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벼 품종들중 일부 품종들에 대하여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품질 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발아율은 95.0% 이상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현미 미광이 9.85%로서 가장 높았다. 아밀로스 함량 분석결과 현미보다 발아현미에서 높았으며 알칼리 붕괴도(ADV)는 품종 및 발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아밀로펙틴은 단쇄비율이 높을수록 밥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삼광벼가 현미와 발아현미에서 각각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RVA 측정결과, 호화온도는 거의 비슷한 온도($67.93-68.05^{\circ}C$)였으며 최고점도는 현미 삼광이 167.92 RVU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강하점도의 경우 발아현미 미광이 5.28 RVU로 가장 낮게 측정되어 가공시 안정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치반점도는 현미 미광이 14.34 RVU로서 조사되어진 품종들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감 측정결과 경도(hardness)는 발아현미 하이아미밥이 54.14로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끈기(toughness)는 발아현미밥보다 현미밥에서 높았다. 찰기(stickiness)에서는 발아현미 삼광밥에서 51.45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부착성(adhesiveness)은 발아현미밥이 현미밥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벼 품종들의 현미에 대하여 발아 전과 후의 품질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식미가 우수한 최고품질 벼 품종인 삼광과 하이아미의 현미에서 발아 후 식감이 부드러워지고 찰기가 증대되어 밥맛이 향상되어 이는 발아현미 가공용으로 유망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발아현미용 적합품종은 앞으로 국내 현미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quality properties, including amylose, alkali digestion value (ADV), and amylogram,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of some cultivars in Korea for rice processing products. The protein content of brown ri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1970년대 후반 쌀의 자급달성을 이루기 위한 통일형 다수성 품종 개발보급에 노력을 하였지만 현재에는 건강지향 및 최고품질 쌀을 선호하게 되면서 용도별 고품질 품종육성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국내 양질미 품종인 일품뿐만아니라 고아미, 백진주 등과 같은 전분특성이 다양한 기능성 쌀과 특유의 색과 향을 갖는 흑미, 적미 및 향미 등 다양한 특수미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밥쌀용으로 개발된 최고품질 쌀인 삼광(Samkwang), 하이아미(Haiami) 및 미광(Migwang)과 초다수성이면서 가공용 품종인 보람찬(Boramchan)의 현미와 발아현미의 이화학적인 특성 및 품질 특성을 비교함으로서 쌀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벼 품종들중 일부 품종들에 대하여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품질 특성에 대해 비교 ·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미보다 현미 및 발아현미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국내에서 쌀을 소비하는 형태로는 주식으로서의 밥 소비가 75%정도이며, 나머지가 떡류, 죽류, 주류 등의 전통식품과 과자, 라면, 국수, 케이크 등 다양한 가공 식품의 형태로 소비되어지고 있다. 최근 사회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있는 웰-빙 붐을 타고 주식인 쌀에도 백미보다 영양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형태인 현미 및 발아현미 섭취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현미란? 현미는 왕겨층만 한번 벗겨낸 쌀로서 배(embryo), 배유(albumen) 및 쌀겨(호분)층으로 이루어진 벼 열매로서 백미에 비하여 영양분의 손실이 적으며 지방, 단백질, 비타민, 식이섬유 및 각종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나 인체의 성장과 유지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각종 언론매체나 자료들을 통하여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3). 하지만 현미의 뛰어난 영양성과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단단한 껍질과 피틴산 등으로 인한 소화 흡수성 저하 및 꺼칠은 식미로 인하여 백미를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이 많다.
현미와 발아현미의 일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중 단백질 함량은 어떤 방법으로 확인했는가? 단백질 함량은 Micro Kjeldahl 질소정량법을 사용하였다. 즉, 시료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WS. Effect of aging on physicochemical and pasting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 and its starch. Korean Associ. Human Ecol. 14: 1037-1046 (2005) 

  2. Woo KS, Jeong EG, Suh SJ, Yang CI, Jeong HS, Kim KJ.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n Suweon-511 and Ilpum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23-1230 (2008) 

  3. Mo KH, Choi, YM, Choi SG, Lee JS. The change of some com-pounds in brown rice germinated by filtrate of loess suspension. J. Agric. Life Sci. 40: 41-48 (2006) 

  4. Kim SL, Son YK, Son JR, Hur HS.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46: 221-228 (2001) 

  5. Kim SS, Kim YK, Lee WJ. Microwave vacuum drying of germinated brown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enzyme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107-1113 (1998) 

  6. Oh YS. Study on nutritional properties of sprouting brown rice.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2002) 

  7. Seo SJ, Choi YM, Lee SM, Kong SH, Lee JS.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2008) 

  8. Choi HD, Park YK, Kim YS, Chung CH, Park YD. Effect of pretreatment conditions on r-amino butyric acid content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61-764 (2004) 

  9. Jung HY, Lee DH, Baek HY, Lee YS. Pre- and post germination changes in pharmaceutical compound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53: 37-43 (2008) 

  10. Kang MY, Lee YR, Nam SH. Characterization of the germinated rices to examine an application potentials as functional rice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6-701 (2003) 

  11. Kum JS, Choi BK, Lee HY, Park JD, Park HJ.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 11: 182-188 (2004) 

  12. Choi I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culitvar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13-1319 (2010) 

  13. Juliano BO.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p.539 (1985) 

  14. Lee MH. Rice Quality and Eating Quality Evalu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75-102 (2002) 

  15. Suzuki K, Nakamura S, Satoh H, Ohtsubo K. Relation between chain-length distributions of waxy rice amylopectins and physical properties of rice grains. J. Appl. Glyco. Sci. 53: 227-232 (2006) 

  16. Son JR, Kim JH, Lee JI, Youn YH, Kim JK, Hwang HG, Moon HP. Trend and further research of rice quality evaluation. Korean J. Crop Sci. 47: 33-54 (2002) 

  17. Kim HY, Yang CI, Choi YH, Won YJ, Lee YT. Changes of seed vi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with different ecotypes and storage duration. Korean J. Crop Sci. 52: 375-379 (2007) 

  18. Bao JS, Sun M, Corke H. Analysis of genetic behavior of some starch properties in india rice (Oryzasativa L.); Thermal properties, gel texture, swelling volume. Theor. Appl. Genet. 104: 408-413 (2002) 

  19. Heu MH, Moon HP.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se IV. Effect of short-day and high-temperature treatment on the amylose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rice. Korean J. Crop Sci. 14: 129-133 (1974) 

  20. Kim HR, Kwon YH, Kim JH, Ahn BH. Quality analysis of diverse rice species for ric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42-148 (2011) 

  21. Park JD, Choi BK, Kum JS, Lee HY.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s produced under different drying and mill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95-500 (2006) 

  22. Kim SR, Ahn JY, Ha TY.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30-936 (2004) 

  23. Newport Scientific. Applications Manual for the Rapid ViscoTM Analyser. Newport Scientific Pty., Ltd., Warriewood, Australia. pp. 13-15 (1998) 

  24. Park CE, Kim YS, Park DJ, Park KJ, Kim BK. Pasting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ric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01-406 (2011) 

  25. Kwon YW, Lee EW, Lee BW. Climate, soil, and cultural technology of the areas producing high quality rice in Korea with empha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Ichon and other regions. RDA. Korean J. Crop Sci. 33: 291-303 (1990) 

  26. Oh SK, Kim DJ, Cheun AR, Yoon MR, Hong HC, Choi IS, Oh YJ, Oh KB, Kim YK. Quality evaluation of 'Juanbyeo' as aseptic- packaged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21-726 (2010) 

  27. Beleia A, Varriano-Marstion E, Hoseney RC. Characterization of starch from pearl millets. Cereal Chem. 57: 300-303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