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도 변화에 따른 수돗물 저장 저수조 내 잔류염소에 관한 수학적 모형 시뮬레이션
Mathematical Model Simulations Assessing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in Water Storage Tanks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3 no.2, 2017년, pp.187 - 196  

노유래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박준홍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nsure hygienic safety of drinking water in a water storage tank, the concentrations of residual chlorine should be above a certain regulation level. In this study, we conducted model simulatio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residual chlorine in water storage tank conditions typ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다 정확한 저수조 내의 잔류염소 감소를 파악하기 위해 수체 내의 반응과 저수조에 존재하는 기체 내 잔류염소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때, 회분식 반응기에서 유도된 잔류염소 반응은 식 (9)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돗물 조건에서 수체 내 분해반응, 증발(탈기)반응, 흡착반응에 대한 감소 계수 값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작별 잔류염소 감소계수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지 저수조 스케일에서 온도(5~25°C)에 따른 단수와 무단수 조건에서의 잔류염소 거동을 해석해보았다.

가설 설정

  • 기작별 도출된 계수 값을 이용하여 저수조에서의 잔류염소 거동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다. 서울시 대형 저수조를 기준으로 저수조 용량을 1280ton으로 가정하고 각각 높이(H; height): 5m, 폭(W; width): 16m, 길이(L; length): 16m로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저수조 내에 수돗물 유출입이 존재하는 일반적인 경우는 연속교반탱크반응기(CSTR;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로 간주하였고, 화재 및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단수 상태는 회분식반응기(Batch Reactor)로 가정을 하고 진행하였다.
  • 서울시 대형 저수조를 기준으로 저수조 용량을 1280ton으로 가정하고 각각 높이(H; height): 5m, 폭(W; width): 16m, 길이(L; length): 16m로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저수조 내에 수돗물 유출입이 존재하는 일반적인 경우는 연속교반탱크반응기(CSTR;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로 간주하였고, 화재 및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단수 상태는 회분식반응기(Batch Reactor)로 가정을 하고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수 공정을 거친 물에 존재하는 잔류 염소 농도는 여러 급수시스템을 거치며 어떻게 변화하는가? 4 mg/L 이상을 권고하고 있다(MOE, 2009). 정수처리시설에서 정수공정을 거치고 난 물은 시민들이 음용하는 수돗물로 오기까지 여러 급수시스템을 지나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량의 잔류염소가 소실되며(Kiene and Levi, 1993; Vasconcelos et al., 1997; Zhang et al., 1992), 정수지에서부터 급수과정을 거처 수도꼭지로 오기까지 급수배관과 저수조 등을 통해 약 30-60%의 잔류염소가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Noh et al., 2016).
저수조 내 잔류염소 농도 감소에 관여하는 기작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수조 내 잔류염소 농도 감소에 관여하는 기작들의 정량적 영향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필요하다. 저수조 내 잔류염소 감소에 관여하는 주요 기작은 (i) 수체 내 분해 반응(Bulk decomposition), (ii)증발(탈기) 반응(Evaporation), 그리고 (iii)벽체 흡착 반응(Sorp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돗물 관리 시 국내 잔류염소의 기준은 얼마인가? 국내에서는 기본적으로 수계 내 미생물 사멸 효과가 있는 염소를 주입하고 있으며, 수돗물까지 잔류염소의 지속적인 잔류가 요구되고 있다(MOE, 2010).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제4조에 따르면 국내 잔류염소의 기준은 0.1 ~ 4.0 mg/L이며 수인성질병 감염위험성이 높을 경우 혹은 단수 이후 재급수시에는 0.4 mg/L 이상을 권고하고 있다(MOE, 2009). 정수처리시설에서 정수공정을 거치고 난 물은 시민들이 음용하는 수돗물로 오기까지 여러 급수시스템을 지나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량의 잔류염소가 소실되며(Kiene and Levi, 1993; Vasconcelo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retsznajder, S. (1971). Prediction of Transport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of Fluids, Pergamon Press, New York, 1-408. 

  2. Chung, W. S., Kim, I. T., Lee, H. D., and Yu, M. J. (2004). Water Quality Management in Small Water Distribution Reservoir Using Residual Chlorine Decay, Seoul Studies, 5(2), 27-43. [Korean Literature] 

  3. Coulson, J. M. and Richardson, J. F. (1964). Chemical Engineering: Fluid Flow, Pergamon. 

  4. Cussler, E. L. (1984). Diffusion, Mass Transfer in Fluid Systems, 3. 

  5. De Podesta, M. (2002). Understanding the Properties of Matter, CRC Press. 

  6. Jun, M. H. (2015). A Study on Water Quality Variation of Tap Water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Watershed and Drinking Water Division, Institute of Health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7. Kennedy, M. S., Moegling, S., Sarikelle, S., and Suravallop, K. (1993). Assessing the Effects of Storage Tank Design on Water Quality, Journal-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85, 78-78. 

  8. Kiene, L., Lu, W., and Levi, Y. (1993). Parameters Governing the Rate of Chlorine Decay throughout Distribution System, In Proceedings of AWWA Annual Conference, Water Quality, 6-10. 

  9. Kim, D. H., Lee, D. J., Kim, K. P., Bae, C. H., and Joo, H. E. (2010). Computing the Dosage and Analysing the Effect of Optimal Rechlorination for Adequate Residual Chlorine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2(10), 916-927. [Korean Literature] 

  10. Korea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KISTEC). (2015). Analysis of Residual Chlorine in Water Networks Using Residual Chlorine Decay Coefficient, Korea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Korean Literature] 

  1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04). A Development of Priority Rehabilitation Decision System on Water Supply System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Eco-Pretty System in the Building,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orean Literature] 

  12.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ater). (1999). Control Technologies of Drinking Water Quality in Pipeline Networks,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rean Literature] 

  13.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2016). A Study on Evaluation of Appropriate Capacity of Water Storage Tanks in terms of Disaster Prevention,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Korean Literature] 

  14. Kwak, P. J., Hwang, J. W., Kim, S. K., and Lee, H. D. (2005). Hydraulic Behavior and Water Quality Variation Characteristics in Underground Reservoir, 2005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64-367. [Korean Literature] 

  15. Lyman, W. J., Reehl, W. F., and Rosenblatt, D. H. (1990). Handbook of Chemical Property Estimation Methods: Environmental Behavior of Organic Compounds. 

  16. McCabe, W. L., Smith, J. C., and Harriott, P. (1993). Unit Operations of Chemical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5, 154. 

  17.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9). Rules by Cleaning and Sanitation Management of Water Facilities (Installation Standards of Water Tank),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8.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0). Standards for Waterworks Faciliti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Regulations on Standards, etc. of Housing Construction No. 35 (Emergency Water Supply Facilit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n Literature] 

  20. Nazaroff, W. W. and Alvarez-Cohen, L. (2001). Environmental Engineering Science. 

  21.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2015). The NIST Reference on Constants, Units, and Uncertainty. US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Retrieved 2015-09-25 

  22. Noh, Y. R., Kim, S. H., Choi, S. U., and Park, J. H. (2016). A Review Study on Major Factors Influencing Chlorine Disappearances in Water Storage Tan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3(2), 63-75. [Korean Literature] 

  23. Powell, J. C., Hallam, N. B., West, J. R., Forster, C. F., and Simms, J. (2000). Factors which Control Bulk Chlorine Decay Rates, Water Research, 34(1), 117-126. 

  24. Reid, R. C., Prausnitz, J. M., and Poling, B. E. (1987). The properties of gases and liquids, The Properties of Gases and Liquids, 4th. 

  25. Richard, T. (1996). Calculating the Oxygen Diffusion Coefficient in Water, Cornell Waste Management Institute, Cornell University. 

  26. Schwarzenbach, R. P., Geschwend, P. M., and Imboden, D. M. (1993). Environmental Organic Chemistry, John Wiley, New York, 255. 

  27. Seoul Solution. (2016). Conversion of Direct Series Distribution System, Waterworks Business Division. [Korean Literature] 

  28. Shelquist, R. (2009). Equations - Air Density and Density Altitude. 

  29. Tang, A. and Sandall, O. C. (1985).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ne in Water at 25-60 Degree, Journal of Chemical and Engineering Data, 30(2), 189-191. 

  30. The Office of Waterwork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a). Status of Water Quality Inspec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es (January-December), The Office of Waterwork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n Literature] 

  31. The Office of Waterwork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b). Status of Tap-Water Quality Inspection (January-December), The Office of Waterwork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n Literature] 

  32. The Office of Waterwork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6). Status of Tap-Water Quality Inspection, The Office of Waterwork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n Literature] 

  33. Vasconcelos et al., 1997 Vasconcelos, J. J., Rossman, L. A., Grayman, W. M., Boulos, P. F., and Clark, R. M. (1997). Kinetics of Chlorine Decay, Journal-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l, 89(7), 54. 

  34. Vilaseca, M., Gutierrez, M. C., Lopez-Grimau, V., Lopez-Mesas, M., and Crespi, M. (2010). Biological Treatment of a Textile Effluent after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Reactive Dyes, Water Environment Research, 82(2), 176-182. 

  35. Wilhelm, E., Battino, R., and Wilcock, R. J. (1977). Low-Pressure Solubility of Gases in Liquid Water, Chemical Reviews, 77(2), 219-262. 

  36. Zhang, G. R., Kiene, L., Wable, O., Chan, U. S., and Duguet, J. P. (1992). Modelling of Chlorine Residual in the Water Distribution Network of Macao, Environmental Technology, 13(10), 937-9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