). Kerkrade. 

  7. Jo, K., Jho, H., & Yoon, H.-G.(2015) Analysis of visual representations related to electromagnetism in primary and secondary science textbooks. New Physics: Sae Mulli, 65(4), 343-357. 

  8. Kozma, R., & Russell, J. (2005). Students becoming chemists: developing representational competence. In J. K. Gilbert (Ed.), Visualizations in science education (pp. 121-146).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9. Latour, B. (1986). Visualization and cognition: Thinking with eyes and hands. Knowledge and Society, 6(1), 1-40. 

  10. Latour, B. (1987). Science in Action. Milton Keynes. Bucks: Open University. 

  11. Liu, Y., Won, M., & Treagust, D. F. (2014). Secondary biology teachers' use of different types of diagrams for different purposes. In Science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pp. 103-12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2. Lynch, M., & Woolgar, S. (1990). Representation in scientific practice. Cambridge, MA: MIT Press. 

  13. Nitz, S., Ainsworth, S. E., Nerdel, C., & Prechtl, H. (2014). Do student perceptions of teaching predict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onal competence and biological knowledge? Learning and Instruction 31, pp. 13-22. 

  14. Ochs, E., Jacoby, S., & Gonzales, P. (1994). Interpretative journeys: How physicists talk and travel through graphic space. Configurations, 2(1), 151-172. 

  15. Ozcelik, A. T., & McDonald, S. P. (2013).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ses of inscriptions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4(7), 1103-1132. 

  16. Parnafes, O., & Trachtenberg-Maslaton, R. (2014). Transformed instruction: Teaching in a student-generated representations learning environment. In Science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pp. 271-290).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7. Scheid, T., Mueller, A., Hettmannsperger, R., & Schnotz, W. (2013) Fostering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experiments and phenomena through representational analysis tasks. The Proceedings of 2013 European Science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edited by C. P. Constantinou, N. Papadouris and A. Hadjigeorgiou (Nicosia, 2013). pp. 102-108. 

  18. Thomas, M. O., Wilson, A. J., Corballis, M. C., Lim, V. K., & Yoon, C. (2010). Evidence from cognitive neuroscience for the role of graphical and algebraic representations in understanding function. ZDM, 42(6), 607-619. 

  19. Tytler, R., Prain, V., Hubber, P., & Waldrip, B. (2013). Constructing representations to learn in science. Sense publisher: Rotterdam. 

  20. Yoon, H.-G. Jo, K., & Jho, H. (2016). Middle school students' interpretati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visual representations for electrostatic induction. New Physics: Sae Mulli, 66(5), 580-5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